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7 장 노인가족과 가족복지 당신은 노인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 당신이 가깝게 생각하는 노인은 누구인가 ?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그리고 그 노인이 당신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나 당신의 삶에 끼친 영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당신은.
Advertisements

1) 범죄와 심판  택한 백성 이스라 엘도 범죄하면 벌을 받게 된다는 것 2) 메시야를 통한 구원  범죄한 백 성이라 도 회개하고 돌아오면 용서하신다 는 것. 1) 범죄와 심판  택한 백성 이스라 엘도 범죄하면 벌을 받게 된다는 것 2) 메시야를 통한 구원 
한국외국어대학교 생명공학과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사회학과 김은희. 1. 저출산의 원인 2. 저출산 대책의 현황과 문제점 3. 저출산 제고 대책 5. 저출산 시대의 대처방안 4. 외국의 사례.
대 단원 : I. 가정생활의 설계 중 단원 : 2. 나의 생활 설계 소 단원 : (3) 나의 결혼 설계.
1. 생명 기술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생명 기술의 뜻 생명체를 직접 이용하거나, 또는 생명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활에 직ㆍ간접적으로 필요한 물질을 생산하는 수단이나 활동 (1) 생명 기술의 생명체 : 성장이나 번식, 유전, 물질대사 등의 특성을 지님.
휴먼게놈프로젝트와 컴퓨터 Human genome project and Computer science
정보통신대학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CICE)
LG ACQUAINTANCE CARD Sample 김지수 (Confidential) 성명(Name) 생년월일
세포와 세포막을 통해서 바라본 생명의 신비 이 수 재 길담서원 발표 녹색아카데미 연구원.
바이오산업 Back on the Radar Screen
3. 세포의 정보 교환 세포 신호 전달의 일반적 원리 단세포생물: 자극과 반응
한 호 재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과학기술부 세포응용연구사업단
한국뇌연구원(KBRI) 설립추진단 연구기획팀
문재인? 정치가 以前 성숙된 사회적 인격체 與否 검증자료 (1)
PCR mediated mutagenesis 2013 년도 2 학기 생화학 실험 (2) 6 주차 조교 : 전지선.
T.O.P. (Team of pharmacoproteomics research)
Cyclic AMP, GMP.
2-1. 플라즈미드 DNA vector.
Double & Triple Blocking by DNA Binding Protein
Transformation Biology experiment.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설계 기초자료 수집 및 백신신속개발 연구기법 습득
제3장 생물공학 실험설비 및 배양용 배지 1. 기본 시설 및 기구
Protein Kinase Inhibitor Therapy For Chronic Myeloid Leukemia
13강 실업자의 복지 이수천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Gene Cloning(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클로닝 정의. 유전자 클로닝의 등장배경. 유전자 클로닝의 중요성
유전공학 5장. DNA 정제.
1) 미생물의 배양법 미생물이란 LB배지 미생물 배양 방법 고체배양 : 사면배양/ 천자배양 …
IV. 건강에 대한 나의 관심분야 3.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GENETIC TECHNOLOGY 생물학개론 15주차 강의
분자 생물학 5장. 핵산 취급 기술.
장자의 핵심사상 중국인의 사상과 지혜 제9주.
경기도시흥교육청 유치원평가 연수 시화유치원 남궁 상.
핵산의 성질과 분리 생물환경학과 김 정 호.
Molecular Biological Tools in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VectorNTI 사용법 교육 Insilicogen, Inc. Consulting Team 이 기 용.
∘ 체세포분열과 생식세포분열의 특징을 비교하시오.
분자생물학실험 SUBJECT Electrophoresis 결과 확인, Sequence blast
DNA work Protein work.
Sub Cloning 학기 생화학실험(2) 담당교수 : 송재환 교수님 담당조교 : 한수연 CONTENTS
ESBL 생성 균주의 현황과 검출 임상병리과 미생물계 김미현.
2장-항균작용과 내성의 원리 1. 항균제 종류 및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2. 항균제에 대한 미생물 감수성검사를 설명한다.
신약 개발과 임상시험 Nov 27, 2002 Jaeyong Chung, M.D,. MRCPath
.
생물산업 발전전략 (New Breakthroughs of the Bioindustry)
2nd Class Sub Cloning 학기 생화학실험(2) 담당교수 : 송재환 교수님 담당조교 : 이해경
GPIA 한국 생명공학 특허기술 분석 실증적 연구 분과 특허정보분석연구회(GPIA) Group of Patent
소화기계 암의 미세환경 연구의 중요성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 나 영.
가족성암의 유전자 분석 가족성 암의 유전자 분석 국립암센터 연구소 대장암 연구과 김일진, 강효정, 박재현, 박 재 갑.
제6장 세포주기 6.1 세포분열과 세포죽음 사이의 균형 체세포분열(유사분열, mitosis)
제16장 유전공학-첨단분야.
제15장. 유전체 조작과 연구 유전체 사업 유전공학 분자도구들 생명 윤리.
Introduction to Plant Tissue Culture.
Genome Project 고해상도 유전지도 및 물리지도를 제작하여 질병관련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Ⅲ-3. 생명의 연속성 5. 유전적 다양성과 현대의 진화
신경세포 신호전달 및 분화 과정에서 Phospholipase C의 역할 연구 연구목표 연구책임자 : 서 판 길
제11장 유전공학 11.1 DNA 변형과 조작을 위한 분자적 도구들
환경미생물학.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식물계통분류학 이근섭 생물관 208 (Tel: ; 수업 자료
돌연변이 생물교재론 양현주.
만 명 자영업자 수 추이 자영업 폐업자 수 추이 초과 추정
업무 메뉴얼 1. 사무용품/소모품 청구의뢰서 작성요령 2. 법인 등기부등본/법인 인감증명 발급 요청서 작성요령
2010년 1분기 정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연구팀 (mtDNA research lab) (금)
분자과학개론.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의 생물학적 독성 분석 최민준 PPT BY. YOONYM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제6강, 선교커뮤니케이션 허정 교수.
창조론과 진화론 사상독서스쿨 아가피아 스쿨 5반.
2007년 한•일 공동 식물바이러스 심포지엄 및 정기 학술 발표회
Presentation transcript: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생명과학의 중요성

