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진단세포학이란 ? 2. 진단세포학이란? 1. 세포학이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혈액의 기능 –- 1. 1) 2) 3) 4) 2. 1) 2) 3. 1) 2) 3) * 혈액의 생성과 파괴 혈구생성부위 * 조혈자극인자 – * 적혈구의 분화와 성숙과정 – Pluripotent stem cell →
Advertisements

섬유소 : 혈액응고에 관여 신호전달, 혈액응고, 혈소판 활성화, 단백질 중합 염색법 : 1. MSB(Martius-scarlet-blue) 염색 2. 말로리 PTAH(Mallory phosphotungstic acid hematoxylin) 염색 4. 섬유소.
 근골격계 해부· 생리.
세포와 세포막을 통해서 바라본 생명의 신비 이 수 재 길담서원 발표 녹색아카데미 연구원.
2011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청소년폭력예방재단(청예단)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의 기능을 주 대상으로 하여 그 기능을 나타내는 과정이나 원인을 1 해부생리학 첫머리 1) 해부생리학의 정의 해부생리학 해부학(anatomy) :인체 기관의 구조와 이들 구조가 어떻게 상호 관련하는 지를 연구 하는 학문 생리학(physiology)
Case Presentation SKKU School of Medicine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Son Eui Young 1.
Physiologic Action of Insulin
Digestive system.
2017-1월 Quiz [Case 1] F/67 C.C: Incidentally detected renal lesion
제10장 DNA 구조와 기능 유전체는 꼬마선충과 사람에 이르기까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체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제 2 장 세포손상 및 적응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2. 세포적응 3. 세포손상.
제 9 장 신 생 물 1. 종양이란? 2. 종양의 분류 3. 종양의 명칭 4. 종양발생의 원인 5. 양성종양과 악성종양
CELLS: UNITS OF LIFE 생물학개론 5주차 강의
37장 호르몬 조절.
DNA work Protein work.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윤경.
세포생물학 Chapter 7: 핵과 DNA 복제.
조직검사학.
20--학년도 심리학의 이해.
1. 혈 액 Blood--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을 거쳐 몸 전체를 순환하는 액체
Muscle Contraction.
제 1 장 서 론 I. 조직검사학이란? 1. 정의    정상 및 병적 조직의 현미경상 형태 관찰을 위해 필요한 표본제작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 생물체= 유기물질 + 무기물질     Biochemistry-- 생물체의 구성물질 또는 생물체에 의해.
제 3장 세포막, 세포골격과 세포간의 상호작용 세포막은 어떻게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가? 새포골격에 의한 세포의 지지
제 6 장 순환장애 1. 체액의 순환장애 1) 부종 2) 탈수증 2. 혈액의 순환장애 1) 국소적 순환장애
의학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킨스 i-사업본부 윤정아입니다.
제6장 세포주기 6.1 세포분열과 세포죽음 사이의 균형 체세포분열(유사분열, mitosis)
염증 Inflammation Chapter 4.
교과목(병리학) 개요 I. 총 론 II. 각 론 1. 세포손상과 적응 2. 염증과 수복 3. 순환장애 4. 면역계질환
본교에 오심을 환영합니다 나주공산중학교 교 직 원 일 동.
제 1 장 조직학 연구방법 I. 조직표본 제작방법 II. 현미경 III. 조직절편의 검경과 입체적 해석 I.
제 3 장 상피조직 I. 조직 분류: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방사선치료학 Radiation Oncology
제 2장: 세포 세포는 생명체의 기본단위이다. 대식세포 (예술과 생명과학).
Human Anatomy 고성식.
Ⅲ-3. 생명의 연속성 5. 유전적 다양성과 현대의 진화
종양(신생물)의 정의 신생물 (종양, tumor, neoplasm) 그리스어로 새로운 성장 (neos + plasm)
DNA에서 단백질합성까지 잼 있게 공부해! 생물교육과 이 성 현.
심리학의 생물적 기초 생리심리학이란?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psychology)은 신경생물학적 수준에서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의 마음과 뇌의 신경생리학적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여 마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뇌와 발달, 뇌와.
암 (cancer) 이란? 신체의 정상세포가 여러 가지 위험인자들로 인하여 정상적인
신경세포 신호전달 및 분화 과정에서 Phospholipase C의 역할 연구 연구목표 연구책임자 : 서 판 길
과학 탐구 토론 대회 1학년 2반 박승원 1학년 5반 권민성.
Chapter 01~ Chapter 03 정효진 고가람 김연실 정태익 김현지 박상은 전아람 명귀관 박수민
Chapter. 2 세포의 구조와 기능 오세은 신보람 김세희 김민국.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차이 박진우.
식물 세포 관찰 신경과학 연구실 생물관 311호.
동물 세포 관찰 신경과학연구실 생물관 311호.
돌연변이 생물교재론 양현주.
제3장 세포표면과 세포골격 먹장어(hagfish)는 포식동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점액성분을 내뿜는데, 결국 자신도 이 점액성분으로부터 탈출하여 자유로운 활동을 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골격과 필라멘트에 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목차 인체생리학의 개요 인체의 구성체계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Ⅰ Ⅱ Ⅲ Ⅳ.
피부 ( skin ) 피부는 표면적과 무게에서 신체 중에 가장 큰 기관이다. 몸무게의 약 16%
염증 inflammation.
병 리 학 15. 신경계 질환.
결 합 조 직 3조 김일진, 신혜수, 오창진.
제1장 생명체의 특성과 구성성분 식물인가 아니면 동물인가? 잎 모양의 바다용은 그 형태가 마치 주변의 해초를 흉내 낸 것처럼 주위환경에 절묘하게 적응하고 있다.
다량무기질.
제 9 장 신경조직(Nervous tissue)
조직병리학 문항 이론 35 문항 실기 17 문항 병리학 6 문항 조직학 조직검사학 14 문항 진단세포학 9 문항 2 문항
21장 생명의 기원.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의 기능을 주 대상으로 하여 그 기능을 나타내는 과정이나 원인을 1 해부생리학 첫머리 1) 해부생리학의 정의 해부생리학 해부학(anatomy) :인체 기관의 구조와 이들 구조가 어떻게 상호 관련하는 지를 연구 하는 학문 생리학(physiology)
Membrane구조 화학시스템공학과 정태윤
7강 세포 농학과 고한종 교수.
미생물학 Report <Procaryotes와 Eucaryotes>
원시 지구에서 단백질과 핵산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제14장 유전자의 발현 조절.
Github: 생명과학 Youngjun Na Github:
34장 신경 조절 I-뉴런.
제 2장 인체의 구조와 성장〮발달.
4.2 생화학 네트워크의 원리 정 희 준.
DNA로 기록된 생물정보와 정보의 활용 중심원리, 생명공학, 농업혁명.
Presentation transcript:

제 1 장 진단세포학이란 ? 2. 진단세포학이란? 1. 세포학이란? 제 1 장 진단세포학이란 ?   1. 세포학이란? 모든 생물체를 이루고 있는 세포의 기원, 구조, 기능 및 병리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2. 진단세포학이란? 인체세포를 대상으로 현미경하에서 병리학적 진단을 내리는 학문 3. 탈락세포학이란? 인체의 여러 부위로부터 떨어져 나온 정상세포나 질병으로 인해 변형된 세포에 대해 연구하는 것 1) 자연탈락-- 생리학적(자연적)으로 탈락한 세포 원인: 병리학적, 자연적 노화 예) 질 분비물, 유방(분비물), 요로, 구강, 피부, 기관지, 복수 2) 인위적 탈락-- 외부로부터의 상해에 의한 강제적 탈락→ 판상 또는 집단. 작고 미 성숙 방법: Scraping, Aspiration, Biopsy

4. 천자세포학이란? 가는 주사침(Fine needle)을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검사물을 검사하는 방법 (FNAB) 예) 림프절, 간, 갑상샘, 골수, 전립샘, 신장 5. 세포병리학의 장․단점 ** 장점 1) 간편, 신속, 저렴 2) 검체의 반복 채취 가능 3) 넓은 부위의 검사 가능 4) 생검으로 불가능한 검사도 가능 5) 세포의 본래 구조 관찰 6) 세포변화의 평가가 쉽다 7) 염증 또는 감염증 진단에 효과적 8) 암 및 호르몬 치료 효과 판정 9) 환자의 정신적 부담 경감

