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시스템 에너지관리공단 수요관리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추진 사례 Ⅰ ( 수원역사 ) Ⅰ. 서 론 Ⅱ. 열병합발전 시스템 구성 Ⅲ. 도입 효과 Ⅳ. 문제점 및 건의사항 Ⅴ. 결 론 Contents.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1 태경농산 안성공장 공장 자발적 ‘ 하계 전력부하관리계획 수립 / 이행 ’ ☞ 최대 지원금 수혜 ☞ 에너지비용 절감 2007 년 하절기 전력수요 상승에 따른 Utility 비용 증가예상 ( 한전 주관 ) 2007 년 하계 전력부하관리 지원제도 참여 [ 휴가 / 보수기간.
ESCO 사업 관련 금융기법 활용 차 례 Ⅰ. ESCO 사업 개요 Ⅱ. ESCO 자금조달의 문제점 Ⅲ. 신규 자금조달 방안 Ⅵ. 자금조달을 위한 제도개선.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2003 년 ¼ 분기 경영실적 April, 본 자료는 2003 년도 ¼ 분기 실적에 대한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서 투자자 여러분의 편의를 위하여 작성된 자료입니다. 본 자료의 내용 중 일부는 회계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음을 양지하여.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 추진현황 ( 과제명 : 분리형 히트파이프식 열교환기 개발 ) ㈜ 동 화 엔 텍 홍 성 희 사 장.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개선사례 : MVR 설치 옥탄올 공장의 이성체 정제탑에 *MVR를 설치하여 년간 10억원의 에너지를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KHRD컨퍼런스2010 HRD컨퍼런스&엑스포 제8회 한국HRD대상 KHRD컨퍼런스2010 참가 신청서
<부산대학교 건설관 오시는 길>
’15 방위산업이차보전 설명회.
II. 감축량 산정.
두뇌유출지수 경영학부 홍석민.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LED 광고탑 도입 검토 결과 AAA 팀.
SH서울주택도시공사 임대아파트옥상 및 유휴부지를 활용한
양평동 동아 프라임 밸리 분양 안내자료 건축 개요 조 상 오 과장
IPCC 탄소배출계수(CARBON EMISSION FACTOR: CEF)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EnergySoft's 소형열병합발전 도입 타당성 검토 기법 ( 개요 및 부하패턴 분석방법 중심으로)
<초소형 계통연계 인버터 보드>
25W급 RF에너지 전송 설계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열린 우리당 신규 시스템 산출 내역 (대외비) ㈜ 클루닉스 기술부.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중국 대형업체 : up to 9 % 영업이익 한국 업체 : 10 ~ 35 % 영업손실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예제] 의사결정나무 현재의 공장을 기술적 진부화에 대비하여 현대화하는 문제를 고려 중인 상태에서,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청정 에너지 프로젝트 분석 소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분석 과정
OECD 평균 한국
중장기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 한 국 전 기 연 구 원 전력산업연구실장 이창호.
Boil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수력에너지.
재무 계획 예상소요 비용 예상 매출 추정 손익 계산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투자 유치 계획.
2002 3/4분기 실적.
가스냉난방시스템 전기비를 확 줄여주는 (GHP, 흡수식냉온수기) 안전하고 편리한 에너지 저렴한 냉난방 운전비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100 % 50 % % 80.2 % 78.7 % 71.6 % 68.7 % 65.5.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OOOOOO 사업계획서 OOOO대학 OOOO과 O반 팀 장 : O O O
2020년 송변전설비 주변지역 지원사업 안내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송전운영부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Presentation transcript: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시스템 에너지관리공단 수요관리처

목 차 Ⅰ.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이란? Ⅱ. 보급 확대의 필요성 Ⅲ. 지원 제도 Ⅳ. 공동주택 경제성 분석 목 차 Ⅰ.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이란? Ⅱ. 보급 확대의 필요성 Ⅲ. 지원 제도 Ⅳ. 공동주택 경제성 분석 Ⅴ. 참고 : ESCO투자사업

