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 예방과 노동조합의 활동 인천대학교 산업공학과 공학박사 백승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김 재 형 [ 기아자동차 산업안전기획팀 ] [
근골격계질환예방. 근골격계질환 ㅇ 반복적인 동작 ㅇ 부적절한 작업자세 ㅇ 무리한 힘의 사용 ㅇ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ㅇ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 해 ㅇ 목, 어깨, 허리, 상 · 하지의 신경 ·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인간공학적 작업자세 평가기법 Department of Safety & Health Engineering,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 Engineering, INJE University System Safety Lab Inje University,
힘 찬 병 원 신경외과. 1. 보조기 2. 일상생활 3. 허리건강을 위한 바른 자세 4. 수술 후 운동 5. 디스크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호 운동 1. 보조기 2. 일상생활 3. 허리건강을 위한 바른 자세 4. 수술 후 운동 5. 디스크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호 운동.
학년 체력 검사 * 요령 및 측정방법 * 서울문교초등학교 50m 달리기 출발 전 1. 제자리에서 가볍게 뜀뛰며 준비한다. ( 기록향상효과 ) 2. 출발 직전 ( 제자리 ) 에는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쏠리게 한다.
한의학과 몸의 움직임과의 소통. 수태음폐경은 ①중초 ( 윗배 근처 ) 에서 시작하여 ②아래의 대장에 락하였다가 ③위 입구 ( 위구 ) 를 돌아 ④횡격막을 꿰뚫고 폐에 속하며 ⑤다시 폐계에서 ⑥옆으로 나와 겨드랑 밑에서 ⑦팔 안쪽을 따라 내려가서 수소음심경과 수궐음심포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제도 - 법, 고시 근골격계질환 개요 2. 근골격계질환 예방제도 3. 근골격계부담작업은 ? 4. 기타 참고 사항 순 서.
성장 마사지 KOREA SPORTS LEADER SCHOOL 박 서 현. 키 크기 마사지 - 성장점 누르기  태어나서 1 세 이전은 큰 키와 작은 키를 판가름하는 시기 라 할 수 있다. 성인 신장의 40-45% 이상이 자라게 되는 사춘기만큼이나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지는.
1. 근골격계 질환이란 2 근 육, 건, 그리고 신경 등에 일어나는 통증을 동반한 질환들의 총칭 예) 수근관 증후군, 건염, 흉곽 출구 증후근, 경추 전방 자세 증후근 등 직 업 활동이 반복적이며 지속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작업 자세에서 행하여 지는 경 우 이러한 질환들이.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휴보 2. 휴보의 신체특징 키 : 128cm 몸무게 : 45kg 보행속도 1.8km/h( 최대 ) 달리기속도 3.6km/h( 최대 )
2 호선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결과보고 승무지부 성수지회. 힘차게 전진하는 승무지부 성수지회 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 유해요인 조사내용 1. 운전실내 의자 불량개소 파악 2. 운전실내 돌출부위 파악 3. 2 호선 전 구간.
Internet Addiction Disorder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대응방안 사후관리 사전예방 근골격계질환의 증상호소 작업분석 임상진단 직업관련성평가 작업개선 (인간공학)
. . . The 10 Minute Success POSTURES (운동자세) R&G Marketing.
통 증.
서울강서 근로자건강센터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모열
(Visual Display Terminal)
세라밴드를 이용한 발목운동법 발목 신전운동 앉은 자세에서 세라밴드의 양쪽을 손으로 고정합니다.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
퇴행성 신경질환.
통증의 생리학적 기전 2 김종환.
작업성 근골격계 질환 대처방안 한국산업안전공단 서울지역본부.
반월상 연골 (meniscus).
과목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담당교수님: 황성수 교수님 발표일: 발표자: 이나임
M10 통풍(Gout).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조선업의 인간공학적 작업관리 - 인간공학 프로그램 개발 및 작업환경개선 -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뇌졸중 환자의 낙상실태조사 Reports and statistics of falls in stroke 강보람 ․ 곽현아 ․ 김효진 ․ 노예진 . 박지혜 ․ 이진희 ․ 정은진 ․ 한여울.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1.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 1) 척주(Vertebral column) (1) 추체 (2) 척추궁 (3) 척주관 (4) 극돌기
체위변경 별관6병동 김성림.
요통 재해 예방 대책.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인간공학 논문 요약 과 목 명 : 인간공학과 디자인 담당교수 : 최윤정 교수님 발 표 일 : 2001년 5월 7일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본 근골격계 부담 작업의 범위와 작업 환경 개선
33가지 질환에 따른 건강마사지 이경미.
스마트폰 어깨 증후군 대한견주관절학회.
뚜렛 증후군 증후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강박적 행동 적대적 반한
무릎의 거위발 Pes Anserinus.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스트레스와 건강.
### 척주 - vertebra  * 경추 - cervical vertebra 7개의 경추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극돌기가 두갈래로 갈라져있고, 횡돌기에는 구멍이 있다.  * 제1경추 - 환추 first cervical vertevra 두개골과 관절을 이루어 환추(atlas)로.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제4차시 큰절 남녀 큰절의 기본 동작 대구달서시니어클럽 유아전통예절교육단.
국내 중대재해.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PART 02 케어복지 실천기술론 CHAPTER 19 관절운동.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전문운동처방연구소 웰 – 빙 Special Exercise Prescription Research Institute 봉 순 녕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노동조합의 활동 인천대학교 산업공학과 공학박사 백승렬 017-487-1088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노동조합의 활동 인천대학교 산업공학과 공학박사 백승렬 017-487-1088 Maven@incheon.ac.kr