생명과학이란? - 인간을 중심으로 모든 생명체를 다루는 학문 - 생물의 종류에 따라서 - 동물(인간 포함) - 식물 - 미생물 - 바이러스 - 동물은 다루는 방법에 따라 - 발생학, 해부학, 생리학, - 유전학, 생화학, 면역학, 분자생물학 등으로 분류 - 각 학문은 분자, 세포 및 개체 차원에서 연구가 진행

왜 생명과학을 연구하는가? 지적 호기심 인간 복지 향상 - 첫째로 먹는 것 - 둘째로 질병으로부터 해방 - 셋째로 행복해지는 것

생명과학으로 할 수 있는 것은? - 생명현상의 본질을 탐구하고 규명하는 학문 - 의약학, 식품학 및 생명공학의 기초 생명과학 의 학 약 학 농 학 식품학 환경학 공 학 생명과학 (생명현상의 본질)

생명과학의 중요성 인류의 100대 과학 사건들 최근으로 올수록 생명과학 관련 사건이 많아짐

학과 소개

학과 연혁 연도 내용 2017 과학분야 선도연구센터사업 ‘비임파성 장기 면역 연구센터’ 선정 2016 3단계 BK21플러스사업 ‘통합 생명과학 창의인재양성사업단’ 선정 2006 2단계 BK21사업 ‘세포 기능조절 및 응용연구 인력양성사업단’ 선정 200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주관평가 생명과학 분야 우수학과 (학사과정 및 대학원) 선정 1999 1단계 BK21사업 ‘세포 기능조절 및 응용연구 인력양성사업단’ 선정 1997 전국 생물학과 평가 학부 및 대학원 우수학과 선정 1994 교육부 주관 전국 대학 생물학화 평가 최우수 학과 선정 1988 ‘생명과학과’로 학과명 변경 1981 수원 자연과학캠퍼스로 이전 1954 서울 명륜동으로 이전 1953 생물학과 설립(부산)

