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 화 ) 주네덜란드대사관 (e)2013(e) GDP(%) 민간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경제 경영 이야기 -9 기준금리 Call 금리. 기준금리 Official Bank Rate 한국은행이 금융회사와 거래하는 금리로 월부터 금융통화위원회가 발표하는 정 책금리를 기준금리로 바꾸고 대표적인 기준금 리인 RP 금리를 정례적으로 발표. 미국의 정책금리.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의료산업은 좋은 일자리와 성장동력의 축 10.
마케팅원론 사례연구 1 조 조사자 경영 강대국 PPT 행정 강민호 답변자 영문 강경우 조장 경정 강창재 1 조 조사자 경영 강대국 PPT 행정 강민호 답변자 영문 강경우 조장 경정 강창재 과목명 : 마케팅 원론 교수명 : 정연근 교수님 발표일 : 2011/04/13 과목명.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Ⅱ Ⅱ 제안사업 모델 주요 고객 Ⅲ Ⅲ Ⅳ Ⅳ 목표 시장 Ⅰ Ⅰ 시장 니즈 Ⅴ Ⅴ 사업화 대상 기술 1.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좋은 보건의료체계 만들기 -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 최고위과정 -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 김 용 익 2014 년 4 월 8 일.
민영의료보험이란 ? 1. 민영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이 보상하지 않는 고객이 부담해야 할 병원비를 보장하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뇌 경색 진단 후 입원하여 수술을 받았는데 총 진료비가 3,200 만원이 청구되었다면 국민건강보험 공단에서 1,800 만원을 부담하고 본인이.
건강보험 총액예산제 도입 방안 김 경 자 민주노총 공공성강화위원회 위원장
2014 서울 희망보따리 동경 상담회 참가기업 모집 일본 동경(‘정치·경제·문화 중심지’, ‘최대 소비지’)에서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이 지표는 OECD 국가별로 휘발유 소비자 가격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시한 것입니다.
2012년 5월 2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856.64원/l (5월6일~5월12일) α
2013년 8월 3주 국내 경유 가격구조 [경유] 소비자 판매가격 : 1,743.6원/l (8월18일~8월24일) α
2009년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가난한 이들의 건강권 김 창 보 2009년 9월.
민간의료보험에 대한 고찰 서울시립대 행정학과 허 순 임
’15 방위산업이차보전 설명회.
지원자를 위한 인턴 사원 채용 FAQ.

Volunteer work.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개요 2006년 230여개 골프장 -- 2010년 400여개 이상의 골프장 운영 예정
민간의료보험의 동향과 대응방향 노동건강연대 공동대표 임 준.
허가사항 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승인 근거 :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 호 ( )
제1장 병원 경영의 이해 및 병원 환경의 변화.
Government Policies on pharmaceuticals
?blogId=babiana_she&logNo=
소매경영의 특성과 유통전략 1. 소매의 정의 “최종고객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행위”
0. 코스트의 이해 단가 × 양 = 원가 원가는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이다 단 가 양
Credit Guarantee.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유통경로의 통합관리.
사회복지개론 (제15장 사회보장과 사회보험) 변동철 교수
고등학교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하는 비율 (진학률,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Chapter 10 – Social Insurance II: Health Care
마케팅 4. 우리회사의 마케팅,고객관리,홍보전략 MD상대-상품의 다양성 (3가지 포장방법 - 70여종 - 250개)
비급여 규모 파악 및 관리 방안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은상준.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1.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비중 확대 (1) 학생부 신뢰도 현황과 제고 노력
의료기관 평가인증제도 바람직한 대안은 무엇인가?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의약품 유통구조의 난맥상과 의약품 가격 (금) 국회의원 김 용 익.
의료급여 정신과 수가체계 개선 보건복지가족부 기초의료보장과.
보험의 정의 보험의 정의 -보험관련학문 법 학 보험경영학 보험학 보험경제학 사 회 학 보험통계학 위험관리.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여성들의 음주 변화 남성 음주률 기준 규격화 (배) 출생년도
보험경영론 보험경영론 경일대학교 경영학과.
한국형 민간의료보험의 특성과 향후과제
I. SciVal: 연구성과 분석 솔루션 1. 연세대학교 의학분야 연구성과와 역량 분석
【기술보증기금】.
* 유의사항: 본 조사는 ‘ 이용자’와 ‘승용차’를 모집단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이 진 석

순 서 I. 국민건강보장의 현황 II.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의 필요성 IV.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건강보험의 법정본인부담금에 대한 급여 제한 민간의료보험의 상품 표준화 민간의료보험의 사회적 책임성 향상 민간의료보험의 관리감독체계 정비 V.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의 기대효과