근골격계 질환이란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특정한 신체부위를 집중, 반복적으로 사용 관절부위를 부자연스럽게 굽혀 사용 장시간 작업으로 피로의 누적 누적외상성질환(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 요통(Low Back Pain: LBP)  근육, 신경, 건, 인대, 관절, 연골등 근골격계의 만성적 건강장해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 죽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다 원인이 없다 진단이 어렵다 완치가 어렵다 재발이 쉽다 증상이 다양하다

발생원인 작업 요인 작업자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반복적 동작 성별(여성) 복합적인 인과관계로 발생 직업만족도 무리한 힘의 사용 부자연스런 자세 날카로운 면과의 접촉 진동 및 온도 작업자 요인 성별(여성) 작업경력 작업습관 운동 및 취미활동 복합적인 인과관계로 발생 사회심리적 요인 직업만족도 근무조건 만족도 직장내 인간관계 업무적 스트레스 기타 정신 심리상태

직업병의 분류 전통적 직업병 : 납중독, 유기용제중독, 진페증, 소음성 난청 : 직업적 원인으로만 발생 일반질병이지만 직업에서 발생되면 직업병 : 도장공의 백혈병, 배관공의 폐암, 가구공장의 천식 직업적 원인 + 비직업적 원인이 복합되어 발생 : 반복조립작업자의 근막통증후군, 중량물취급자의 요통 비직업적 원인으로만 발생되나 직업에 의해 악화 : 과로사, 업무스트레스에 의한 뇌출혈, 심장질환 등

질환의 발생 경로 1단계 작업시간 통증 및 피로감 휴식후에는 호전됨 작업능력저하는 없다

2단계 작업시간 초기부터 발생 휴식후에도 통증 지속 수면장애 장기간 지속

3단계 휴식시에도 통증 반복적인 움직임이 없어도 발생 자다가 통증으로 깬다 작업뿐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장애

누적외상성 질환 두통 눈의 피로 목과 어깨의 근육통 요통(상부, 하부) 상완부 혈액순환장애 상지 통증 (전완, 손, 손가락) 무릎, 발목 통증

근막통 증후군 장시간의 반복작업, 근육긴장 혈액순환감소, 피로물질 축적 근육뭉침, 통증발생 만성 통증

목 부위의 질환 질환 증상 원인 근막통증후군 목과 어깨 근육 뭉침, 목 통증, 머리 및 어깨, 팔로 통증이 뻗침, 목의 움직임 제한 목을 숙이거나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돌리는 고정된 자세, 목을 이용한 반복자세 경추부 염좌 목 통증, 목을 움직일 때 통증 증가, 목 움직임 제한 목의 굽힘과 젖힘, 회전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목과 머리의 충격 신경근병증 추간판탈출증 상지 감각변화, 저림, 통증, 근육 약화 목의 고정된 자세에 의해 경추의 퇴행성 변화, 외상 경추부 퇴행성 목 통증, 어깨 통증 목의 고정된 자세, 반복적인 목의 숙임과 젖힘