학과 현황 1. 충분한 실험실습과 첨단 기자재 구비 식물표본실, 해양동물 표본실, 해양생물 수족관, 동물실, 공동기기실, 항온실, 전자현미경실, 무균실, 저온실, 방사선 동위원소실, 세미나실, 열람실 등 2. 교수님들의 연구비 수주 증가로 대학원 진학 증가

학과 교수 김정하 배용수 박석희 이상호 이우성 김승철 이충은 김철호 배외식 윤환수 이재성 권재영 박영민 이석희 최철용 조홍백

학과 홈페이지 : bio.skku.edu http://bio.skku.edu

학과 동문회 홈페이지 : skkbio.com 65년 전통 1,500여명의 동문 국내외 대학 연구소 중고등학교 제약회사 식품회사 화장품회사 정부기관 (국립보건연구원, 환경연구원, 해양연구원 등) Bio 벤처

교육 연구 학과 기능 학부 대학원 연구실 연구센터 학부 연구실 연구센터 대학원 사업단 전공핵심: 30학점 전공일반: 24학점 실험실습: 8학점 연구실 16개 연구실 MCB: 12개 EEOB: 4개 연구센터 1개 선도연구센터 대학원 석사과정: 2년 박사과정: 4-6년 석박사통합과정: 5-7년 사업단 1개 BK21플러스사업단

교육과정

교육과정 로드맵

Molecular and Cell Biology 전공핵심 전공일반 Molecular and Cell Biology 이우성 이석희 박영민 이충은 최철용 배용수 식물생리학 세포생물학 생식생물학 동물생리학 동물발생학 면역과인체방어 종양생물학 유전및유전체학 바이러스학 김철호 박석희 이상호 권재영 배외식 조홍백 분자세포당생물학 (생화학) 유전공학 감염반응생물학 생물물리학 생물분자구조학 (생화학) 신경유전학 뇌과학 중개생물학 (생화학) 미생물학 미생물유전및생리

Evolution, Ecology and Organismal Biology 전공핵심 전공일반 Evolution, Ecology and Organismal Biology 김정하 김승철 윤환수 이재성 생태학 생물통계학 식물분류학 진화학 분자환경생물학 환경독성학

복수학위제 : U. of Texas at Dallas 구분 주요 내용 대상 - 자연과학대학 소속 학과 재학생 학점 이수 요건 - 1~2년 내 최소 60학점 이수 취득학점 이관 - SKKU 취득학점은 UTD로 이관 장학금 - 등록금 지원(자연과학대학) 학생 학과 파견학기 학위취득학기 A 화학과 2014년 2학기 2016년 1학기 B 생명과학과 2016년 2학기 C 2015년 2학기 2017년 1학기 D 2018년 1학기

교수 연구 분야

식물분자생리학 연구실 (이우성 교수) Abiotic stress에 대한 식물세포의 반응연구 식물체 유전자 도입과 유전체학 환경저항성 작물의 개발 유전자 간섭현상과 식물의 발생

세포생물학 연구실 (이석희 교수) 1. 포유동물의 수정기작에 관한 연구 - 수정기작의 신호전달체계를 분자수준에서 규명 - 호르몬을 이용한 정자의 첨체반응기작 연구 2. 남성생식 생리 연구 - Proteomics 기법을 이용한 정자의 성숙과정 연구 3. 정자효소의 분자생물학적 규명 - cDNA 분석과 peptide sequencing을 통한 정자효소의 분자생물학적 규명