Ⅰ.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이란 ? 1.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이란? 2. 가스 열병합발전 형식 3. 가스 엔진 및 터빈 열병합발전 구조 4. 에너지절감 효과 5.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시스템 장·단점 6. 보급현황(국내, 국외)

1.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이란? 열병합발전이란?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이란? 하나의 에너지원으로 전력과 열을 동시 생산·이용하는 종합에너지 시스템(연속적으로 2종류 이상의 2차 에너지를 발생)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이란? 청정연료인 가스(LNG)를 이용하여 전력과 열을 생산 이용하는 열병합발전시스템 통상 발전용량 10MW이하의 가스엔진이나 터빈을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을 말함.

2. 가스 열병합발전 형식 ☞ 가스열병합발전 형식에는 엔진, 터빈, 연료전지가 이용되나 연료전지의 경우 경제성 부족으로 보급실적이 미흡함.

3. 가스 열병합발전 구조-가스터빈 ☞ 가스터빈 구동으로 발전하고, 배기가스 회수용 폐열보일러(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증기 또는 온수를 생산 생산함.

3. 가스 열병합발전 구조-가스엔진 ☞ 가스엔진 구동으로 발전하고, 엔진 자켓 냉각수 및 배기가스와 열교환하여 주로 온수를 생산함.

4. 에너지절감 효과 에너지절감율 : 32%, CO2배출감소율 : 25% ※ 산출기준 LNG 0.237N㎥ 1 kWh 0.167N㎥ 1.43 Mcal CO2 배출량 131.9 (g-C) 111.7 (g-C) 0.273N㎥ 182.6 (g-C) 발전효율 38% 효율 90% 폐열이용 효율55% 기존시스템(수전+보일러) 가스열병합발전시스템 33% 국내발전 보일러 가스열병합 발전시스템 에너지절감율 : 32%, CO2배출감소율 : 25% ※ 산출기준 - CO2 배출계수 : LNG 0.637 tC/toe, 전기 0.1319 tC/MWh - 국내발전효율 : 38%, 가스열병합발전시스템효율 : 88%

5. 가스 열병합발전시스템 장·단점 장 점 단 점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환경친화적인 시스템 초기 투자비 과다 종합효율 75~90%(화력발전 40%이하) 환경친화적인 시스템 천연가스이용, CO2, NOx, SOx 감소 (CO2 20~50%감소) 분산형전원, 비상발전 자체적으로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 발전소 및 가스저장시설 비용 회피 송전손실 감소 장 점 초기 투자비 과다 규모의 비 경제성 위험 설비수입으로 설치비용과대 유지비용 크고 보수곤란 국내 기술부족 및 외산 자재 확보의 어려움으로 비용이크고 장기간소요 투자비 회수 위험 열전비 및 열전수요 부적절시 단 점

☞ ’03년말기준, 총 32개소 60대 10만W가 설치되어 총 발전용량의 0.2%를 담당하고 있음. 6. 가스 열병합발전 보급 현황(국내) 설치용량 99,800kW (60대) 총설치 32개소 ☞ ’03년말기준, 총 32개소 60대 10만W가 설치되어 총 발전용량의 0.2%를 담당하고 있음.

열병합발전 보급 현황(국외) [유 럽]-열병합발전 Cogen Europe을 1993년 설립, 지속적인 보급 추진 [일 본] 설치용량 : 총 발전량의 1.0%, 244만kW, 1,686건(2001년말, 가스엔진,가스터빈,연료전지 기준) 산업용 : 1,894 MW, 460 건, 민생용 : 545 MW, 1,226 건 2010년 설치 목표 : 464만kW [유 럽]-열병합발전 Cogen Europe을 1993년 설립, 지속적인 보급 추진 덴마트, 네덜란드, 필란드 등이 가장 활발하게 추진 2010년 설치목표 : 총발전량의 18%(현재 9%)

