생화학 1장 생화학이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Advertisements

주기율표 제 8장제 8장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1. 유전자에서 기능적인 능력을 갖는 분자로 어떻게 정보가 흘러가는가 ? 2. 생명체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분자구조 규명, 효소기능 규명 3. 의학과의 연관성 핵산 유전병 단백질 낫적혈구 빈혈 생화학 의학 지질 동맥경화증 탄수화물 당뇨병.
2010년 1학기 생활속의 미생물-3주차 미생물을 형성하는 분자.
산화막 (Oxide, SiO2)란?.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질 비타민 무기질 가공 식품과 전식품.
4. 미생물대사 1. 에너지, 효소, 대사조절 1-1 에너지와 일 1) 생태계에서의 에너지 흐름 1. 에너지, 효소와 조절
7장 역합성 분석, 보호기 및 선택반응.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제 6장 지질대사.
Chapter 3: Enzymes Prof. Jung Hoe Kim.
미생물의 대사작용 Microbial Metabolism
제6장 세포 에너지론.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생화학 11장 전자전달계와 산화적 인산화.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4-6. 광합성 작용(1).
미생물학 길라잡이 8판: 라이프사이언스.
Hydrogen Storage Alloys
생화학 1장 물과 세포.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6 세포의 생명현상을 위한 에너지 흐름 1.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연속적 띠(continuous band)
 과학  1학년  Ⅳ.생명>1-3.광합성과 호흡(1/5) 광합성 수업계획 수업활동.
생화학 개론.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제5장 에너지의 성질과 세포의 에너지 획득.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호르몬이란? 동물의 내분비 샘에서 분비되어, 몸 안을 순환하며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지식회고 소장전막 내분비기관 화학 조절 미량 체액
생명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 원시 지구에서의 화학적 진화 화학 반응식 쓰기.
-생화학자란? -생화학자가 하는 일은? -유명한 생화학자는? -생화학자가 되려면?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현대 서양의학의 기초 : 세포와 DNA
영양소 섭취와 에너지 소비 -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답 : 순물질 상태로 사용하기보다 혼합물 상태로 많이 사 용한다.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Macromolecule analysis Ⅰ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가천대학교 생명과학과 생물학 및 실험 학기 생물학 및 실험 1 Exp 10. DNA의 구조.
2.3 분자생물학 데이터베이스의 새로운 세대 분자유전체의학전공 김현정.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1. 화학 결합 … 01. 분자 구조의 다양성 02. 화학 결합의 성질 03. 이온 결합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오리엔테이션 생물학개론 1주차 강의 It is difficult to come up with a single definition of life.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업을 위한 자료입니다.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는 큰 화면을 이용하세요!!!
생물막 (Biofilm).
제5장. 세포는 어떻게 일을 할까 - 세포의 물질대사에 관하여. 에너지의 흐름 세포의 에너지 이용 효소의 작동법 세포막과 대사
Monod Eq. 1.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 경 원.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인체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 화학공학과 박구용 이 은.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생화학 1장 생화학이란?

생명의 본질과 생화학 - 생명체의 특성 - 세포 2. 생물계 - 생물의 분류 3. 생체분자 - 생체분자 - 작용기 - 에너지 - 대사 4. 생화학 과정 - 대사의 주요기능 - 생화학반응 5. 유전정보 과정의 개괄

1. 생명의 본질과 생화학 1) 생화학 : 생명현상을 분자수준에서 연구하는 기초 생명과학 분야 2) 생명체의 특성: 1) 생화학 : 생명현상을 분자수준에서 연구하는 기초 생명과학 분야  2) 생명체의 특성:   특정한 기능 담당하는 여러 개의 기관계로 구성 에너지 활용 능력을 가짐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가짐

3) 생명체의 구성: 4) 생명현상의 이해 : 구성 원소 : C, H, O, N, S, P 3) 생명체의 구성:   구성 원소 : C, H, O, N, S, P 4) 생명현상의 이해 : 생명은 복잡하고 역동적 : 주로 유기분자(탄소가 주)로 구성, 다양한 화학반응 생명은 조직화, 자급적 : 아원자 입자(subatomic particle) → 원자 → 고분자(macromolecule) → 조직 → 기관 → 기관계 대사(metabolism) : 생물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화학 반응 항상성(homeostasis) : 내부와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대사 과정을 유지하는 생물의 능력 생명은 세포로부터 온다. → 세포막, 세포분열 생명은 정보를 토대로 한다. → 유전자(gene) 생명은 적응하고 진화

다세포생물의 계층체제 : 인간

2. 생물계 : 지구상 생물의 영역

생물의 분류 ① 원핵세포(prokaryotic cell) ㉠ 핵이 없음 ㉡ 단세포 생물의 분류  ① 원핵세포(prokaryotic cell) ㉠ 핵이 없음 ㉡ 단세포 ㉢ 박테리아(bacteria), 원시균(archaea) ② 진핵세포(eukaryotic cell) ㉠ 핵막으로 싸인 핵 ㉡ 다세포, 세포 소기관(organelle)

