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Advertisements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사회체계이론 생태학이론 갈등이론 교환이론 사회구성론
고대시대 교육 (P53~59) 그리스시대 교육 로마시대 교육.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Multi Intelligences Theory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제5장 사회재건·변혁중심 교육과정 : 교과활동(III) – 사회변혁과 교육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oral & Ethical Theory of Trade Unionism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교육사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 옥 남.
현대사회문제론 제 1부 사회문제에 대한 기본적 이해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이론적 관점 1. 가족체계이론 2. 가족발달이론 가족생활교육론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Multi Intelligence Theory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교육사회학의 주요이론 - 기능론과 갈등론- 김성천
<6조> 이연지 이정선 이제민 이종수 이진우 이태희 임진백 장세희 장수현 장진규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K. Marx 역사론.
문화의 장 이론 문화관광론.
Historical Materialism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공공정책학부 류헤연 공공정책학부 박민경 공공정책학부 박성준 사학과 남윤우 사학과 임경민
상관계수.
기능주의 교육이론 교육사회학 안뇽 호텔경영학과 최한윤 일어학과 김소원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2. 독서의 원리 대단원 정리.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Chapter 9 청소년 문제 사회문제론 5/10.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사회문제론 제 2 장. 사회문제의 이론.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교육사회학 접근 이론 년대 패러다임 접근 이론 분석수준 방법 논의 50-60 규범적 거시적 •기능이론(평등) -Durkheim의 사회화 -Parsons의 선발 •Comte ->Spencer -> Durkheim -> Parsons • 기술기능이론 • 인간자본론 사회 제도 사회 조직 사회 구조 객관적 실증적 교육 사회계층 평등 불평등 60-70 •갈등이론(불평등) -K. Marx, M. Weber이론에 토대 -경제재생산(Bowles & Gintis) -문화재생산(Bourdieu, Bernstain) -저항이론(Willis, Apple) -지위경쟁이론(Collins) 단국대 2008 여름 계절학기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접근 이론 년대 패러다임 접근 이론 분석수준 방법 논의 70-80 신교육사회학 미시적 •상징적 상호작용론 -Mead -> Blumer, Kuhn •자아(유희->게임->일반화된 타자의 단계) •민속방법론에 영향 •현상학(E. Husserl)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 소규모 집단 상호작용 역동성 변증법적 현상학적 질적(참여관찰) 개인 의지 개인 성장 개인 발달 개인 선택 단국대 2008 여름 계절학기 교육사회학

1. 대두 배경과 이론적 특징 19세기 전후: 자연과학과 다윈의 진화론 학문은 과학과 같은 엄밀함을 요구 받음 Comte(사회학의 창시자):사회물리학 기능주의 사회학의 출현 -1789년 프랑스 혁명:정치·사회적 혼란 -19세기 전후 :영국의 산업혁명경제, 사회구조의 변화 가속화

1. 대두 배경과 이론적 특징 사회학자들은 사회 안정과 질서 유지의 필요성을 느끼게 됨 Comte: 사회질서 유지와 개선에 관심 Spencer: 사회적 균형을 강조 Durkheim: 사회질서를 위한 사회통합 미국은 20세기 초에 사회질서 유지와 진보에 관심 - Parsons 중심의 기능주의 사회학 영향력 - 학교교육: 사회질서 유지와 발전을 위한 대표적인 제도적 장치

1. 대두 배경과 이론적 특징 사회는 개인에게 공정한 기회 제공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른 보상 부여 기능주의는 학교교육에 대해 낙관적인 사회적 전망 가능하게 함 사회안정, 균형, 질서 강조 학교교육의 기능 -아동에게 필요한 가치, 규범 내면화(사회화 기능) -사회의 각 분야에 필요한 인재를 배치 -학업성취 능력에 따라 학생 선발

1)기능이론(functional theory) Durkheim은 사회구성원간의 결속력 정도를 의미하는 사회적 연대 강조 사회적 연대 -기계적 연대(Mechanical Solidarity) :자연적으로 형성된 집단과 동료에 의해 연대의 식을 느낌(1차적 관계, 혈연, 지연, 동족 등) -유기적 연대(Organic Solidarity) :복잡한 계약에 의한 망으로 구성, 법과 이성에 의해 연대의식을 느낌(2차적 관계, 계약적) • 학교교육에서 도덕교육 중시 -> 사회구성원들의 합의 형성됨

1)기능이론(functional theory) 1 Parsons의 사회체제 -사회체계를 유기체 혹은 생존체계로 비유 •사회체제:정치,경제,사회 등 제반 기관의 활동을 통합하는 체제 • 인격체제: 사회적 존재로의 품성과 관련된 특성 • 문화체제: 상징으로서의 가치, 신념, 규범 • 각 체제는 상호의존적이고, 계속적으로 작용하며, 유기적으로 영향을 줌. - 학교의 기능 :사회화를 통한 사회적 안정, 통합, 합의 증진에 있음.

