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뇨 및 라니냐 김 병식 국립강원대학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4. 아프리카 육지 넓고 더운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위치는 ? 북쪽에는 지중해 남쪽에는 남극해 서쪽에는 대서양 동쪽에는 인도양 유럽과 접해있다.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 과학기술윤리 21 조 발표 김병철 이형주.
김 병식 국립강원대학교 엘리뇨 (El Nino) – 남아메리카의 근해에서 거의 매년 초에 나타나는 적도 태평양이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지는 것으로 스페인어로 'The Little Boy' 또 는 'Christ Child' 를 의미하며 이 현상이 크리스마스 때에 나타나는.
최근 겨울이 추운 이유 : 지구온난화의 비선형성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llaborators : 장연수, 정지훈, 김백민.
통 영 기 상 대 Tongyeong Weather Station 경남서부남해안지방 기후변화 특성 통영기상대 백성애 제 3 회 기후세미나.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PASSION PASSION Spanish Language! 최고를 위한 열정 스페인어과.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15 일 18UTC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90km 부근해상에서 21km/h 의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으며, 중심기압 935hPa 중심최대풍속 48m/s 의 매우 강한 중형태풍임.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9 월 11 일 00UTC 경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1550km 부근해상 (9.4N, 134.0E) 에서 제 31 호 열대저압부 (TD) 가 발달하여 발생하였음. 11 일 18UTC.
5 조 날씨 브리핑 김유한 김푸름. 발표순서 1. 지난 주 예상일기도와 이번주 지상 일 기도 비교분석 2. 이번 주 남부지방 날씨 흐린 원인분석 3. 경기도 지방 고온현상 원인 분석.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기후변화와 재해 국회 환경경제연구회 (11.14)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저감 - 과학적 이해 - 기상청 발표 내용 ◆ 기후변화의 실상 ◆ 기후변화의 예측 ◆ 예상 재해 양상 ◆ 대응 방안.
기후변화의 실상과 대책 기상청 예보국장 신경섭 기후변화에 대하여... - 과학적 이해를 배경으로 - 기본적 이해 현재까지 진행 상황 미래의 양상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 현황설명 O 제 24 호 태풍 보파 [Bopha] 발생 감시상황 - 위성영상에서 보르네오 섬 북쪽과 괌남쪽 부근해상을 중심으로 대류셀들이 발달과 소멸을 반복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발달하는 대류셀은 없음 hPa 유선장에서 대류셀이 다소 밀집되어 있는 필리핀.
신현도. 폭풍해일 폭풍해일 지진해일 지진해일 태풍 같은 강한 저기압권에서 정역학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해면이 부풀어 올라서 해수면이 이상적으로 높아진 현상임. 실제로는 만조시가 겹쳐지고 풍랑의 작용이 더 해져서 발생함.
홍역 발생 현황 (1.1~5.18일 기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국내 발생상황 확진환자 현황(5.18 기준) 마지막 환자 이후 최장 잠복기(3주) 미경과 지역 구 분구 분 계 해외유입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포인세티아 Poinsettia 이 꽃은 흔히 크리스마스 때 많이 보이는 것이죠 ㅋㅋ 강다은.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The Introduction for - 3rd Asia Pacific Advanced Fluid Therapy Conference with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March 2011 B. Braun Korea Pharma.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국내 말 임상 분야 소개 한국말임상수의사회.
국가별 물부족 상태 세계자원연구소 (WRI : the World Resources Institute / 1982년 설립) 년 12월 12일 (현지시각) 공개 수요 대비 공급 비율 높은 stress 매우 높은 stress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Central Gas Monitoring System 2005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Winter Olympic 2018 Pyoung-Chang
2. 기후와 기후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기상과 기후 엘니뇨와 라니냐.
UNISDR ONEA-GETI 안내.
극지해양학 발표논문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role in the Antarctic ice system: An overview 이 종석.
국가명 5세 이하 유아 사망률 (1000 명 당) 유아 사망률 감소 미국 2.1 % 러시아 4.2 % 프랑스 3.6 % 독일
지구온난화 보고서.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바나나는 왜 싸지? -값싼 바나나의 숨겨진 비용.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2017 겨울 極夜, 오로라 여행 북유럽의 온난한 날씨와 한파 극야 현상 오로라 폴란드, 발트3국, 핀란드.
Problem-Based Learning
지구 온난화 8생활실 이한글 외 13명.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수력에너지.
Changing Arctic Ocean freshwater pathways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3/9) 춥고 비가 적은 기후.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들의 음주 변화 남성 음주률 기준 규격화 (배) 출생년도
한국 등 서태평양지역 겨울 기상이변 (혹한) 우려 라니냐 (La Nina, 反엘리뇨 Anti-El Niño) 현상
광주전남 이상기후와 기후변화 현황 2010 기후보호 포럼 광주지방기상청 기후과장 최경철.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2. 세계의 종교 분포와 경관 ① 세계 주요 종교의 분포와 확산.
지구과학교육  VI. 지 구  일기와 기후 끝.
(3) 바람 ① 계절풍(monsoon) – 대륙과 해양의 비열차 ㉠ 여름 – 고온다습한 남동·남서계절풍 벼농사
하천의 인위적 변화 인공 제방 수로 준설(channel dredging) 운하건설 댐(보) 토론 “4대강 사업”
지질해양학 과제 최성진 이창진 박영재 이은선.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Presentation transcript:

엘리뇨 및 라니냐 김 병식 국립강원대학교

엘리뇨 및 라니냐의 정의 엘리뇨(El Nino) 라니냐(La Nina) 남아메리카의 근해에서 거의 매년 초에 나타나는 적도 태평양이 비정상적으로 따뜻해지는 것으로 스페인어로 'The Little Boy' 또는 'Christ Child'를 의미하며 이 현상이 크리스마스 때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사용되었다. 라니냐(La Nina) 엘리뇨와는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물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으로 'The Little Girl'을 의미하는데 때로는 'El Viejo', 'anti-El Ni' 또는 간단히 'a cold event' 또는 'a cold episode'라고 불린다.

정상상태 및 엘리뇨 상태의 모식도

정상상태 및 엘리뇨 상태의 모식도

정상상태의 해수표면온도 및 풍속

엘리뇨 상태의 해수표면온도 및 풍속

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라니냐 상태의 해수표면온도 El Niño (La Niña) is a condition in the Pacific ocean and characterized by the cyclic warming (cooling) of the central and eastern equatorial Pacific (CEEP). 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 Lower temp Higher temp Lower temp Higher temp Analyzed Sea Surface Temperature CEEP warming CEEP cooling Cooler temp Warmer temp Cooler temp Warmer temp EL NIÑO LA NIÑA

최근의 엘리뇨 및 라니냐 현상

엘리뇨 관측시스템

엘리뇨 관측지점

자동온도획득시스템 Autonomous Temperature Line Acquisition System

차세대 ATLAS 부표 Next Generation ATLAS

유속측정장치 (PROTEUS) PROfile TElemetry of Upper ocean currentS

태평양 유역의 해양 관측 시스템

THE NIÑO REGIONS

엘리뇨 발생 현황

Historical El Niño and La Niña Episodes Based on the ONI computed using ERSST.v3

ENSO RELATED IMPACTS Source: NOAA

ENSO RELATED IMPACTS (Cont ’d) Source: NOAA

ENSO RELATED IMPACTS (Cont ’d) Source: NOAA

ENSO RELATED IMPACTS (Cont ’d) Source: NOAA

NINO3.4 NINO3 NINO3.4 = ENSO index, measuring average SST anomaly within box 5S-5N; 170W-120W