어깨 부위의 질환 질환 증상 원인 근막통증후군 목과 어깨 근육 뭉침, 목 통증, 머리 및 어깨, 팔로 통증이 뻗침, 목의 움직임 제한 목을 숙이거나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돌리는 고정된 자세, 목을 이용한 반복자세 회전근개염 회전근개 파열 손을 머리위로 작업시 어깨 통증, 손을 펴서 들거나 몸 밖으로 펼칠 때 근력저하 중량물을 들거나 갑자기 중량물을 당길 때, 몸 바깥쪽으로   팔을 뻗은 상태에서의 근력이 떨어지는 경우 충돌증후군 극상근 건염 견봉하점액낭염 어깨 관절 회전시 어깨통증 밤에 어깨통증 증가 어깨 회전근육의 퇴행성변화, 반복적인 머리위 작업, 급성 염좌 견관절 염좌 어깨 통증 과도한 어깨 사용 상완이두 건막 염 어깨관절 불안정, 과도한 사용, 과도한 힘이 사용

질환 증상 원인 외상과염 (테니스 엘보) 손목을 굽힐 때, 손을 꽉 쥘 때 팔꿈치 바깥쪽 통증 반복적인 손목 작업 급성 외상(가능) 내상과염 (골퍼스 엘보) 손목을 손등 쪽으로 젖힐 때, 손을 꽉 쥘 때 팔꿈치 내측 통증 주두 점액낭염 작업대에 닿는 팔꿈치 부위의 통증, 부종 팔꿈치로 작업대로 반복적으로 기댈 때, 급성 외상, 반복적인 손목 작업 척골신경 포착 주관 증후군 손바닥 안쪽 및 새끼손가락 통증 및 감각이상 반복적인 손목 사용 및 팔꿈치로 작업대에 기대는 경우 요골신경 포착 척골관 증후군 외측 팔꿈치에서 5cm 아래 부위의 팔 통증 및 이상 감각, 엄지 및 둘째손가락 통증 및 이상감각 손목의 반복적 사용

드퀘벵증후군/방아쇠 손가락

수근관 증후군 결절종

수지 관절염

질환 증상 원인 인대/힘줄 염좌 힘줄 및 인대부위의 통증, 움직일 때 통증 악화 과도한 손목 및 손작업 건염/건초염 근육 및 힘줄 부위의 통증 반복작업, 힘이 드는 작업, 경직된 자세, 외상 드퀘벵 건초염 엄지손가락 쪽의 손목 부위 통증, 엄지를 굽히거나 모으거나 벌릴 때 통증 증가 방아쇠 손가락 손가락이 굽혀진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음, 손가락 첫째 마디 통증 수근관 증후군 엄지, 검지, 중지의 저림, 밤이나 움직일 때 심해짐. 아래팔로 뻗치는 손의 통증, 악력 감소, 작은 물건을 집어 올리기 힘듬. 주먹을 꽉 쥐는 자세 또는 엄지 및 검지로 집는 자세가 반복(경직),수지진동, 손목 부위 건초염 결절종 손목 및 손의 자주 쓰는 관절 부위에 발생하는 종양(통증이 동반) 과다한 관절 사용 수지진동증후군 추위 노출시 손가락이 하얗게 되며, 손가락 통증, 저림, 감각이상 진동공구의 사용

요추부 염좌 (추간판 탈출)

질환 증상 원인 요추부 염좌 요통, 무릎 윗부분까지의 하지 통증, 요추부 운동제한, 요부 근육 긴장 과도한 부하(힘), 들기작업, 허리 비틀림, 허리 굽힘, 추락, 직접적 외상 신경근병증, 추간판탈출증 하지 통증, 하지 감각저하, 근력 저하, 보행 장해 과도한 허리사용에 의한 퇴행성 변화, 허리 부담 작업 근막통증후군 요통, 허리주위 근육 뭉침 과도한 부하(힘), 들기작업, 허리 비틀림, 허리 굽힘 척추전방전위증 요통, 하지 통증 척추 분리증이 있는 상태에서 허리 부담작업, 외상에 의해 발생 및 악화 척추관협착증 요통 및 하지 통증, 보행 및 활동에 의해 하지 통증 악화 퇴행성 변화, 허리부담작업 및 외상에 의해 악화 가능 디스크 내장증 디스크 퇴행성 변화, 허리 부담작업, 외상

