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리 학 7. 감염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Immunity? 면역 1. 어떤 감염 질병에 대해 방어능력이 생기는 것 2. 주변 환경에서 미생물의 감염이나 생체 내 부적합 세포 등을 제거하고 생체를 올바르게 유지하려는 개체의 방어기전 3. 생체의 내부환경이 외부인자에 대하여 방어하는 현상.
Advertisements

감염. 감염관리의 예방과 대상 감염성 질환의 발생 숙주의 방어 시스템 치과에서 기구 사용 시 주의사항.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Herpes Virus 문성태 & 유용희 & 한 솔. 헤르페스 바이러스 (=HSV, herpes simplex virus) 분류학적 명칭 : Herpesviridae(Family Herpes virus) 감염률 : 전 세계 성인 60~95% 감염경로 : 접촉에 의한 감염.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PCR-SSO 방법을 이용한 HLA-DRB 검사
The Irish Potato famine and the Brith of Plant Pathology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병리학 임미란
퇴행성 신경질환.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Living in a Microbial World
제13장 미생물은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감염(infection) 정의 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체가 생체의 세포와 조직을 침범해서 정착 또는 증가하는 것
항생제.
치면 세균막과 광질이탈 치면세균막 및 치석.
미생물학 길라잡이 8판: 라이프사이언스.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인체기생충학 (14강) - 기생충검사법 -.
B형 간염.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전기진단검사 I.
수혈 부작용 응급검사실 신선옥.
1.1 감염병의 개념 감염(infection) 감염병(infectious disease)
병 리 학 8. 면 역.
균주별 감염관리.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홍 길 동 목원대 행정학과 3년 AIDS 의 이해 홍 길 동 목원대 행정학과 3년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3주차 감염병 진단.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치과와 미생물.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건강이란 무엇인가 ?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 건강이란 …. 마음이 건강하며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면으로 완전히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제 6 장 마우스와 랫드의 질병.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Chapter 17 면역계.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4주차 면역.
3. 방어 작용 01. 병원체 1. 질병과 병원체 (1) 비감염성 질환 : 병원체 없이 발생하는 질환 (고혈압, 당뇨병)
Flowcytometer.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매개체-숙주-환경 모델 16조 최효림 하유정 담당 : 주영주교수님.
생물막 (Biofilm).
면역과 방어.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생약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치료기술 Tech Biz Material 기술소개자료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 경 원.
피 그것이 알고 싶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검사과정
Presentation transcript:

병 리 학 7. 감염증

감염증이란? 감염 (infection) : 병원성 미생물이 생체의 체내에 침입해서 정착 증식하는 것 그에 의해 조직손상이 동반되었을 때 감염증(infectious disease)

감염증이란?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스피로헤타, 진균, 기생충 등이 포함 항생물질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세계적으로 높은 감염률 가장 중요한 사인의 하나 해외여행 증가, 국제화의 진전 등으로 외래 감염증은 증가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감염증도 보고 AIDS나 성인 T세포 백혈병 등의 레트로바이러스 감염증, 성병(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 병원내 감염증(hospital infection)등이 주목

감염 경로 개체가 직접 병원체에 오염되어 일어나는 경우 병원체에 오염된 작은 동물(벼룩, 이, 진드기 등)에 의한 매개로 일어나는 경우 직접 감염의 종류 접촉감염 비말감염(방울감염, droplet infection) 공기감염 진애감염(dust infection)

병원성 강도 병원체의 병원성 강도를 정하는 요인 병원체가 주위로 확산하려는 침습력 독력(조직상해성) 병원체의 양 증식력 병원균은 외독소, 내독소를 생산하여 병소 주변뿐만 아니라 전신성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병변을 발생

생체의 감염 방어기전 생체는 비특이적, 특이적인 2개의 방어 기구로 대항 이들 방어 기능이 저하 시 개체는 감염증을 쉽게 일으키게 되고 평소에는 쉽게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약한 병원체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감염 가능

