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항공공학실험 I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구조연구실 담당조교 : 이 충 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예비보고서1 : 8개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에 각각 0~7개까지의 번호를 부여하였다고 하자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막대의 YOUNG률 측정 1. 실 험 목 적 Ewing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막대의 중심에 추를 달아
수치해석 6장 예제문제 환경공학과 천대길.
담당조교 : 이 충 희 보조조교 : 성명훈, 박용진, 김윤성
실험 11.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부하선 해석 방 기 영.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실험 3 - 비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와 능동 필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 기 영.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센서 9. Force Sensor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Graph 개론 통계분석을 위한 Excel Chart 기초.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실험1. 연산 증폭기 특성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기영.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 4 장 응력과 변형률.
A Moments of Areas.
# 변형센서로서 strain gauge부착, 측정실험
기체유량 계산 목적(Object) MFC(Mass Flow Controller)를 사용하여 기체(질소; N2)의 유량을 측정하고, calibration 그래프를 작성 한다. 또한 작성된 calibration curve로부터 regression을 통해 MFC의 유량 설정을.
10장 컴퓨터 기반 데이터 획득 응용 프로그램 LabVIEW 사용법
실험4. 키르히호프의 법칙 실험5. 전압분배회로 실험6. 전지의 내부저항
제1장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자료와 수집 제3장 자료 분석 방법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고체역학 1 기말고사 학번 : 성명 : 1. 각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상태를 구하고 점 C의 변위를 구하시오(10).
수학 토론 대회 -도형의 세가지 무게중심 안다흰 임수빈.
Ⅰ. 전기와 자기 전압.
(생각열기) 타이완의 소수 민족 요리중에는 달궈진 돌을 물에 넣어 끓 이는 해물탕이 있다. 돌을 넣는 이유는?
학습 주제 p 일률 측정하기.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디지털회로설계_강의안1 1. NOT, OR, AND 게이트.
3. 재료역학 개요 3.1 응력과 변형률 (1) 하중 1) 하중의 개요 ; 모든 기계나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 즉 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기계나 구조물의 각 부분은 이들 외력에 견디고 변형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여야.
Term Projects 다음에 주어진 2개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시오. 기한: 중간 보고서: 5/30 (5)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Prof. Byeong June MIN, Department of Physics, Daegu University
컴퓨터 계측 및 실습 디지털 출력 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체역학1 기말고사1 2. 특이함수를 이용하여 그림의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굽힘모멘트를 구하여 작도하라[15]. A C B
1. 선분 등분하기 (1) 주어진 선분 수직 2등분 하기 ① 주어진 선분 AB를 그린다. ② 점 A를 중심으로 선분AB보다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1. 평면좌표 (2~3/24) 선분의 내분점과 외분점 수업계획 수업활동.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2장 변형률 변형률: 물체의 변형을 설명하고 나타내는 물리량 응력: 물체내의 내력을 설명하고 나타냄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2011년 1학기 천문학 실험 ( ) 교수님 : 채종철 교수님 ) 출석 30, 과제 70 조 교 : 송동욱.
van Deemter 식을 이용한 기체크로토그래피의 최적화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비열.
05. General Linear List – Homework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1. 접선의 방정식 2010년 설악산.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3-2. 지구의 크기.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고체역학1 중간고사1 부정행위는 친구의 죽이기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우는 행위이다! 학번 : 이름 :
오토베이스 리포터.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Design of Light Weight Structure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기계요소 Ⅵ.베어링(Bearing) 회전축을 지탱하며,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기계요소.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Progress Seminar 양승만.
빛의 투과율 실험을 통하여 자외선을 잘 차단하면서도 잘 보이는 선글라스를 만들어 보자!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주)INVENTORNICS 노창배 소프트웨어 김 경 순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ogress Seminar 손 장 재.
Presentation transcript:

기계항공공학실험 I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구조연구실 담당조교 : 이 충 희 보조조교 : 김 윤 성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구조연구실