** 단점 1) 조직검사에 비해 다소 주관적 2) 최종진단이 아님(선별검사, screening) 3) 병변의 정확한 위치파악 불가능 4) 병변의 유형(세포배열이나 기질과의 관계) 파악이 어려움 5) 병소의 크기, 형태 파악 어려움 6) 부적합한 검체에 의한 불확실한 진단 7) screening으로 판독시간이 오래 걸림

제 2 장 진단세포학의 기원 1. 의학내에서의 일반적인 발달 2. 현미경의 발달 질병연구의 발달사와 흡사 제 2 장 진단세포학의 기원 1. 의학내에서의 일반적인 발달 질병연구의 발달사와 흡사 Hippocrates-- 4종류의 체액(혈액, 간담즙, 담낭담즙, 점액질)의 균형파괴가 질병의 원인 Celsus-- 염증의 4가지 징후 발견(redness, swelling, heat, pain) Beniveni-- autopsy 시행 L.da Vinci-- 사체 30구 해부 Vesalius-- 신체해부 Morgagni-- 육안병리해부 및 부검--비정상 관찰 2. 현미경의 발달 Galileo-- 망원경으로 우주 관찰 Kircher-- 32배로 벌레 관찰 Swammerdam-- 적혈구의 모양 기술 Malpighi-- 인체구조 관찰(조직학의 창시자) Knoll & Ruska-- 전자현미경 고안

3. 세포설의 발달 4. 고정, 염색 및 봉입기술의 발달 Malpighi-- 모세혈관 발견, 혈구를 소낭이라 명명 Leewenhoek-- 원충류 및 기타 미생물 Schleiden-- 식물발생 발표 Schwann-- 동물과 식물의 구조와 성장에 관한 현미경적 연구 Mendel-- 멘델법칙 Flemming-- 동물세포의 유사분열 Waldeyer-- 유사분열 중 염색체 발견 4. 고정, 염색 및 봉입기술의 발달 Perkin-- aniline dye 발견 Waldeyer-- 아닐린 염료를 해부학적으로 이용 Gerlach-- 일반 검사실의 염색법 소개 Erlich-- 백혈구 감별, 염색과 조직용 물감 발표 기타-- 특수염색, papanicolaou stain, H & E stain, Romanoysky stain 등

5. 진단세포학의 발달 Pouchet-- 배란에 관한 논문(생체) Marini-- 위세척 검사물 염색→ 세포 관찰 George N. Papanicolaou 1) 내분비 평가를 위한 세포학적 방법 발표 2) 질 도말에 의한 자궁암 진단 3) 여성의 생식문제를 탈락한 상피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로 연구 4) 탈락세포학 도감 출간 미국세포학회(ASC, 1951) 국제세포학회(IAC, 1957) 미국세포기술학회(ASCT, 1979)

제 3 장 현미경 1. 광선현미경 2. 암시야현미경 3. 위상차현미경 4. 편광현미경 5. 자외선현미경 6. 형광현미경 제 3 장 현미경 1. 광선현미경 2. 암시야현미경 3. 위상차현미경 4. 편광현미경 5. 자외선현미경 6. 형광현미경 7. 전자현미경

제 4 장 세포와 세포분열 1. 세포(Cell) 1) 원핵세포-- 핵(x). 박테리아, 남조류 제 4 장 세포와 세포분열 1. 세포(Cell) 1) 원핵세포-- 핵(x). 박테리아, 남조류 2) 진핵세포-- 핵(o). 동물, 식물, 곰팡이, 원생생물 A. 핵(Nucleus) 1) 핵막(Nuclear membrane)의 구조 * 단위막(이중막)-- 외막-- rER과 연결 내막-- thick * Barr body-- 중간세포에서 발견 2) 염색질(Chromatin) * 구성-- DNA + RNA * 종류-- 이질염색질, 진정염색질 * DNA-- 유전정보의 운반자, 세포의 특성과 능력을 결정. DNA-Protein complex(DNP)로 존재