비특이적 감염 방어기전

비특이적 감염 방어기전 특정한 종류의 병체와 반응하기보다는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방어작용 해부학적 감염 방어장벽 상주균소(인체의 정상 세균총) 체액성 저항인자(분비물의 항미생물 작용) 식세포

해부학적 감염 방어장벽 피부, 기도점막, 소화관점막, 요로점막 등 몸 안에서 직접 외부 세계와 통하고 있는 부분을 덮고 있는 상피조직은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기계적 장벽 기관지점막 등의 섬모상피는 섬모운동에 의해 병원체의 정착이나 침입을 막음

상주균소(인체의 정상 세균총) 피부, 소화관, 호흡기, 구강, 외음부와 같이 외계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하는 장소는 일정한 세균이 정착하고 있는데, 이를 정상 세균총(nomal flora) 이러한 상주균은 병원균과 대항하여 병원균이 국소에 정착, 증식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듬 질내에 상주하는 되데르라인(Dӧderlein) 간균은 젖산을 생산하여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대장균 등의 증식을 막음 인두에서는 녹색 연쇄상구균이 A군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수막염구균 등의 증식을 막음 상주균이 어떤 원인에 의해서 소실되면 그것을 대신해서 병원균이 번식하여 감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중복감염 또는 균교대감염(superinfection)

체액성 저항인자 (분비물의 항미생물 작용) 눈물, 침, 콧물 등 분비물 내의 라이소자임(lysozyme)에는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작용 땀에 포함된 젖산, 피지선 분비물 내의 올레인산(oleic acid), 위산 등에는 살균작용 담즙 내의 담즙산에는 강한 용균작용(균의 세포벽을 분해하는 작용) 혈청 중의 단백 성분인 properdin, 보체(C3)등은 항균성분이 포함 특정 바이러스 또는 유발물질이 세포에 작용할 때 그 세포에서 생성되는 인터페론(inferferon)은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

식세포 호중구, 대식세포 등의 식세포는 왕성한 식균작용에 의해 살균 및 용균을 수행 식세포에 탐식된 균은 그 세포 내에서 생산된 활성효소에 의해 살균되고 용해소체 내의 효소로 분해

특이적 감염 방어기전

병원체나 그 독소가 항원이 되어 면역이 성립하여 발현되는 방어기전 예:예방접종 특이적 감염 방어기전 병원체나 그 독소가 항원이 되어 면역이 성립하여 발현되는 방어기전 예:예방접종

감염 성립의 숙주 요인 (성, 연령, 인종, 유전, 가족, 체격, 성격)

유전적 요인 감염이 성립하는 첫번째 단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숙주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병원체 표면분자와의 결합 숙주인 세포가 특정 병원체에 대한 수용체가 없는 경우에는 감염은 성립되지 않음 Ex) 말라리아원충(Plasmodium vivax; P. vivax)은 적혈구막 표면에존재하는 어떤 종류의 혈액형 항원[Duffy 형]을 수용체로 이용하며 이 혈액형 항원은 인종간에일반적으로 보존되어 있으나, 흑인은 이 항원이 없는 예가 많고 실제로 아프리카 원주민에게 P.vivax 말라리아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연령 동일 병원체 감염이더라도 숙주의 연령에 따라 다른 병태를 보이는 예가 많음 사이토메가로(cytomegalo) 바이러스, 톡소플라스마(toxoplasma) 등은 소아나 성인에게는 심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자궁내 태아에게는 매우 심각한 장애를 초래 고령자는 젊은이에 비해서 감염증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 인플루엔자나 세균성 폐렴으로 종종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희생

생활 습관 생활습관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성병 매독, 임질, AIDS, 기타 많은 감염증은 성행위를 통해서 전파 나아가 성적 접촉의 종류 및 빈도가 이들 감염증에 이환될 위험도를 결정하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

역감염증(면역) 숙주의 감염 방어기전의 상태는 감염증에 대한 반응을 규정 평균수명의 연장, 이식 수술 등의 발전에 수반된 각종 면역억제 치료 및 급속한 AIDS 만연은 오늘날의 의료현장에서다수의 숙주방어능력이 저하된 환자(compromised host)를 생산 이러한 환자에서는 보통 사람에게는 병원성을 일으키지 않는 미생물이 가끔 중증 감염증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기회감염(opportunistic infection)

