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복지실천기술론 기능회복훈련과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Advertisements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힘 찬 병 원 신경외과. 1. 보조기 2. 일상생활 3. 허리건강을 위한 바른 자세 4. 수술 후 운동 5. 디스크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호 운동 1. 보조기 2. 일상생활 3. 허리건강을 위한 바른 자세 4. 수술 후 운동 5. 디스크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호 운동.
학년 체력 검사 * 요령 및 측정방법 * 서울문교초등학교 50m 달리기 출발 전 1. 제자리에서 가볍게 뜀뛰며 준비한다. ( 기록향상효과 ) 2. 출발 직전 ( 제자리 ) 에는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쏠리게 한다.
Ⅲ 운Ⅲ 운 동과 체력 관리 (2012 년 국민생활체육참여 실태 조사 )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고도 미세먼지 발생 시 대응요령... 미세먼지 … 예보 시행 ( )  아울러, 환경부에서는 국민건강보호를 위해 올 해 8 월부터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예 보를 시범실시하고 있으며, 내년 2 월부터 전국 을 대상으로 정식예보를 실시할 예정임.
프로그램 소개_일정표 (Day1/9h) 시간 프로그램 세부사항 11:00-12:00 Above the line
줄넘기의 대하여 5122 양민서.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 . . The 10 Minute Success POSTURES (운동자세) R&G Marketing.
달리기운동(Elliptical Trainer)
(Visual Display Terminal)
Volunteer work.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퇴행성 신경질환.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노력 - 3정5S운동을 중심으로 -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뇌졸중 환자의 낙상실태조사 Reports and statistics of falls in stroke 강보람 ․ 곽현아 ․ 김효진 ․ 노예진 . 박지혜 ․ 이진희 ․ 정은진 ․ 한여울.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체위변경 별관6병동 김성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피임이란?.
휴식처(웃음 십계명) 1.크게 웃어라 크게 웃는 웃음은 최고의 운동법이며 매일 1분동안 웃으면 8일 더 오래 산다.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원칙 1학년 6반 24번 이유빈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제5장: 생활습관병 예방, 관리(운동, 식사법).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I. Wellness : Life-Styles for Healthy Living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제7주 근력 증강을 위한 운동 처방 건강생활.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중증장애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조규행.
컴퓨터 구성요소와 사용 컴퓨터 문서 작업 인터넷 활용
제4차시 큰절 남녀 큰절의 기본 동작 대구달서시니어클럽 유아전통예절교육단.
이창호 칼럼 , ‘부모와 자녀의 현명한 의사소통’’
Anyang Volunteer Center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자동 접이식 병원 침대 < 캡스톤 디자인 제안 > * 이 름 : 이헌준 ( )
PART 02 케어복지 실천기술론 CHAPTER 19 관절운동.