* 암세포-- 과염색화 (1) 산성 비히스톤 핵단백질 증가-- 염기성염색(deep) (2) 핵분열을 위해 염색질이 복제 * 단백질 합성과정-- DNA 정보→ mRNA(전달)→ rRNA(단백질 만드는 기계) → tRNA(운반)→ Ribosome(protein 합성) 3) 핵소체 혹은 핵인(Nucleolus) * 호염기성(RNA), MGP(적자색) * 출현-- 단백질합성 왕성(암세포--신진대사 활발-- 수 증가) 4) 핵액 B. 세포질(Cytoplasm) 1) 세포막 2) 소기관 (1) Mitochondria-- 초생체염색(janus green)--녹색, 구연산회로효소, 호흡효소함유 (2) Ribosome -- 단백질 합성(호염기성) (3) Endoplasmic reticulum(세포질그물)-- 관 모양~ 주머니 모양 RER-- 리보솜 부착(단백질 합성), 형질세포에 발달 SER-- 리보솜 미부착(glycogen 대사, 약물대사, 지질합성)

(4) 골지장치-- 주머니 모양. 분비물 축적, 농축, 저장 * 골지음성부위--일반염색이 안되는 부분 goblet cell-- 점액분비-- 핵과 자유면 사이에 위치 plasma cell-- Ab 생상. 핵주위에 위치(핵주위 투명대) (5) 중심체 또는 중심소체 -- 동물세포에만 존재. 분열기에 두 개가 뚜렷. 9+ 2 구조 (6) Lysosome(용해소체)-- 가수분해효소 함유(acid phosphatase), protease, lipase, DNAse, RNAse 함유 * 잔여소체(소화되지 않은 이물질)-- lipofuchsin * Autolysis-- 세포가 죽어 효소들이 세포내로 방출→ 세포를 분해 * macrophage-- 세포질에 발달 (7) Microbody-- peperoxisome, glyoxysome (8) Cytoskeleton(세포뼈대)-- 가는 섬유상 구조물. 세포의 형태지지 microfilament-- actin과 myosin으로 구성 interfilament-- cytokeratin, vimentin, desmin, glia filament  

2.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세포막: 선택적 반투막-- 세포내․외 대사산물의 교환을 중개 투과기전: * 작은 분자의 세포막 투과 1) 단순확산-- 물질의 농도차(농도구배에 의해 분자가 이동). ATP(x) 2) 능동수송-- 에너지(ATP)를 소비한 효소에 의한 이온의 결합과 해리 ex) K+(신경세포), Ca++(근세포)의 흡수나 방출, 아미노산 흡수 HCl(위)의 분비 3) 세포음작용(Pinocytosis) * 큰분자나 작은 입자의 세포막 투과 1) 촉진확산-- 농도차+ 효소의 작용(매개체) 2) 세포식작용(Phagocytosis)

3. 세포의 결합 1) 견고접합(tight junction) 혹은 패쇄띠(zonula occludens) 2) 중간접합(intermediate junction) 혹은 부착띠(zonula adherens) -- Terminal plate 3) 간극접합(틈새이음, gap junction)-- 물질교환, 흥분전달 4) 부착반(macula adherens or desmosome) 5) 절반부착반(half desmosome) * 종말판(terminal plate)-- 섬모나 미세융모 내에 존재 Terminal plate-- degeneration-- cilial 소실→ t.p 소실 cancer-- cilia, t.p 소실 inflammation-- cilia, t.p 존재 출현-- 호흡기계(기관지, 비인두) 검체-- 객담