병원 미생물

세균 감염증의 특징 병원성 세균은 여러 가지 균체 독소를 가짐 감염 부위의 세포 조직의 변성, 괴사, 염증 반응 급성 세균감염에서는 국소 반응뿐만 아니라, 체온상승, 적혈구 침강속도항진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RS), 혈청 CRP(C-reactive protein) 양성, 백혈구 증가증 등의 여러 가지 전신반응이 관찰

균혈증과 농혈증 병원체가 국소 감염 병소로부터 혈관 안으로 침입하여 전신을 순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균혈증(bacteremia) 화농균(특정한 어느 한 종류의 균명이 아니고 외상등, 미생물의 침입을 일으키기 쉬운 감염에서 화농의 원인이 되는 균, 화농균에는 포도 상구균, 연쇄상구균, 녹농균)에서는 전신 각 부분에 화농소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농혈증(pyemia)

세균감염증에는 항생물질이 유효하지만, 최근 항생물질의 남용으로 그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소위 다재 내성균의 출현이 문제가 대두 MRSA 세균감염증에는 항생물질이 유효하지만, 최근 항생물질의 남용으로 그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소위 다재 내성균의 출현이 문제가 대두 그 중에서도 메티시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의 병원내감염에 의한 패혈증(septicemia)이 임상에서 문제

독혈증 디프테리아균, 파상풍균, 보툴리누스균 등에 의해서는 균의 외독소(세균대사를 통해 생성되며 균체 밖으로 내보내지는 단백질성 독소)만이 혈류 안에 침입 순환하여 전신장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독혈증(toxemia) 장관출혈성 대장균O157(Enterohemorrhagic E.coil; EHEC)에 의한 집단 식중독에서 볼 수 있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이 균이 생산한 베로 B톡신에 의한 독혈증의 예

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는 크기가 250~300nm이며, DNA 또는 RNA를 한 가지만 갖기 때문에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 바이러스의 감염의 특징 침입문호에 병변을 만들지 않고, 바이러스혈증의 상태가 되어 각각의 장기 선택성에 따라 특정 장기의 세포 내에 침입하여 병변을 형성 잠복기가 매우 긴 지연성 감염증(slow infection)의 형태를 취하는 것 EX) HIV 바이러스에 의한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 홍역바이러스에 의한 아급성 경화성범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SSPE)

바이러스 감염의 특징 세포간의 감염이 세포막 융합에 의해 야기되고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밖으로 나타나지 않고 이 때문에 중화(neutralization) 항체에 의해 감염이 확대되는 것을 저지하기 어려움 EX) 홍역 바이러스나 헤르페스 바이러스(입 주위나 구강 내, 외부 성기 등에 발생하는 물집)가 이러한 감염 형태 세포 내에 침입한 후에도 세포를 파괴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세포는 바이러스에 의해 특이한 형태변화를 나타낸다.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풍선세포,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거대 세포화, 거대세포 바이러스(cytomegalo virus-인체에만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의한 거대세포봉입체증(cytomegalicinclusion disease) 등

모체에 감염된 바이러스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 감염되고, 태아 사망, 기형 등 자궁내 태아장애의 원인이 되는 경우 EX) 풍진 바이러스나 거대세포 바이러스 등 사람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 중에서도 Epstein-Barr 바이러스(Burkitt 림프종), 성인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성인 T세포 벽혈병) 등 종양원성 혹은 변이원성을 가지는 것

리케차 (Rickkettsia) 리케차 는 0.3~(0.5×0.3)μm의 구(상)~간상 병원체로 DNA와 RNA 모두를 가짐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인공 배지에서는 증식하지 않음 감염된 절지동물(새우, 꽃게)을 매개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경우가 많음 전신의 모세혈관 내피세포 내에서 증식하고 이것을 상해하기 때문에 발열 및 전신 피부발진(exanthema)