ENSO지수 ENSO : El Ni / Southern Oscillation

Discovering the Southern Oscillation

WHAT IS SOUTHERN OSCILLATION ? Southern Oscillation is the atmospheric component of ENSO and measur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standardized pressure anomalies over Tahiti and Darwin, and wind anomaly at low level winds (850 mbs level). H L L H Australia Australia EL NIÑO CONDITION LA NIÑA CONDITION

남방진동(Southern Oscillation)

GLOBAL IMPACT OF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COMBINED EFFECT OF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IN THE TROPICAL PACIFIC   EL NIÑO LA NIÑA GLOBAL IMPACT OF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LA NIÑA EL NIÑO

IMPACTS OF ENSO and NON-ENSO ON PHILIPPINE ANNUAL RAINFALL Legend: Potential Areas Under Severe drought impacts Drought impacts with major losses Moderate drought impacts Near normal to above normal condition Way above normal condition Flood damage Severe flood damage RED colored years are EL NINO years, BLUE colored years are LA NINA years and BLACK colored years are NON_ENSO years

해양과 대기의 관계 동풍의 강도변화 해류 및 해수상승변화 해수표면온도변화 강우의 분포변화 동풍의 강도변화

엘리뇨의 지구적 영향

엘리뇨의 예측

1997/98 El Niño

Economic “Cost” of El Nino 1982-83 From “El Nino and Climate Prediction”, 1994.

Economic “Cost” of El Nino 1997-98 $14b USD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36b USD : NOAA OGP (excluding ’98 China floods) $45b USD : OFDA/CRED Int’l Disaster Database From “El Nino and Climate Prediction”, 1994.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Attributing a “Cost” to an “Event” In the case of ENSO… Would the what is the baseline of ‘cost’? Or, What is the economic cost of disasters ENSO-neutral years?? Could the impact (or cost) have occurred in the absence of the event?

DROUGHTS Southern Africa

FLOODS Peru Southern California

엘리뇨의 피해 가뭄 및 이에 따른 화재 97 : 26년 이래 최악의 가뭄으로 아마존강 유역 산불발생 벨기에 크기의 정글 피해 97 : 26년 이래 최악의 가뭄으로 아마존강 유역 산불발생 벨기에 크기의 정글 피해 주민들의 약탈로 브라질 동북부지역 무정부상태 98 : 멕시코는 70년만의 가뭄으로 97년보다 5배나 많은 산불이 발생해 서울의 7배 되는 산림 훼손 97~98 :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에 9개월간의 가뭄 및 산불로 주민 1백만명이 기아에 시달림

홍수 및 폭설 97~98 : 페루와 에쿠아도르에서 폭우로 6백명 사망 피해액 6천5백만 달러 97~98 : 페루와 에쿠아도르에서 폭우로 6백명 사망 피해액 6천5백만 달러 98. 2 : 페루에서의 폭우로 가옥 2000채 사라짐 97. 봄 : 아르헨티나의 폭우로 15만명의 수재민 발생 98. 1 : 티베트와 중국에 폭설이 내려 1500여명 동사 98. 봄 : 중국 호남성 등지의 폭우로 75명 사망 00. 3 : 모잠비크에서 홍수로 500여명 사망 마다가스카르섬에서 홍수로 2마녀여명의 수재민 발생 03. 1 : 02년 겨울부터 시작한 한파로 인도에서 682명, 방글라데시에서 700명, 유럽에서 239명 동사

생태계의 파괴 산불 등으로 인한 동물 서식처 감소로 희귀 야생동물이 멸종위기에 처함 페루에서 해수온도의 상승으로 물개가 4만 마리에서 2천8백 마리로 감소하고 바다사자는 15만 마리에서 2만8천 마리로 감소 인도네시아의 대화재로 보르네오섬에서 2-3만 마리의 오랑우탕이 수백 마리로 감소 주요 쌀 생산국가에서 생산량의 감소로 식량위기의 위험성이 있음