Ⅱ. 가스 열병합발전 보급확대 필요성 1. 국내 에너지 환경의 기본 여건 2. 에너지 사용 전망 3. 국내 에너지 수요 패턴(가스 및 전력) 4. 가스 열병합발전 도입 효과 및 필요성

1. 국내 에너지 환경의 기본 여건 에너지자원 절대 부족 에너지소비 세계 10위, 석유소비6위, 수입4위 수입의존도(’02) : 97.3%-에너지시장변동에 취약 에너지수입액(’03) : 389억$-총수입의23.3% 과다한에너지 수입으로 국민경제에 부담 에너지소비 세계 10위, 석유소비6위, 수입4위 1인당 에너지사용량 지속적 증가 예상 1인당(toe/인) : 3.58(’98)→3.89(’99) →4.31(’02) 대형화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민생부문 증가-전력 및 LNG등 고급에너지 사용 증가

2. 에너지 사용 전망 세계 에너지총수요는 꾸준히 증가 전망 국내 총 에너지수요는 2011년까지 연평균 3.5% 증가 전망 개도국의 높은소비 증가에 힘입어 2011년까지 연평균 2.3%씩 꾸준히 증가 전망 석유는 주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고, 청정연료인 가스의 급성장이 예상 국내 총 에너지수요는 2011년까지 연평균 3.5% 증가 전망 환경에 대한 규제와 관심증가로 청정연료인 LNG와 원자력 비중은 증가하는 반면, 석유 및 무연탄 비중은 감소 LNG는 비중이 2001년 10.5%에서 2011년 11.1%로 증가 전망

[우리나라 1차에너지 수요 전망] 구 분 석 유 (단위:백만TOE,%, 기준안) 석 무연탄 탄 유연탄 LNG 수 력 원자력 구 분 1990 2000 2011 2020 연평균 증가율(%) ’01-’06 ’01-’11 석 유 50.2 (53.8) 100.3 (52.0) 125.4 (46.5) 139.6 (44.8) 3.0 2.2 석 탄 무연탄 9.9 (10.7) 3.1 (1.6) 2.3 (0.9) (1.8) -5.6 -3.5 유연탄 14.4 (15.5) 39.8 (20.6) 57.7 (21.4) 60.3 (21.2) 3.4 3.2 LNG (3.2) 18.9 (9.8) 33.2 (12.3) 48.0 (15.4) 8.5 4.8 수 력 1.6 (1.7) 1.4 (0.7) 1.2 (0.5) (0.4) 0.8 원자력 13.2 (14.2) 27.2 (14.1) 43.5 (16.2) 52.0 (16.7) 4.5 신탄 기타 2.1 (1.1) 5.8 (2.1) 8.6 (2.7) 11.5 9.6 합계 93.2 (100.0) 192.9 269.3 311.8 3.7 ※ 기준안 : 기존에너지정책+현재계획중인 정책이 시행될 경우의 예상 전망치

3. 국내 에너지 수요 패턴(가스, 전력) ※ 冬高夏低의 가스 수요와 夏高冬低의 전력수요 ☞ 잉여가스, 전력피크로 추가적인 가스저장시설 및 발전소 건설 필요 ※ 에너지수급안정화를 위한 가스와 전력의 에너지 전환이 필요 ☞ 가스 열병합발전을 통한 분산형 전원산업 구축이 요구 GAS 전력 전환 하절기 전력피크 하절기잉여가스

4. 가스열병합발전 도입효과 및 필요성 국가적 측면 사용자적 측면 ※ 가스 열병합발전 도입은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분산형 전원산업구축 발전소 건설비용 회피, 계절별 에너지수급 합리화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적 환경규제에 효과적 대응 청정연료 사용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소 사용자적 측면 에너지비용절감 공동주택 경제성분석결과 에너지20%, 비용30% 절감 가능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 ※ 가스 열병합발전 도입은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및 사용자 모두 이익이 도출되므로 보급 확대가 필요함.