동물생리학 연구실 (박영민 교수) Hormone 분비 조절기작 연구 1. Hormone 분비를 조절하는 annexin의 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 membrane receptor를 통한 세포내 신호 전달 기작 연구 - receptor에 결합하는 binding domain을 찾기 위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2. Phospholipase A2에 관한 연구 - Novel PLA2의 특성및 생리작용에 관한 연구 - Hormone 분비시 PLA2를 통한 신호 전달 기작 연구

면역학 연구실 (이충은 교수) 생명체의 방어 및 항상성유지 기능으로서 면역현상의 기초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질병의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연구를 수행 기초 : 면역기능의 발현과 신호전달기전 연구 - 면역세포(T/B 림프구)들 간의 정보전달 메커니즘 규명 응용 : 알레르기 반응, 스트레스면역반응 항암 면역반응 연구 임상으로의 연계 :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 항암치료증강요법 개발

생태학 연구실 (김정하 교수) 해양환경변화와 생태계 반응 모니터링 - 해양오염 모니터링, 백화현상등 해양생물의 보전생태학적 연구 - 외래종, 멸종위기종, 고유종 등 분자생태학적 연구 - 해양생물 개체군의 유전적 변이와 진화

분자유전학 연구실 (최철용 교수) 암과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및 단백질의 기능 에 관한 연구 세포 신호전달 과정에서 신호조절인자의 특성 규명 세부과제 1. 암 억제인자 p53을 인산화 시키는 HIP Kinase에 의한 암 발생기작 연구 2. 인간의 무홍채증을 일으키는 PAX6의 전사조절 연구 3. 직장암을 일으키는 β-catenin, dishevelled 단백질의 인산화에 의한 조절기작 연구

바이러스학 연구실 (배용수 교수) 1.AIDS 발병기전 연구 - AIDS 관련 항암유전자의 작용기전 - Poliovirus vector를 이용한 재조합 생백신개발 - AIDS 치료제 개발 연구 3.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연구 - 암의 면역치료 - 류마티스관절염 면역치료 연구

분자세포당생물학 연구실 (김철호 교수) 인체 Glycobiology-Glycomics연구 1. 세포분화, 암화에서 당쇄신호전달 기전연구 - 수용체-당쇄결합 신호전달 2. 이종장기이식 당쇄항원연구

세포성장조절 연구실 (박석희 교수) TGF- 1. TGF-에 의한 항염증 기전 연구 - 억제 Smad 단백질들에 의한 Ubiquitination 매개단백질 분해 기전 연구 - Pellino 단백질들의 선천면역 및 염증 유발 기전 연구 2. TGF-에 의한 Epithelial-Mesenchymal - Transition (EMT) 기전 연구 - TGF-에 의한 EMT 유도시 항산화효소 관련성 연구 3. 피부노화과정에서 세포외기질 분해 기전 연구 - 14-3-3에 의한 MMP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 연구 TGF-

구조생물학 연구실 (이상호 교수) 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구조 및 기능 연구 유비퀴틴 신호전달체계 막단백질의 세포내 이동 단백질 DNA 손상대처 단백질 식물 스트레스 저항 신호전달체계 ABA 신호전달 단백질 항체 공학 및 표적전달시스템 개발 항체 신약후보물질 발굴

신경유전학 연구실 (권재영 교수) 화학감각신경계 분석을 통한 감각반응 네트워크 규명 연구 화학감각수용체 기능 분석 감각수용에서 운동반응으로의 경로 이해 초파리를 동물모델로 이용

식물분류학 연구실 (김승철 교수) Plant Molecular Systematics Origin and Evolution of Island Plants Genetics of Plant Speciation Conservation Genetics of Island Plants Plant Domestication in Korea and Mesoamerica (Mexico and Central America)

감염및염증반응 연구실 (배외식 교수) 면역 조절 리간드 개발 및 응용 감염 질환 치료제 개발 (패혈증 치료제 개발)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 (관절염 치료제, 대장염 치료제) 암 면역 치료제 개발 GPCR 리간드 개발/응용 (Cellular Immunology) 생체방어제어연구실 @ SKKU