3. 생체분자: 1) 생체분자 ① 50 ~ 90%의 물, 1% 정도의 Na+, K+, Mg2+, Ca2+ 1) 생체분자  ① 50 ~ 90%의 물, 1% 정도의 Na+, K+, Mg2+, Ca2+ ② 주로 C, H, O, N, P, S 등으로 구성, 미량의 금속과 비금속원소 ③ 결합 형태 : 주로 공유 결합 

2) 유기 생체분자의 작용기(functional group)(표 참조) ① 생체 분자 : 탄화수소(hydrocarbon)로부터 유래, 소수성(hydrophobicity) ② 작용기에 의해 유도체 분자들의 화학적 성질 결정

생체 분자의 중요한 작용기

4. 생화학과정: 1) 대사의 주요 기능 ① 에너지 획득과 이용 1) 대사의 주요 기능  ① 에너지 획득과 이용 ② 세포 구조와 기능에 필요한 분자의 합성(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핵산 등) ③ 성장 ④ 노폐물 제거 

2) 생화학 반응(biochemical reaction) ① 친핵성 치환 반응(nucleophilic substituttion)

친핵체(nucleophile) : A, 음(-)이온 또는 비결합성 전자쌍(non-bonding electron pair) 친전자체(electrophile) : B, 전자 밀도 부족 이탈기(leaving group) : X 가수분해(hydrolysis) : 물분자의 산소가 친핵체로 쓰이는 반응 - 친전자체 : 에스테르, 아미드(amide), 산무수물(anhydride)의 카르보닐기 - 많은 음식 분자의 소화

② 제거반응(elimination reaction) : 한 분자 내 원자들 제거, 이중결합 형성

③ 첨가반응(addition reaction) 두 분자가 결합하여 하나의 생성물 형성 수화반응(hydration) : 대표적 첨가반응, 물분자(H2O) 첨가

④ 이성질화(isomerization) 반응 : 같은 분자 내 원자나 화학군이 이동하여 발생

⑤ 산화-환원 반응(oxidation-reduction reaction) : - 전자를 공여체(환원제, reducing agent)로부터 전자수용체(산화제, oxidazing agent)에 전달 할 때 - 전자를 주면 산화(oxidized), 전자를 받으면 환원(reduced) - 산화와 환원은 동시에 발생 - 한 분자가 산소를 얻거나 수소를 잃으면 산화(에틸알코올 → 아세트산) - 한 분자가 산소를 잃거나 수소를 얻으면 환원(아세트산 → 에틸알코올) 

3) 대사 ① 동화 회로(anabolic pathway) : 작은 전구물질 → 크고 복잡한 분자 합성, 에너지 소모 ② 이화 회로(catabolic pathway) : 크고 복잡한 분자 → 작은 물질로 분해, 에너지 방출

* 식물계의 당질은 일부분만 사람의 영양소로 이용 - 식물의 전분, 동물의 glycogen 및 이당류인 설탕, 맥아당, 유당 등 일부분만이 당질로 흡수 일반적인 대사원리 1. 대사과정 (metabolic pathway) 중요한 중간대사 물질로부터 대사되어 마지막 화합물까지 일어나는 일련의 반응지도 (metabolic map) 2. 모든 대사과정은 자유에너지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진행 3. 대부분 대사과정은 가역적이다. 4. 모든 세포에서 이용되는 에너지 형태는 ATP이다. 5. 세포는 대사과정에서 형성되는 모든 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6. 에너지 : glycogen 이나 triacylglycerol로 저장될 때 ATP가 사용됨 7. 대사는 세포 내 여러 소 기관에서 일어난다. 8.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중간물질은 자유로이 세포를 떠날 수 있다. 9. 세포 내 대사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조절

4) 생물의 질서  ① 생체 분자의 합성 ② 이온과 분자의 세포막 통과 ③ 세포의 운동 ④ 노폐물의 제거

① 생체 분자의 합성 - 다양한 화학 반응을 통해 합성 - 초분자 구조의 형성 : 막을 구성하는 단백질과 지질 - 정보 분자 : DNA, RNA - 화학 반응의 촉매 : 효소 - 에너지(ATP) 소모 ② 이온과 분자의 세포막 통과 - 세포막의 막-결합단백질(membrane-bound protein)에 의해 수행 -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하므로 에너지가 필요 예) Na+-K+ 펌프

③ 세포의 운동 - 세포 분열 - 세포 소기관의 운동 - 생장, 생식, 경쟁능력에 영향 ④ 노폐물의 제거 - 동물 세포 : 당과 아미노산을 CO2, H2O, NH3로 전환 - CO2 : 호흡계를 통해 배출 - H2O : 신장을 통해 배설 - NH3 : 요소(urea) 회로를 통해 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