Ⅲ. 소형 가스 열병합발전 지원 제도 1. 추진현황 2. 가스열병합발전 설치 및 설계 장려금 3.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 지원 제도 4. 가스 열병합발전 요금 차등 적용 5. 향후 추진 방향

1. 가스 열병합발전 보급 추진 현황 추진경위 ’04년 주요 추진 계획 전력및가스 수급의 불균형이 심화 분산형전원산업 구축을 통한 에너지수급 안정,에너지 이용효율향상,국제환경규제 대처 방안으로 가스열병합발전 보급 확대 필요 ’98년 천연가스 수요 증대 방안 연구 ’00년 가스열병합발전 보급촉진 제도개선방안연구 ’02년 인프라구축사업 및 기술가이드북 제작 배포 ’04년 주요 추진 계획 보급활성화를 위한 제도 강화 및 개선 ’04년 보급기반구축 지원사업(기술지원, 표준화 등)

2. 가스열병합발전 설치및설계 장려금 가스엔진 및 터빈 설치자 또는 설계자 열병합발전 설비 (에너지공급자제외) 한국가스공사 대상 설비 지급 금액 자 접수 처 한국가스공사 관할지사 kW당 20,000원 (한도 2,000만원)

3.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지원 근거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절약시설설치사업 지원내용(’04년 1/4분기) 절약시설 : 소요자금의 100%, 변동금리 3.5%, 3년거치5년 분할상환 ESCO투자사업 : 소요자금의 100%, 변동금리 3.5%, 고정금리 5.25%, 5년거치 5년 분할상환 세액공제 : 조특법에의거 투자금액의 7%를 법인세 또는 소득세에서 공제

4. 가스 열병합발전 요금 우대 적용 가스열병합발전용 도시가스요금에 대하여 할인 적용하고 있으나 서울, 부산, 광주, 대전, 경기, 인천, 전주에 한정(우대 적용시 약 14%정도 저렴) 도매요금 소 매 요 금 구분 전국 동일 서울 부산 광주 대전 비고 주택 난방용 424.11 개별 중앙 465.45 518.66 507.73 518.65 522.62 486.53 열병합 발 전 393.35 동절기 434.69 416.80 416.57 455.77 공동주택 321.56 하절기 353.23 345.01 344.78 383.98 350.57 기타월 391.91 374.02 373.79 412.99 ☞ ’04. 1. 1, 단위 : 원/㎥, 부가세 제외 기준

5. 향후 추진 방향 경제성 확보를 위한 지원제도 강화 기술개발 및 인적 자원 확대 행정 및 제도 개선 홍보 강화 발전보조금지원제도 검토 등 경제성 확대 추진 기술개발 및 인적 자원 확대 기술개발의 지속적인 정부지원 등 행정 및 제도 개선 전력계통연계 가이드라인 지정 및 절차 간소화 홍보 강화 기획보도를 통한 대국민 홍보, 세미나 개최 등 체계 정립 및 사업 표준화 모델 개발 열병합발전 사업의 표준화 모델 개발 추진

Ⅳ. 공동주택 경제성 분석 1. 개요 2. 경제성분석 전·후 에너지공급 시스템 3. 최적 시스템 구성 방안 4. 기대효과 및 경제성 5. 열병합발전 도입 잠재 요인

1. 경제성분석 개요 개요 목적 대상 : 아파트 48개단지, 45,493세대 가스수요관리사업 일환으로 열병합발전 도입의사가 있는 업체에 대하여 도입타당성 분석 등 실질적인 기술 지원 목적 열병합발전에 대한 이해제고와 보급활성화를 유도 대상 : 아파트 48개단지, 45,493세대