진화유전체학 연구실 (윤환수 교수) 원생생물과 플랑크톤의 계통 및 다양성, 진화에 대한 주제를 유전체 분석, 분자계통학적, 생물정보학적 방법으로 연구 엽록체의 기원에 대한 연구 (내공생학설) 종 분화에 대한 연구 홍조류, 황색조류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분자환경생물학 연구실 (이재성 교수) 다양한 화학물질들이 생물체의 발생, 성장, 성분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적 수준으로부터 세포, 개체, 집단 및 환경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으로 분석 OECD chemical testing organism 수립 대상 생물 – 윤충류, 요각류, 어류 등 주요 관심 화학물질 내분비계장애물질 (Alkylphenols, PCB, DTT) 중금속, 신경전달장애물질 (농약, 살충제 등) Nano-particles (CNT, Fullerene, 등) 발암물질, 의약품

미생물학 연구실 (조홍백 교수) Beta-Lactam Antibiotics Induce a Lethal Malfunctioning of the Bacterial Cell Wall Synthesis Machinery Nucleoid occlusion factor SlmA is a DNA-activated FtsZ polymerization antagonist Bacterial cell wall biogenesis is mediated by SEDS and PBP polymerase families functioning semi-autonomously VirA and VirG activate the Ti plasmid repABC operon, elevating plasmid copy number in response to wound- released chemical signals

교수 연구 실적

교수 연구 업적

교수 연구 업적

교수 연구 업적

교수 연구 성과 : 기초 연구

교수 연구 성과 : 기초 연구

교수 연구 성과 : 응용 연구

교수 연구 성과 : 바이오의약

졸업 후 진로

생명과학과 졸업 후 진로

진로 관련 참고 사항 : 대학원 학부연구생 생명과학연구1,2(1,전공핵심/2,전공일반/1학점) 졸업논문연구(전공일반/1학점) 우수 학부생 연구학점제 (자연과학연구학점1-5/계절학기/2학점/전공일반) 팀연구학점제(팀연구프로젝트1,2/3학점/전공일반) 최대 19학점(전공핵심1학점+전공일반18학점) 가능 대학원 진학 지원 학석연계제도 대학원연계 장학제도 BK21플러스사업단 Global Ph.D. Fellowship 병역 관련 자연계 대학원 전문연구요원 기초과학연구소 전문연구요원 선도연구센터(SRC) 전문연구요원

진로 관련 참고 사항 : 바이오신약 Biomarker/target identification Mechanism of action (MOA) Chemical drugs Receptor ligands Enzyme inhibitors Biologics (molecules, cells) Biosimilar: same antibodies Biobetter: novel antibodies Immune cells Screening Characterization: pharmacodynamics, pharmacokinetics Development: formulation Manufacturing: culture, purification, quality check (QC) Clinical trials Approval Marketing Post-market monitoring 생명과학 졸업생을 필요로 하는 분야

생명과학의 현재와 미래

생명과학의 현재 생명현상의 본질적 이해 - 세포 분화, 개체 발생, 면역체계, 호르몬조절 식물세포의 성장, 진화 무병장수를 위한 미래의학 - 암의 발생기전 및 치료, 심장병, 당뇨병, 치매, 뇌졸증, 감기, AIDS - 장수, 노화 실생활과 밀접히 연관된 바이오 시대 - 질병진단 시약 - 유전자 지문검색 - 홍채 인식

21세기 생명과학의 미래 노화 환경 문제 해결 난치성 질환 (암, 당뇨, 관절염, AIDS) 정복 줄기세포, 이종장기 이식, 세포치료, 신약개발 복제양 돌리 줄기세포 치료 전 CT 치료 후 CT 복제양 세포치료제 유전체 연구 DNA 칩 장기이식 돼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