3. 굴착 작업 오른손 조종 : 붐과 버킷 작동 ㄱ) 붐 하강 : 앞으로 민다. ㄴ) 붐 상승 : 뒤로 당긴다.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드럼 악보 보기 드럼 악보는 일반 악보와 표기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콩나물의 위치에 따라 악기가 선택되는 것이고 표시되는 음표에 따라 비트가 선택되는 겁니다. 드럼 악보는 드럼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입니다. 또 드럼 좀 한다는 사람은 드럼을 튜닝.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자원은 무엇이며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하는가
실험동물기초 실습 서정대 애완동물과 황보람.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케어복지실천기술론 기능회복훈련과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1.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 신체조직의 강인성이나 탄력성도 저하되어 근력과 관절가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1.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 신체조직의 강인성이나 탄력성도 저하되어 근력과 관절가동 범위가 차례로 제한 받게 된다. 자기가 의도하는 대로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노력을 해야 한다. 평상시 남의 도움 없이 스스로의 규칙적인 기능훈련을 습관 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움직임” 이라는 것은 인간에 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활동 이다. 생물학적 기능장애의 회복 : 뇌졸중, 뇌외상, 신경근질환 등에 의한 마비, 골절 후 관절염, 기타 수족의 기능회복을 위한 훈련 운동용법이나 기능적 작업요법에서의 훈련방법이 쓰여지며 잃어버린 근력, 관절가동력, 운동속도, 내구성 회복을 도모 개체로서의 기능회복 : 생물학적 기능장애가 영속적인 것이 되었을 경우 신체에 남아있는 건전한 기능을 개발해서 개체 로서의 기능회복을 도모. 주된 것은 일상생활 동작훈련이다. 편마비자에 대해서는 한 손으로섭식, 착탈의, 배변 등 필요한 수발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또 오른쪽 마비자에 대해서는 왼손으로 글씨를 쓰고, 수저를 쓸 수 있도 록 훈련하는 것 등이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2. 기능회복 훈련의 시점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2. 기능회복 훈련의 시점 어깨나 무릎의 기능이 약화로 식사활동이나 의복탈착활동 외출 등 일상생활 동작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매일 반복되는 이러한 활동들이 제한 받게 되면 타인으로부터 케어를 받지 않고서는 생활해나갈 수가 없다. 신체적인 기능이 저하되기 전부터 기능훈련을 하게 된다면 자력으로 식사활동 이나 의복탁찰 등이 조금이라도 수월해질 수 있다. 기능훈련 시에는 건강하고 밝은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신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일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일체가 되어 가족과 함께 운동을 한다거나 음악을 듣는다거나 게임을 부분적으로 도입한다든지 하여 즐겁게 하는 것이 좋다.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 훈련에 대해 습관을 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기능훈련(Functional Training)이란?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기능훈련(Functional Training)이란? 환자의 손상된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잔여기능을 훈련시켜 일상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데 있다. 기능훈련 목적 기능평가 환자가 스스로 신체를 다룰 수 있도록 하며 가정생활에 적응하고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 재활의 목적을 달성시키는데 있으며 기능훈련은 일상생활 동작 (Activites of Daily Living :ADL)을 중심으로 실시한다. 훈련 원칙 운동계획 및 활동계획을 세우기 위해 환자의 신체적 조건을 평가한다. 질적검사 -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양적검사 - 신체기능 중에서 관절운동범위, 근력, 근지구력 협조성 및 감각검사 등 효과적인 환자의 신체적 조건에 의하여 운동계획 및 활동계획을 세워 방법으로 실시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기능훈련의 목적은 전신의 근력과 관절 심장 폐의 기능을 좋게 하고 전신의 체력을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일상 생활을 즐겁고 보람되게 보낼 수 있다. 1)위로 향해 누운자세 운동 (1)골반들기 체력 근력 기력의 저하를 막는데 도움이 되며 누운자세에서 변기 삽입에도 도움이 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무릎세우고 골반 돌리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무릎세우고 골반 돌리기 보행시 골반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여 보행활동을 촉진시킨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3)자전거 폐달 밝기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3)자전거 폐달 밝기 운동 보행 시에 필요한 하지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보행 상태를 안정시킨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4)상체 일으키기와 앞으로 굽히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4)상체 일으키기와 앞으로 굽히기 근력을 강화하고 윤연성을 키운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앉은 자세 운동 (1)앉은 자세 균형유지 체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앉은 자세 운동 (1)앉은 자세 균형유지 체조 앉은 자세의 균형 유지는 기립과 보행의 필요조건이다. 