갈등이론(conflict theory) 1 K. Marx, M. Weber 이론에 토대 신마르크스주의자(Neo-Marxist)에 의해 발전(R. Dahrendorf, C. W. Mills, L. A. Coser) 기본논리 – 자본 획득 욕구 시각 – 사회를 개인 및 집단간의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의 연속 - 인간이 소유하고자 하는 대상물은 제한되어 있고, 인간의 소유욕은 무한하니 이 모순을 해결할 길은 없고, 경쟁과 갈등이 불가피함. 사회를 두 계급으로 봄 부르주아(지주, 지배계급, 땅-소유권 有: 상부) 프롤레타리아(소작농, 피지배계급, 소유권 無: 하부) – 이해관계를 둘러싼 갈등

2) 갈등이론(conflict theory) 1 Marx: 역사의 발전은 생산수단을 소유한 유산계급과 소 유하지 못한 무산계급의 투쟁 결과. 계급간의 갈등은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제도가 있는 한 피할 수 없음. -> 공산주의 실현을 통해서만 가능 현대의 갈등론자들은 그 원인을 사회적 가치의 희소성에서 찾음. 즉, 재화, 권력, 명예, 지위 등이 희소하기 때문에 갈등이 계속됨. 1960~1970년대 :현존 사회구조의 현상유지를 합리화하는 데 주력하 는 기능주의에 대한 반발과 비판으로 확산

2) 갈등이론(conflict theory) 1 사회는 권력투쟁이 일반적이지만 급격한 혁신도 가능하다고 봄. 사회제도를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으로 나누어 지배집단이 모든 사회가치의 중심체 역할을 하며, 현재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를 바라며, 피지배 집단은 언제나 체제의 안정을 위협한다고 봄. 따라서 지배집단은 설득, 교화, 선정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교육) 학교교육제도는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수단에 불과

경제재생산 이론(Economic reproduction theory) Bowles & Gintis: Marx의 상부-하부구조가 교육에서 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주장 학교는 사회적 경제구조를 재생산하는 통로 역할 증거: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1976) : 미국의 대학교육이 확대되었음에도 20년간 대학졸업과 사회계층간의 상관관계가 변화되지 않았음. 학교는 자본주의 사회유지에 필요한 가치관과 특성을 주입함. 단순노동자: 복종, 순응 강조 관리자나 경영자: 독립적 사고력, 선택능력, 신념에 따른 행동, 창의적 능력 등 강조

문화재생산 이론(Cultural reproduction theory) France의 Bourdieu: 학교교육을 계급관계의 문화적 재생산으로 파악: 계급사회는 상징적 폭력을 매개로 재생산된다고 봄 지배계급의 문화가 주된 내용으로 전수되는 학교에서 다른 계급 자녀들은 상대적으로 실패할 수 밖에 없음 -> 직업지위 획득, 계급재생산까지 연결된다고 봄. 가정과 학교에서 문화자본의 세대 전수(가정에서 토대가 마련됨) 지배계급의 문화는 가치 有, 피지배계급의 문화는 가치 없는 문화로 피지배계급에게 강요한다고 봄(상징적 권력이 상징적 폭력의 도구가 됨) 학교는 지배계급의 문화를 정통문화로 자연스럽게 전수하는 상징적 폭력이 행사되는 곳(권력과 특권을 무리 없이 전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장소).

상징적 상호작용론 (symbolic interaction theory) 1 이론의 기본원리 -사고능력: 개인은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고력 형성 -사고와 상호작용: 몸짓언어와 정신적 사고과정 분리 -의미와 상징의 학습: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행위와 상호작용: 외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으로 구분, 내면적 행동에 비중을 둠. -선택: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에 자신의 해석을 기초로 선택 -집단과 사회: 행위자 간 상호작용으로 집단형성, 사회생활이란 타인에게 무엇을 해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타인의 규정과 판단을 해석하는 결정과정 -교육적 측면: 자아의 발달은 어린이가 성장하면서 또래집단, 부모 등과 상호작용하면서 형성, 유아시절에도 몸짓으로 그 의미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