질병의 증가 81-91년간 전세계적으로 봄철의 식물 시작이 8일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철새들의 이동시기가 변경됨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6도 상승하면 지구상 60% 이상의 지역에서 말라리아 발생하여 매년 300만명이 목숨을 잃을 것으로 예상 모기의 증가로 인한 질병의 증가 93년 뉴멕시코에서는 쥐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으로 76명 사망 91년 남미에서 콜레라의 발생으로 5000여명 사망

82-83년의 전세계 엘리뇨 피해 1982년 ~ 83년 엘리뇨에 의한 경제적 피해는 기록적이었으며 전세계적으로 가뭄, 화재, 홍수 그리고 태풍으로 피해액이 약 130억 달러를 넘는다. 모든 대륙이 엘리뇨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와 관련된 재해로 인해 약 1000 ~ 2000여명이 사망했다.

지 역 원 인 인명피해 피해액 ($) 미국 산악지역과 태평양에 위치한 주 폭우 45 명 사망 11 억 걸프만에 홍수 50 하와이 태풍 1 2.3 북동부 66 n/a 쿠바 15 1.7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 가뭄 6 에쿠아도르와 페루 북부 600 6.5 남부와 볼리비아 서부 2.5 브라질 남부 , 아르헨티나 파라구아이 동부 170 30 3 타이티 0.5 호주 화재 71 25 인도네시아 340 5 필리핀 4.5 중국 습한기후 인도 스리랑카 1.5 중동 . 레바논 추위 눈 65 남아메리카 질병 10 이베리아 반도 북아프리카 2 서부유럽

97~98년의 전세계 엘리뇨 피해 2000년 7월에 세계기상기구(WMO)가 밝힌 바에 의하면 지난 97년 봄부터 시작하여 98년 여름까지 지속된 금세기 최대의 엘니뇨에 의한 직접손실은 26개국에 걸쳐 총 339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집계되었다. 27개국에서 2만1,706명이 숨지고 16개국에서 1억1,786만 114명이 부상 또는 피해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민은 16개국 482만 9,884명에 달했으며 5,626만여 acre가 침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발생년월일 원인 피해 동남아(베트남, 태국 등) 97. 2 ~ 5 태풍(린다) 370명 사망 인도 북부지방 97. 12. 2 폭설 44명 사망 소말리아 남부지방 97. 12. 4 홍수 1,500명 사망 멕시코 97. 12. 18 추위 63명 사망 방글라데시 북부지방 97. 12. 23 53명 사망 캐나다 동부 및 미국 북동부 98. 1. 5 폭풍, 폭설 30명 사망 방글라데시 한파 120명 동사 미국 플로리다주 98. 2. 22 토네이도 39명 사망 파키스탄 남부 98. 3. 5 100명 사망 페루 98. 3. 21 폭우 200명 사망 인도 동부지역 98. 3. 27 사이클론 145명 사망 중국 사천성 및 강서성 98. 4. 22 우박 24명 사망 중국 북서부 98. 4. 27 모래폭풍, 회오리 26명 사망 중국 98. 5. 28 호우 160명 사망 인도 98. 6. 5 폭염 2,300명 사망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98. 6. 15 태풍 1,040명 사망 모스크바 98. 6. 20 75명 사망

우리나라의 엘리뇨 관련 피해 97년 겨울의 이상 난동, 98년 봄 가뭄, 여름철의 돌발성 폭우 94년 엘리뇨로 전년보다 홍역이 1백배, 말라리아 20배 증가 98년 4월까지 법정 전염병환자가 97년 보다 32배가 높은 1912명 발생 98년 일본 뇌염모기가 예년 보다 25일 빨리 발견됨 97년 경기도에 2명이던 말라리아 환자가 98년 22명 발생 고온 다습한 날씨로 각종 병충해가 번져 수확량 감소

우리나라의 엘리뇨 대책 정부 중앙재해대책본부 (본부장 - 행정자치부장관) 엘리뇨 종합대책 실무위원회 (위원장 - 방재국장) 부처별 엘리뇨 대책반 (반장 - 방재국장) 한시운영 기상청 엘리뇨 대책반 (반장 - 예보총괄관) 상시운영 시, 도 엘리뇨 대책 실무위원회 시, 군, 구 엘리뇨 대책반