편마비 장애인 경우 휄체어의 구동력이 적고 보행곤란이 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앉은 자세에서 상반신 굽히기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3)침대 모서리에서 반 기립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3)침대 모서리에서 반 기립 운동 하지 근력을 증강 시키고 기립과 보행 준비가 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4)발목 관절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4)발목 관절 운동 발목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아킬레스건을 좋게 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5)발끝으로 바닥 밝기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5)발끝으로 바닥 밝기 운동 대퇴부 4두박근 강화하고 좌우 하지의 균형감각을 유지 시킨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6)다리 뻗어들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6)다리 뻗어들기 대퇴부 4두박근을 강화하고 변형성 무릎관절염을 예방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7)상체 돌리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7)상체 돌리기 상체의 유연성을 높이고 안정감을 찾도록 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8)팔 체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8)팔 체조 팔을 올리고 내리는 운동을 의해 팔근력을 강화시키고 아울러 어깨관절의 가동력을 넓힌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9)손가락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9)손가락운동 주먹을 쥐고 펴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악력을 강화하고 손의 민첩성의 기른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10) 목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10) 목 운동 안면근육 운동을 통하여 뇌의 기능을 촉진시킨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11) 입 운동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11) 입 운동 입을 크게 벌리고 닫는 운동을 하여 식사활동이나 대화가 원활하도록 한다. ① 입을 크게 벌린다. ② 입을 닫는다 ③ 목소리를 내지 않고 천천히 말한다. (12) 혀 운동 의식적으로 혀를 움직여 보다 순조롭게 식사활동이나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 시킨다. ① 혀를 크게 내민다. ② 입 속에서 혀를 넓게 돌리듯이 움직인다(반복)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3)선 자세 운동 (1)국민건강체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3)선 자세 운동 (1)국민건강체조 전신의 근육을 펴거나 굽히거나 하면서 몸의 유연선을 높여 전신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수건 체조 제1절. 기능회복 훈련의 의의와 시점 3. 기능회복 훈련의 유형과 방법 (2)수건 체조 손수건을 활용하게 되면 전신운동이 하기 쉽게 된다.

제2절.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1. 케어복지사 건강을 위한 케어 포인트 케어복지사의 심신이 건강하지 못하면 제2절.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1. 케어복지사 건강을 위한 케어 포인트 케어복지사의 심신이 건강하지 못하면 적적하고 융통성 있는 케어가 될 수 없고 지속하기 힘들다. 케어복지사 자신이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기 위해서는 식사나 수면을 충분히 고려 하여 케어로 인한 피로를 씻을 수 있 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상자 가족들도 케어로 인해 지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계획성 있게 효율적으로 케어 용구는 분산시켜 두지 말고 한 곳에 정리해 둔다 사용한 용구는 제자리에 둔다 계획표를 만든다. 1일 1주일1개월 단위로 시간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계획을 세운다. ②몸을 다치지 않는 케어방법을 배운다 신체구조를 완전이해한다. 무리한 자세로 인한 허리나 어깨 부담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부담도 경감시킨다. 케어요령을 터득한다. 케어행위는 반복작업이 많기 때문에 케어요령을 알게 되면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정신적으로 여유가 생긴다. ③주위의 지원을 받는다. 공공복지서비스를 이용한다. 복지관등에서 실시하는 목욕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주위로부터 도움이 있으면 잘 활용한다. 혼자서 모든 것을 하려고 하지 말고 주위의 자원봉사자 등을 활용한다.

제2절.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2. 케어복지사 건강관리 케어복지사 건강관리 (1)일상생활의 주의사항 (3)정기검진 제2절.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2. 케어복지사 건강관리 케어복지사 건강관리 (1)일상생활의 주의사항 (3)정기검진 식사 : 영양소를 고려하여 규칙적 식사 운동 : 체력을 유지시킨다. (2)정신위생상의 주의사항 자기 자신의 건강을 맹신하지 말고 1년에 1회 정도는 정기 검진을 받자. 특히 성인병이 나타나기 쉬운 연령층의 경우에는 정기검진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기분이 좋지 않거나 초조할 경우에는 기분전환을 하는 것이 좋다. 평상시 취미생활을 갖고 이를 통하여 해방감을 얻도록 한다.

제2절. 케어복지사의 건강관리 2. 케어복지사 건강관리 (4)요통과 어께결림을 예방하기 위한 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