하지 정맥류

무릎 관절염

질환 증상 원인 반월판연골 손상 무릎 통증, 무릎운동시 통증, 운동 제한 쪼그려 앉기, 서있는 상태에서 무릎 비틀림, 반복적 외상 측부 인대파열 무릎 외측 및 내측 통증 무릎의 비틀림, 무릎 외측 및 내측의 충격 전방 십자인대 파열 손상부위 관절내 소리, 통증, 부종 무릎의 비틀림, 전방 십자인대 부위의 외상 후방십자인대 파열 무릎 아래부위의 통증 무릎 전방부위의 외상, 무릎 부위의 심한 사고성 손상 인대 염좌 무릎 외측 및 내측 통증, 중량물 작업 및 무릎 회전에 의해 악화됨. 외상, 무릎의 비틀림 슬개골 연골 연화증 무릎에서 소리, 슬개골 안쪽 통증, 계단 및 언덕 오를 때 통증 만성 진동과 충격, 슬개골의 직접적 외상, 과다한 사용 관절염 무릎 부종(물참) 원인불명, 과다한 무릎 사용 슬개골 건염 슬개골 인대 부위의 통증 반복적인 미세 손상 전슬개 활액낭염 슬개골의 부종, 부종에 의한 운동제한 무릎을 끊은 작업에 의한 반복적 미세 손상

근골격계 증상 발생과 관련된 요인 분석 -연령 및 근무년수가 증가할 수록 증상발생이 감소 -교대근무자에서 증상발생이 증가 대전지역 사업장 결과 -연령 및 근무년수가 증가할 수록 증상발생이 감소 -교대근무자에서 증상발생이 증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할 수록 증상발생이 감소 -노동강도가 강하다가 평가한 경우 증상발생이 증가 -스트레스가 높은 고긴장군에서 증상발생이 증가 -유해작업요인 및 부적절한 작업자세가 많을 수록 증상발 생이 증가(2.7배-10.7배)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 작업/휴식 비율조정 작업빈도 개선 심리적 스트레스 대책 치공구를 통한 작업방법 개선 인간공학적 작업장 설계 작업자 신체조건에 맞는 배치 작업전환/순환 배치 작업전-중-후 스트레칭 개인적 체력관리 권장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해결대책 (중장기)

노동조합의 활동원칙 I 산안간부만의 활동이 아닌 노조 집행부가 지원하고, 조합원이 참여하는 일상적 활동과 투쟁이 되어야 한다. 질환자로 의심되는 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관리함으로써 문제를 최소화 한다. 일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현장활동가를 참여시켜야 한다. 조합원, 현장 활동가, 노동조합 간부들을 교육하고 훈련한다.

노동조합의 활동원칙 II 위험요인 및 증상을 평가하고 관리 대상 선정과 개선 방향을 설정한다. 환경개선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실천해 나간다. 질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실시한다. 작업개선 및 증상 변화에 대한 사후 평가를 진행하고 문제점을 보완한다. 모든 내용을 문서화한다.

근골격계 조사사업

평가방법 1단계 : 어떤 작업자세가 문제되는지를 평가한다. 2단계 : 반복성 혹은 정적인 동작을 평가한다. 2단계 : 반복성 혹은 정적인 동작을 평가한다.  3단계 : 작업할 때 필요한 힘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한다. 4단계 : 기타 사항을 평가한다. 5단계 : 신체 부위별로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최종 평가한다.

(Analysis Tools) 평가되는 위해요인 관련된 신체부위 적용대상 작업 종류 한계점 평가도구명 (Analysis Tools) 평가되는 위해요인 관련된 신체부위 적용대상 작업 종류 한계점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반복성 힘 불편한 자세 손목, 팔, 어깨, 목, 상체, 허리, 다리 간호사,  청소부  주부 등의 작업이 비고정적인 형태의 써비스업계통.   반복성 미고려 OWAS (Ovaco Working Posture Analysing System) 자세 노출시간 상체, 허리, 하체 중량물취급 중량물작업 한정 반목성 미고려 JSI(작업긴장도지수) (Job Strain index) 손, 손목 경조립작업, 검사, 육류가공, 포장, 자료입력, 세탁... 손, 손목부위 작업 한정, 평가의 객관성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 손목, 팔, 팔꿈치,어깨, 목, 상체 조립작업, 목공작업, 정비작업, 육류가공, 교환대, 치과  반복성과 정적자세의 고려가 다소 미흡, 전문성 요구 Revised NIOSH Lifting Equation(NIOSH 들기작업지침) 허리 4kg 이상의 중량물취급, 과도한 힘을 요하는 작업 전문성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