기상청 기상청 엘리뇨 대책반 엘리뇨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 국가 기후법 제정 추진 대응연구 슈퍼컴퓨터

엘리뇨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 엘니뇨 발생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엘니뇨 및 기후변화 예측 모델링 외국 감시센터와 연계 엘니뇨 및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종합 자료기지 구축 관련연구기관 및 타 부처 대책반에 실시간 정보 및 자료 제공 엘니뇨 현상의 진행에 관한 대국민 홍보를 담당

엘리뇨 및 기후변화 연구 엘니뇨와 기후변화의 메카니즘을 파악 엘니뇨와 동아시아 몬순(장마) 연결과정 규명 엘니뇨가 태풍발생 및 진로에 미치는 영향 규명 엘니뇨와 해류변화의 연결과정 규명 기상청(기상연구소), 해양수산부(해양연구소) 및 학계 공동 참여

엘리뇨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 기상·해양분야 영향 평가를 기초로 분야별 평가 재해 영향평가, 농작물 작황, 병충해 영향, 수자원 영향평가, 대기오염, 수질, 환경변화, 전염병 영향, 산불 영향평가 등 엘니뇨 피해에 의한 국제 곡물가 인상 등 국제경제에 미치는 영향평가

정부부처별 엘리뇨 대책 기 관 엘리뇨 대책 중앙재해대책본부 - 엘리뇨 영향을 대비한 재해사전대비 강화 기  관 엘리뇨 대책 중앙재해대책본부 - 엘리뇨 영향을 대비한 재해사전대비 강화 - 가뭄상황관리 및 생활 용수원 개발 복구비 지원 - 재해에 대한 피해 상황관리 및 복구 계획 수립추진 - 엘리뇨와 관련한 방재 시행 계획 수립 - 엘리뇨 관련 중앙대책위원회 운영 및 부처별 대책 총괄 조정 등 - 엘리뇨 영향 연구 및 분석 건설교통부 - 폭설, 홍수, 태풍 등에 대비하여 각종 시설물 정비 강화 - 안정적 수자원공급, 확보를 위한 단기 및 중, 장기계획 수립 - 다목적 댐 저수량의 효율적 조절 운영 - 댐 건설을 위한 적지 조사 및 건설 계획 수립 농림부 - 세계 곡물생산량 감소에 대비한 곡물 수급 단기 및 중장기 계획수립 - 종합적인 가뭄, 저온 대책 수립 추진 - 한해, 우박, 냉해, 동해 등 재해 발생시 상황관리 및 복구계획 수립 - 농업 용수원 재조사 및 항구대책 강구

기  관 엘리뇨 대책 환경부 - 생활용수 확보를 위한 단기 및 중장기 대책 강구 - 가뭄발생시 수질 오염 대책 강구 - 가뭄지역 식수공급대책 추진 해양수산부 - 폭풍, 해일, 적조 등의 대책 수립 추진 - 세계 어획고 감소에 대비한 어류 수급조절 계획 수립 - 엘리뇨 관련조사, 연구계획 추진 산림청 - 가뭄에 따른 산불예방 대책수립 - 홍수발생에 대비 산사태 위험지구 정비 국방부 - 가뭄, 홍수 피해지역 병력 및 장비 지원계획 수립 과학기술처 - 엘리뇨 등 기상 관련 연구 수행 및 대응 방안 수립 기후문제 전반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처를 위한 관련법제정 및 위원회 구성, 운영 - 엘리뇨 현상이 경제 등 산업전반에 미치는 영향 진단 재정경제원 - 엘리뇨 등 기상관련 조사, 연구 등에 관한 재정 투자 강구 - 관련부처 및 유관기관의 엘리뇨 대책에 따른 예산지원 - 세계 곡물생산량 감소에 대비한 곡물수급 단기 및 중장기 계획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