곰팡이 감염증 일상에서 종종 접하는 감염증이며, 피부에서 볼 수 있는 만성 감염증(이른바 무좀)으로부터 심부장기를 침해하는 만성 내장 감염증까지 다양한 감염 형태 진균의 대부분은 원래 상주균이 많으나, 항생물질의 남용에 기인하는 균 교대현상이나 항암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사용에 의해서 생체면역능력이 저하가 일어나면 병원체로서 염증

스피로헤타(spirochaeta) 감염증 매독 트레포네마(Treponema Pallidum), 와일(Weil)병, 렙토스피라(leptospira) 등이 포함 나선 형태를 가진 6~20mm 크기의 그람음성균 감염은 주로 성적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질환으로서의 경과는 일반적으로 4기로 분류

매독의 기간에 따른 분류 제1기 : 감염 후 3주 전후이고 매독균이 침범한 외음부에 초기 경결과 이어서 1~2주에 서혜 림프절 종창이 발생, 초기 경결은 단발성의 딱딱한 구진 내지는 침윤이며, 결국 중앙이 얕게 궤양화 제2기(감염 후 3개월 이후) : 여러 가지 피부 발진이 나타나지만 형태학적으로는 비특이성 염증반응과 다르지 않음, 이 시기에는 혈청 속에 항체가 형성되어 혈청 매독반응은 양성 제3기(감염 후 3년 이후) : 전신에 스피로헤타가 만연하고 고무종(gumma)이라고 하는 탄력이 있는 육아종 또는 비만성 간질염을 형성, 이들 병변은 내장, 특히 심장 혈관계,골, 뇌 등에 발생하여 중증의 장애 제4기(10년 내지 그 이상) : 진행성 마비와 척수로(tabes dorsalis)라고 부르는 중추신경계 병변이 발생

기생충 감염증 원충은 2.0~30mm의 단일세포 병원체로, 아메바성이질의 원인이 되는 이질 아메바가 그 대표적 기회감염으로서 폐렴 Ex) 뉴모시스티스 카리니(Pneumocystis carinii) 원충 원충 이외의 기생충은 연충(worm)으로 통합된다. 연충에는 선충류(회충, 요충 아니사키스 등), 흡충류(간 흡충 등) 및 조충류(광절열두조충, 에히노콕스 등)가 포함 기생충 감염증은 유효한 약제 개발과 감염경로의 이해에 기초한 공중위생 개선으로 감소 경향에 있었으나, 최근 해외교류의 활성화와 함께 수입 기생충병의 증가가 문제 말라리아에서는 항말라리아약 내성 원충(tolerant protozoa)의 출현이 문제시

특수 감염증

특수 감염증 특징적인 육아종을 형성하는 감염증 육아종 발견과 동시에 곧바로 원인을 정의가능

결핵(Tuberculosis) 항산균에 속하는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감염 전에는 사망원인 1위였으나 항생물질의 발달로 발병이 격감 최근에는 결핵에 대한 인식이 희박해진 탓에 가끔 집단적으로 발생 과거의 질환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아직 주의를 요하는 감염증 전형적인 병변은 중심에 건락성 괴사를 일으키는 국소성 육아종성 염증반응 결핵성 육아종을 결핵결절(tubercle) 결핵결절은 건락 괴사를 중심으로 그 주의에 유상피세포 (epitheliod cell), 랑게르한스형 거대세포(Langerhans giant cell), 림프구로 구성되는 육아종

나병(한센병, Tuberculoid leprosy) 항산균인 나균(mycobacterium leprae)의 감염 나균은 피부와 그 부위의 말초신경을 침범하여 감각 이상 감염력은 매우 약하며 나종형 나병(lepromatous leprosy)과 결핵모양형 나병(tuberculoid leprosy)으로 대별 나종형에서는 나균이 집합한 나구(bacillus) 집단이 육아종 내에 출현 결핵모양형 나병은 다음에 설명하는 사르코이드 모양의 유상피세포로 구성되는 육아종을 형성

Thank you for your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