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의 변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내가 사는 세계 2. 위치에 따른 지역 차이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시간 위치에 따른 낮과 밤의 변화 태양시와 표준시, 시차 계절이 다른 북반구와 남반구 계절이 반대인 북반구와 남반구.
Advertisements

4. 아프리카 육지 넓고 더운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위치는 ? 북쪽에는 지중해 남쪽에는 남극해 서쪽에는 대서양 동쪽에는 인도양 유럽과 접해있다.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 과학기술윤리 21 조 발표 김병철 이형주.
7 대 자연 경관으로 선정된 성산일출봉.  제주도의 지질  한라산의 지질및 생태환경  백록담.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llaborators : 장연수, 정지훈, 김백민.
영서지방 여름철 강수 특성 강원 ( 청 ) 춘천기상대 정 장 근
통 영 기 상 대 Tongyeong Weather Station 경남서부남해안지방 기후변화 특성 통영기상대 백성애 제 3 회 기후세미나.
경남지역 집중호우 사례분석 부산지방기상청 부산지방기상청 예보과 김기영 ( 사례 )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15 일 18UTC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90km 부근해상에서 21km/h 의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으며, 중심기압 935hPa 중심최대풍속 48m/s 의 매우 강한 중형태풍임.
A Weekly Weather Briefing ( ~22) 강지현 최소희.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9 월 11 일 00UTC 경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1550km 부근해상 (9.4N, 134.0E) 에서 제 31 호 열대저압부 (TD) 가 발달하여 발생하였음. 11 일 18UTC.
5 조 날씨 브리핑 김유한 김푸름. 발표순서 1. 지난 주 예상일기도와 이번주 지상 일 기도 비교분석 2. 이번 주 남부지방 날씨 흐린 원인분석 3. 경기도 지방 고온현상 원인 분석.
Weather Briefing ~ 조 김미애 차지애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발표자 : 김미아 Weather briefing 지난주 일기 분석 ~
1. 기후 요소 와 기후 요인 의 관계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 습목 표.
서론 결론 및 향후 계획 본론 ( 기압계 유형별 안개 사례 분석 ) 가지산 옥녀봉 치술령 삼태봉 동대산 무룡산 울산공항.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1. 제품 소개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강우시 일정량의 빗물을 담수하여 서서히 침투수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의 유·출입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적층식 제방블록 사진 1. 적층식 제방블록.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III.유럽의 생활 일찍 산업화를 이룬 서부 및 북부 유럽 수목농업이 발달한 남부 유럽 민족과 문화가 다양한 동부유럽과 러시아.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1) 세계의 자연과 문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남서부남해안 아열대 과수 재배 예측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2월 20-27일 브리핑 이순주.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II. 생동하는 지구 2. 유체 지구의변화 2-1 기압과 날씨(1).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날씨와 일기예보 1. 기단과 전선 2. 일기도와 일기예보 3. 우리 나라의 4계절.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산림지리정보시스템과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상록수림의 영급과 식생지수 비교
관광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사회 1학년 1학기 Ⅲ 남부지방의 생활 4.관광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한반도의 형성과정.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삼한사온과 지구의 대기 6조.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Dokdo abyssal current 4조
해양 진출의 요지 • 넓은 평야와 복잡한 해안선 사회 1학년 1학기
2. 기후와 기후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기상과 기후 엘니뇨와 라니냐.
기후와 인간 생활 기 후 기후 요인 위도, 수륙분포, 해류, 해발고도 지형 ..등
지구온난화 보고서.
Ⅳ. 거주 공간의 변화 1. 촌락의 형성과 변화 전통 촌락의 형성과 입지 1.
지형 지체구조 : 시기별 암석, 자원 2. 중생대 화강암관입 : 중생대 육성층(공룡) 3. 신생대 제3기 경동성요곡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사 회 1학년 II. 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 1. 지형과 인간 생활(1/17) 지형의 형성 수업 계획 수업 활동.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3/9) 춥고 비가 적은 기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빙하지형 학습목표 1. 빙하지형의 특색을 형성과정과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무장지대(DMZ).
동해와 독도의 해저지형.
사 회 1학년 II. 자연환경과 인간생활>2. 기후와 인간생활[16/17] 강수 분포 수업 계획 수업 활동.
기단과 전선에 따라 날씨는 어떻게 달라질까? 과학 본시 학습 주제입니다.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2/9) 산지가 많은 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한국 등 서태평양지역 겨울 기상이변 (혹한) 우려 라니냐 (La Nina, 反엘리뇨 Anti-El Niño) 현상
세계 지리 · 권동희 Ⅱ. 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
2 차시 암석의 특성.
지구과학교육  VI. 지 구  일기와 기후 끝.
(3) 바람 ① 계절풍(monsoon) –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 ㉠ 여름 – 고온다습한 남동·남서계절풍 벼농사
사 회 1학년 II.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2. 기후와 인간생활[17/17] 강수와 주민생활 수업 계획 수업 활동.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Presentation transcript:

*계절의 변화

*장마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 . 6월중순~8월중순 . 오랜 장마 ; 농작물 냉해, 저지대 침수

* 태 풍

* 여름 * 대청마루,모시옷,죽부인 , 염장 식품 발달 칠포해수욕장으로 !!!!!

온돌방 ,정주간 , 오뎅탕 ,스키

삼한사온 현상 시베리아기단의 강약 (북서풍의 강.약)

식생과 토양

식생 *온량지수와 대체로 일치  기온에 따라 달라짐 *냉대림 : 개마고원 ,북부 내륙 *온대림 : 개마고원,남해안제외  한반도 전지역

* 난대림  1월평균기온0° C이상인지역 남해안 , 제주도 (상록 활엽수)

* 식생의 수직적 분포(제주도) 냉대림 1300m 온대림 600m 목축 200m 난대림 취락분포

* 울릉도 온대림 600m 난대림 난류의 영향

백두산 *난대림은 분포하지 않음. *2,000m이상 수목한계선

* 우리나라 토양의 특색 .대부분 정적토 .사질양토(화강암,편마암풍화) .유기질이 적은 산성토  집중호우 ,화학비료 남용

성대토양 기후 , 식생의 영향으로 형성 .포드졸성토 : 침엽수림지대 .갈색삼림토 : 중부 온대림대 .라테라이트성 토 : 난대림대

간대토양 모암의 특성이 나타남 . 테라로사 :석회암풍화토  강원남부 , 평남 . 현무암 풍화토 : 흑갈색토  화산지대

냉대림 온대림 난대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