실험목적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용어 다중 셀 구조물 Rosette 스트레인 게이지 변형율의 좌표변환 비틀림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거동 one-cell, two-cell, 및 three-cell 로 구성된 구조물에 대한 비틀림율 및 전단흐름을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다중 셀로 이루어진 구조의 비틀림 하중에 대한 효율성을 이해. 용어 다중 셀 구조물 Rosette 스트레인 게이지 변형율의 좌표변환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전단흐름 (shear flow)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 a shear force per unit length [N/m] Shear forces on the edges S: shear load l: edge length q: shear flow s: distance from the beginning point of the side Shear flows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기초이론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다중 셀 구조의 변형 전단흐름(N/m) 비틀림율(rad/m) One-cell Box Two-cell Box Three-cell Box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길이 방향으로 양 끝에 같은 크기의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면 각 단면에서의 응력상태는 같다. 비틀림 하중에 의한 전단흐름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의의 길이 방향 위치의 단면에 그림과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으로부터 전단변형율(또는 전단흐름)의 측정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변형율의 좌표변환 Rectangular rosette 인 경우에,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비틀림율 ( ) 의 측정 비틀림율 ( ) 의 측정 비틀림율은 실험고정장치의 중심에서 변위센서 측점 지점까지의 거리 d 와 박스빔의 높이 h, 그리고 비틀림량 로 부터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가 매우 작으므로 가 된다.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전단흐름 (Shear flow) 의 측정 실험장치 전단흐름 : strain gage 측정값 전단흐름 : strain gage 측정값 실험장치 1-Cell, 2-Cell, 3-Cell 의 구조물 고정장치 Strain 측정기, 변위계, 변형율 지시계 거리측정기 및 센서 추 : 0.5kg, 1kg, 1.5kg, 2kg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구조물의 strain gage Box beam’s properties R=120 Shear modulus a=0.025m t=0.001m T=2mgr (r은 박스빔 중심에서 하중이 주어지는 점 사이의 간격, 추가 양쪽에 있으므로 2배)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실험 과정 바이스에 Box Beam 구조물을 물리고 추 받침대를 연결한다 이 때 바이스를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한다 (찌그러짐) 양쪽 비틀림 하중 작용점과 중심점과의 거리를 같게 설치한다 추 받침대와 지면과의 높이를 적당히 띄운다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비틀림량을 축정하기 위한 변위계 설치 위와 같이 거리측정센서를 설치 후 (자석 On/Off기능 이용) 변위계를 확인한다 설치 후 녹색램프가 켜지면 거리측정이 되는 것이다 너트를 이용하여 센서의 laser와 닿는 면을 수직이 되게 해준다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변형율측정기 설치 Indicator 는 1개의 채널만 사용하고, Balancing을 하여 0점을 조절한다 1 2 3 Strain gage 1 2 3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추의 무게를 증가시키면서 비틀림량과 변형율을 읽고 기록한다 (변위 측정 시 변위 지시계의 변화량이 가 됨) 추의 무게는 비틀림 하중의 크기로, 비틀림 량은 비틀림율로, 변형율은 전단변형률(또는 전단흐름) 으로 변환한다 비틀림 하중의 크기에 대하여 적절한 데이터 처리 기법을 도입하여 실험결과 정리를 하고 이론값과 비교한다 비틀림율과 전단흐름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결과에 관한 토론 및 결론을 도출한다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실험결과 one, two, three-cell 의 비틀림 하중에 따른 스트레인값, 변위량 측정하여 표로 정리 비틀림 하중 변화에 따른 각 게이지 별 전단변형율, 전단흐름 계산하여 표로 정리 비틀림 하중 변화에 따른 비틀림률 계산하여 표로 정리 실험을 통해 얻은 전단흐름과 비틀림률을 이론치와 비교하여, 표, 그래프등으로 정리

유의사항 실험 시 유의사항 변위센서는 0점 조절이 필요 없음 레이져 변위 센서, 추 떨어뜨리지 말 것 레이져 변위 센서, 추 떨어뜨리지 말 것 자 필요할 경우 사용 가능 바이스 꽉 조이지 말 것(박스 빔이 찌그러질 우려가 있음) 실험 도중 탁자 및 전선을 건드리지 말 것(추가 흔들거려서 스트레인 값이 불안정하게 나올 수 있음) 추 올려놓을 때 양쪽에서 동시에 살며시 올려놓을 것 추 올릴 때 추 밑에 변형률 지시계 놓지 말 것(깨질 위험이 있음) 실험 후 정리정돈 철저 정숙한 분위기에서 실험 할 것

유의사항 실험태도 평가 결과보고서 제출 시 유의사항 실험 태도 불량일 경우 감점 무단결석 또는 보고서 미제출 시 0점 처리 결과보고서 제출 시 유의사항 개인별 보고서 제출 실험 후 일주일 이내로 제출 (EX. 화요일 실험 -> 그 다음주 화요일 8시까지) 반드시 손으로 작성하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시 10페이지 이내로 할 것 (그래프 포함) 분량 초과시 감점 그래프와 표에 제목(설명)쓸 것 실험결과와 discussion만 쓰고, manual에 있는 내용은 포함시키지 말 것 R, d, h, A 값 정확히 명시할 것 오차 및 원인 분석할 것 Multi-cell 구조물 조사 추가하면 보너스점수(워드 작성가능, 장수에 포함 안됨)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α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결과 보고서에는, 다중 셀 구조의 비틀림 하중에 대한 효율성과 전단 흐름 (shear flow), 비틀림율 등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다중 셀 구조의 응용 사례 등에 대한 고찰을 수행한다. +α SNU Aerospace Structures Laboratory http://aeroguy.snu.ac.kr

박스빔의 비틀림 및 전단실험 Ref. “AIRCRAFT STRUCTURE FOR ENGINEERING STUDENT / T.H.G MEGSON” “FUNDAMENTALS OF AIRCRAFT STRUCTURAL ANALYSIS / HOWARD D. CURTIS” 담당조교 (보고서 제출) 김윤성 44동 203호 < andrewkim@aeroguy.snu.ac.kr > 880-7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