유사분열-- 사람의 체세포 cf. 감수분열– 생식세포 4. 자유면의 특수구조 1) 미세융모(Microvilli)-- 소장, 콩팥 세뇨관(솔 가장자리), 표면적 증가 2) 부동섬모(Stereocilia)– 부고환. 특이한 섬모. 흡수촉진 3) 섬모(Cilia)-- 호흡기. 객담배출 5. 세포분열 유사분열-- 사람의 체세포 cf. 감수분열– 생식세포 한 개의 세포가 분열하여 다시 분열할 때 까지의 주기 유사핵분열기-- 핵분열로 두 개의 딸핵 형성 세포질분열기--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딸세포 형성 1) 간기 혹은 휴지기 * DNA 합성전기(G1): 활발한 신진대사, 빠른 성장, 중심체의 복제, 길다, 변이가 심하다. * DNA 합성기(S): , DNA 복제, 세포성장 * DNA 합성후기(G2): RNA와 단밸질 합성. 성장과 분열을 위한 마지막 기, 짧다 액

2) 분열기(M 기) (1) 전기: 기간이 길다, 염색체 형성, 중심체가 나누어져 양극으로 이동, 방추체 형성 (2) 중기: 짧다. 동원체가 방추체에 부착, 적도판 형성, 핵막과 핵소체 소실. (3) 후기: 염색체가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 독립된 염색분체 생성, 가장 짧다 (4) 종기(말기): 염색질 형성, 핵막과 핵소체 형성, 세포질의 만입

** 분열상    

제 5 장 조직 및 세포의 분류 1.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조직: 서로 비슷한 세포와 세포간질의 모임 제 5 장 조직 및 세포의 분류 조직: 서로 비슷한 세포와 세포간질의 모임 4가지 기본형태: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1.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장기나 기관 표면 피복(피부, 복강벽), 내강의 경계 형성(혈관, 심장) 샘(gland) 형성 기능: 방어, 보호-- skin(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흡수-- 소화기관(intestine, columnar epi.) 여과-- kidney(transitional epi.) 분비-- Gland(columnar epi.--stomach, intestine. cuboidal epi. -- acinus, duct) 정화-- ciliated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기관, 기관지)

1) 상피조직의 특징 (1) 전체가 세포로 구성-- 상피판 형성 (2) 견고접합, 부착반 형성 (3) 극성을 가짐-- 자유면 (4) 혈관, 림프관(x). 신경섬유(o) (5) 기저판 위에 위치-- 기저막 형성 (6) 강한 재생능력(有) 2) 상피의 분류 세포의 모양-- Squamous cell, Cuboidal cell, Columnar cell 세포의 층수– 단층. 중층. 거짓중층 Simple-- 흡수, 분비, 여과 ① Simple squamous epi.: 크고 납작. 핵은 중앙. 폐포, 사구체, 혈관내벽 ② Simple cuboidal epi.: 다각형. 핵은 중앙(round, 大) 세뇨관, 샘(도관, 분비부) ③ Simple columnar epi.: 육각기둥 모양. 핵은 기저막 근처(난원형). 소화기관(위, 장의 점막상피)

④ Simple ciliated columnar epi.: 섬모. 핵은 원형이고 기저막 근처. goblet cell, 세기관지, entocervix Straitified-- 외부자극이 심한 곳 ①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 단층. 기저막 위에 배열. 원주상피세포와 不인접, 2-3층을 형성한 세포. 샘(도관), 요도 cf. Pseudostratified cilited columnar epi.: 기관, 기관지, 상기도 점막 ② Stratified squamous epi.: 여러층. 표면--편평상피, 무핵, 각질형성 기저부-- 원주상피 non-keratinized(식도, 질, 구강), keratinized(표피) ③ Stratified cuboidal epi.: 입방형, 2층. 방어. 표층세포< 기저층세포 샘(땀샘, 침샘)의 도관 ④ Stratified columnar epi.: 기저부-- 입방형, 표층-- 원주형 식도, 위, 항문-직장연결부

Transitional epi.: 중층(편평, 입방)상피의 한 종류. 기저부--입방, 원주형 표면-- 편평상피 장기에 따라 입방, 편평상피로 이행. 신우(renal pelvis) 요관(ureter), 방광, 요도의 상피 * squamous-- 키(highth) < 깊이(deepth), 폭(width) cuboidal-- 키(highth) ≡ 깊이(deepth) ≡ 폭(width) columnar-- 키(highth) > 깊이(deepth), 폭(width) 3) 샘(Gland) (1) 분비물 방출 방법 * Exocrine gl.-- 도관, 배설관을 통해 체표나 장기내강에 방출 대부분의 샘(예외. 내분비샘) Unicellular gland-- 도관(x). goblet cell(SI), paneth cell(SI) Multicellular gl.-- 도관, 분비부, 혈관 또는 신경(o) 대부분의 gland, liver, panc., kidney, salivary gland * Endocrine gl.-- 도관(x). 분비물(hormone)을 혈관이나 림프관에 배출 pituitary gl., thyroid gl., renal gl.,