국민건강보장의 현황: 건강보험의 성과와 한계 ’05년 현재 건강보험의 보장률은 60%대에 도달 ’05년 암, 일부 심장질환과 뇌혈관계질환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 ’07년 본인부담상한제의 상환 기준을 200만원으로 하향 조정 건강보험의 한계 여전히 OECD 평균에 크게 뒤쳐지는 보장성 수준 국민의 체감 보장률 ↓: 광범위한 비급여 영역 ‘비의료’ 영역의 비용 부담에 대한 보장 부재 의료 영역 지출 비의료 영역 지출 소득 상실 기타 비용 보험자부담 본인부담 환자 가족 501만원 498만원 333만원 1,028만원 227만원 암 발생 1차년의 환자 1인당 평균 비용 지출, 2003년(자료: 국립암센터, 2004)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의 필요성 (1) 민간의료보험의 시장 규모 보험료 수입 기준으로 ’05년 현재 7조5천억원(정기택, 2006) ’90년대 중반 이후, 연평균 20% 이상의 증가율 손해보험사의 실손형 상품 시장 점유율 증대 ’96년, 3.7%  ’05년, 15.1% 개인 단위 가입률: 50% 이상(성인), 가구 단위 가입률: 70% 이상 월 평균 보험료: 1인당 9~10만원 민간의료보험 상품의 비합리성에 대한 문제지적 지나치게 취약한 민간의료보험 상품의 보장성 서구 선진국 상품에 비해 20%p 가량 낮은 지급률 수준 보험료 과다 책정 과다한 관리운영비, 위험률과 할증률의 보수적 적용 부실한 정보 제공으로 인한 소비자의 합리적 구매 결정 곤란 ‘정보 비대칭’을 완화할 수 있는 수단 부재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의 필요성 (2) 건강보험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문제지적(실손형 상품) 정액형 상품 vs. 실손형 상품 정액형 상품: 질병으로 인한 소득 손실 보전, 건강보험의 공백 보완 실손형 상품: 건강보험과의 직접적인 관계 형성 환자 본인부담 전액을 보장할 수 있도록 허용 OECD에서 ‘피해야 할 유형’으로 지적한 민간의료보험 유형  건강보험의 불필요한 비용 지출 야기 법정본인부담금: 정책적으로 설정한 경제적 장벽  건강보험의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훼손 ’06년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의 결정 주요 내용 건강보험 비급여 중심 위주로 민간의료보험 상품 개발 민간의료보험의 상품 표준화 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기초통계 공유 보험사와 의료기관 간 비급여 가격 계약 허용 민간의료보험의 진료비 심사를 심평원으로 위탁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을 위한 기본 원칙을 제시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의 기본 원칙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역할 설정 원칙에 대한 동의 비율 (보건복지학계: 12명, 보험/경제학계및보험업계: 7명, 의료공급자단체: 7명, 소비자단체: 12명)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법정본인부담 급여 제한 (1) 민간의료보험의 보장 영역 환자에게 더 이상 과중한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는 법정본인부담에 대한 민간의료보험의 급여는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함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보장 영역에 대한 영역별 동의 비율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법정본인부담 급여 제한 (2) 법정본인부담금 급여 제한의 유형 정률 보장: 본인부담 총액의 일정 비율 범위 내에서 민간의료보험의 급여 허용(본인부담 총액 중 법정본인부담금의 비중: 약 30%) 장점: 보험금 산정 기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음 단점: 소액 진료비에 대한 일괄 보장, 고액질환에 대한 보장성 상대적 미흡 일정액 공제제 + 정률 보장: 법정본인부담이 일정액을 넘을 경우, 초과 비용의 일정 비율을 보장할 수 있도록 허용 장점: 법정본인부담금 제한의 정책적 취지 달성, 고액질환에 대한 보장성 향상 단점: 보험금 산정 기준을 쉽게 이해하기 힘듦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본인부담 보장 방식에 따른 환자 본인부담 및 본인부담 경감률(단위: 원)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상품 표준화 (1) 상품 표준화 유형 상품 유형 표준화 미국의 경우, 법적으로 판매가 허용되는 보충형 민간의료보험(Medigap) 상품 유형을 12개(최근 2개 추가)로 지정 12개 유형이 모두 보장해야 하는 필수급여 항목도 동시에 지정 필수 급여 항목 지정 모든 상품이 보장해야 할 필수급여 항목을 지정하는 방식(호주, 아일랜드 등) 필수 판매 유형 지정 모든 보험사가 필수적으로 판매해야 하는 상품 유형을 지정하는 방식(독일, 네덜란드, 미국 일부 주 등) A B K L ….. * 모든 보험사는 A~L 유형의 상품만을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정 <가장 엄격한 표준화: 미국> <필수급여 항목 지정 방식> 모든 보험상품은 * 영역에 해당하는 급여항목을 포함하도록 의무화 <필수판매 유형 지정 방식> 모든 보험사가 필수적으로 판매해야 하는 유형(A)을 지정하는 방식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상품 표준화 (2)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의 상품 표준화 유형에 대한 동의 비율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상품 표준화 (3) 외국의 필수 급여 항목 상병별이 아니라 서비스 항목별로 필수 급여 항목을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 상품 정보 공개 표준화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아일랜드, 호주 등의 국가에서 정부기관 혹은 보험협회가 소비자용 매뉴얼을 제작해서 배포하거나, 표준화된 정보공개기준을 마련해서 적용