2. 분석 전·후 에너지공급 시스템 ☞ 전력은 모두한전수전, 보일러만 으로 난방및 급탕 수변전 시설 전기(한전) (100%) 세대전력 공동전력 보일러 LNG B-C 난 방 급 탕 분석전에너지시스템 ☞ 전력은 모두한전수전, 보일러만 으로 난방및 급탕 수변전시설 전기(한전) (25%) 세대전력 공동전력 열병합발전 L N G 분석후에너지시스템 보일러 난 방 급 탕 병렬운전 (75%) (30%) (70%) ☞ 한전 수전 25%(자가발전 75%), 발전폐열(30%)과 보조보일러(70%) 로 난방및 급탕

[가스열병합발전 이용시스템 구성도] ☞ 한전과 병렬운전(최소수전), 발전폐열과 보조보일러를 이용하여 냉·난방

3. 최적시스템 구성 최적화 시스템 구성 방안 최적시스템 구성 결과 가스엔진열병합발전 시스템으로 구성(건물부문은 폐열을 온수로 이용하기에 유리) 한전 수전량을 최소화하고 엔진 폐열을 최대한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구성 최적시스템 구성 결과 발전량은 수전량의 75%(한전수전 25%) 열부하의 29%는 발전폐열, 71%는 보일러 담당 하절기 폐열발생량의 13%방열(사용처없음)

4. 기대효과 및 경제성 가스열병합 발전 도입 에너지비용 32%감소 에너지 20%절감 투자비 kW당 400만원 단순투자회수기간 전력비88%감소-가스비12%증가 (세대당20~60만원감소) 에너지 20%절감 (가스 22%증가 전력 75%감소) 가스열병합 발전 도입 투자비 kW당 400만원 (가스엔진 132만원/kW) 단순투자회수기간 평균4.6년(3~8년)

5. 열병합발전 수요 잠재 요인 기술적 요인 경제적 요인 시장 요인 열부하의 허용성 : 열부하의 존재 및 이용 여부 최소 가동 시간 : 년간 최소 4,000시간 경제적 요인 에너지가격 : 구입가스/전력의 상대가격 투자비 및 유지비 : 초기 투자비 조달 여건, 유지관리비 차이 시장 요인 정보의 부족 및 불확실성 : 인식부족 및 에너지가격 예측불확실 연료사용규제 : 청정연료 사용 의무화 시 확대 투자비 조달 제약 : ESCO Back-Up 가용성 : 한전과의 계통연계 운전 용이성

Ⅴ. 참고자료 1. ESCO 투자사업이란 ? 2. ESCO 투자사업 흐름도

1. ESCO 투자사업 ESCO 투자사업이란 ? ☞ 성과배분계약에 따라 ESCO가 에너지사용자 를 대신하여 에너지절약시설을 선 투자하고 투자비용을 에너지절감액 일정 비율로 회수하는 사업을 말함. ☞ ESCO (Energy Service Company) : 에너지절약전문기업 투자전 에너지 비 용 ESCO 투자분 절감액 투자비 배분기간 배분완료 100 60 E S C O 에너지사용자 절감효과 보장/ 선투자 절감액 배분

2. ESCO 투자사업 흐름도 ESCO를 이용할 경우 ESCO투자사업 흐름도 ☞ 투자비 부담 없이 에너지절약시설 설치 가능 ☞ 투자비 부담 없이 에너지절약시설 설치 가능 ☞ 경제적ㆍ기술적 부담 해소 및 전문기술을 제공받을 수 있음 ☞ 장기저리의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 이용 및 세제(7%) 혜택 → ’04년 1/4분기 : 소요자금의 100%, 고정금리 5.25%, 변동금리 3.5%, 5년 거치 5년 분할상환 ESCO투자사업 흐름도 공 단 금 융 기 관 ESCO ① 추천신청 ② 추천통보 ④ 대여신청 ⑤ 대 여 ③ 대출신청 ⑥ 대 출 에너지 사용자 성과배분계약

경청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에 너 지 관 리 공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