(2) 분류 * 분지여부에 따라 Simple(단순샘) 비분지(unbranch)-- 단일 도관 분지(branch)-- 여러 개의 종말부가 한 개의 도관에 개구 Compound(복합샘)-- 단일샘이 두 개 이상 모여 도관으로 분지 * 분비부의 구조에 따라 Tubular gl.-- 선의 분비부 또는 종말부가 관상 Alveolar gl.-- 분비부가 구상 Tubuloalveolar gl.-- 두개가 혼합된 것 * 분비물의 분비방식에 따라 샘분비샘(누출샘, merocrine gl.)-- 땀샘, 침샘, 췌장 온분비샘(전출샘, holocrine gl.)-- 샘세포 파괴되어 분비물화. 피지샘 (sebaceous gl.) 부분분비샘(이출샘, apocrine gl.)-- 샘세포의 돌기가 떨어져나가 분비물 화. mammary gl., 땀샘

2.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 가장 풍부-- 널리 분포(예외, 뇌). 신체나 기관의 연결 결합, 지지, 방어, 격리, 수송 특징-- ① 간엽(중배엽)에서 유래 ② 맥관(혈액, 림프) 분포, 신경도 포함 ③ 세포간질로 구성. 1) 고유결합조직 구성-- 세포성분 + 세포간질(섬유와 기질) (1) 기질 (2) 섬유-- 교원섬유, 탄력섬유, 세망섬유 (3) 결합조직세포-- 8가지 (4) 소성결합조직-- 엉성하고 불규칙하게 배열 ① 간극결합조직-- 3가지 섬유 + 8가지 고유결합조직 분포-- 상피하 ② 지방조직-- 핵(편재) 분포-- 유방, 피부 밑 기능-- 기관지지, 열량공급 ③ 세망결합조직-- 분포-- 간, 림프절, 비장, 골수 기능– 탐식

(5) 치밀결합조직 ① 규칙치밀결합조직-- 인대, 건, 건막 ② 불규칙치밀결합조직-- 진피, 근막(fascia) ③ 탄성결합조직-- 주성분(탄력섬유). 분포: 대동맥벽, 항인대(소) 2) 연골 (1) Hyaline cartilage-- 가장 널리 분포. 분포-- 관절연골, 늑연골, 기관연골 (2) Fibrocartilage-- 교원섬유가 기질 내 풍부. joint 연결 분포-- 추간판, 치골결합, 관절순, 관절반월, (3) Elastic cartilage-- 탄력섬유가 기질 내에 풍부. 황색 분포-- 이관연골, 외이연골, 후두개연골 3) 경골(뼈) 4) 혈액

3. 근조직(Muscle tissue) 맥관 분포. cell-- 방추형. 주성분: 근원섬유(myofibril, actin과 myosin으로 구성) 1) 골격근(Skeletal M.) cell-- 긴 원통형, 가로무늬(횡문근), 수의근 핵-- 다핵주성분: 근원섬유(myofibril) 2) 심(장)근(Cardiac M.) 가로무늬(횡문근), 불수의근. intercalated disc 핵-- 단핵 3) 평활근(Smooth M.) 가로무늬(x)-- 민무늬근. 불수의근. 내장근 cell-- 방추형 핵-- 중앙, 1개

4. 신경조직(Nervous tissue) 신경계--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brain spinal cord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 뇌신경:12쌍 척수신경 자율신경계-- 교감 부교감 1) 신경세포-- 신경세포체와 신경돌기로 구성(neuron) 2) 신경교세포 (1) 고유신경교세포 ① 성상세포 ② 희돌기교세포 ③ 소교세포 (2) 상피형교세포(상의세포, Ependimal cell)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