미국, 영국, 캐나다의 민간의료보험 상품 안내 책자

아일랜드 보건부 산하 The Health Insurance Authority 홈페이지에 게재된 보험상품 정보

(Private Health Insurance Act, 2006) 호주 민간의료보험 상품의 정보제공 표준 양식 (Private Health Insurance Act, 2006) 호주 민간의료보험회사(nib) 홈페이지의 상품 정보 공개 내역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민간의료보험의 사회적 책임성 향상 위험균등화 프로그램 고위험군의 보험 가입 보장 미국, 호주, 아일랜드, 스위스, 독일, 캐나다 퀘벡주, 독일 등에서 시행 중이거나 시행 예정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보험료 부과 제한 다수의 국가에서 개인건강상태에 따른 보험료 차등 부과 금지 건강상태에 따른 보험료 차등 부과의 범위 설정 ‘보험료 대비 혜택 비율(지급률)’ 하한선 설정 미국의 경우, 사회보장법을 통해 개인의료보험과 단체의료보험의 지급률을 각각 65%, 75%로 의무화 지급률 하한선에 미치지 못할 경우, 보험료 환불 조치 민간보험사의 의료기관 선택 계약 금지 국민의 의료기관 선택권을 인위적으로 제한 일부 병원에 대한 환자 쏠림 현상 심화 보험사를 중심으로 의료공급체계가 재구성되는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

민간보험사의 의료기관 선택 계약 금지에 대한 동의 비율 비동의 (76.3%) (91.7%) (100.0%) (42.9%) (66.7%) 민간보험사의 의료기관 선택 계약 금지에 대한 동의 비율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 방안: 관리감독체계 정비 국내 현황 현행 민간의료보험의 관리감독부처는 금융당국 보험사의 안정적 운영에 치중, 국민건강보장 측면은 간과 민간의료보험에 대한 정부 정책에 커다란 공백 발생 국민건강보장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는 보건당국이 권한을 가지는 것이 타당 자동차보험의 예: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 의거, 건교부가 감독부처 외국 현황 미국: 보충형 민간의료보험의 주무부처는 보건부 그 밖의 국가: 보건당국이 민간의료보험에 대한 주요 권한 행사 아일랜드, 호주: 보건부 산하의 별도 관리감독기구 스페인, 네덜란드: 국가보건정책 관련 사항은 보건당국 권한 행사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합리적 역할 설정의 기대효과   공적 의료보장제도의 적용 여부(Eligibility to public HI) 예 아니오 민간의료보험의 보장 내용 Health services covered by PHI 공보험과 같은 서비스 Same services covered by public health insurance 중복형(Duplicate) 영국 대체형(substitutive) 미국, 독일 공보험의 본인부담 Co-payments on publicly insured services 본인부담 보충형(Complementary) 프랑스, 미국(Medigap), 한국 부가서비스 Additional/extra services 부가급여 보충형(Supplementary) 캐나다, 아일랜드 OECD 구분을 기준으로 재구성 (WHO는 중복형과 부가급여 보충형을 따로 구분하지 않음) 중복형과 부가급여 보충형의 구분: 일시적으로 공보험 수급권 포기 vs. 공보험 수급 자격 유지 본인부담 보충형과 부가급여 보충형의 구분: 공보험 급여항목의 본인부담금 보장 여부  부가급여 보충형: 임상적 결과와는 직접적 상관이 없어 공보험의 급여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고급의 사치성 의료서비스 및 private bed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권을 확대시키는 민간의료보험 유형

의료기관의 기술경쟁-가격경쟁 촉진 비용효과성이 입증된 필수의료 고급의료 부가서비스 의학적 타당성이 입증된 신기술의료 급여확대를 통한 시장규모 확대 국민건강보장 강화 민간의료보험 적용 고소득층 소비 활성화 병원투자 활성화 고용창출 기술개발 및 적용 촉진 의료기관의 기술경쟁-가격경쟁 촉진 건강보험 부담 법정 본인부담 비급여 본인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