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역사 신라 지증왕 (512) :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조선 태종 안용복 (조선 숙종 때) 조선 정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ntents 연구 개요 Ⅰ 미얀마 일반 현황 및 환경분석 Ⅱ 미얀마 수산업 현황 Ⅲ 산업 리스크 분석 Ⅳ 검토사항 Ⅴ.
Advertisements

동/북/아/역/사/재/단동/북/아/역/사/재/단 독도, 그곳이 궁금하다. 독도,그곳이 궁금하다! 동북아역사재단 초등학교 고학년용 PPT.
6. 우리나라의 영토 01. 우리나라의 영역 영토, 영해, 영공의 개념과 중요성 이해 우리나라 영역 설명 02. 국가 간 영역 갈등 국가 간 영역 갈등 사례 국가 간 영역 갈등 원인 03. 독도의 중요성 다양한 측면에서의 독도의 중요성 이해 독도의 지리적 특성 이해.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론 Google Earth vs vWorld 6 기 김용환 ㈜환경과학기술.
1. 1 경상남도 기업통합지원센터 기업애로 해소 기업애로 해소 일자리 창출 일자리 창출 투자 활성화 투자 활성화  창원컨벤션센터 1층 ( 개소)  상시 7명 (경남도 4, 경남중기청, 경남신보, 경남은행 등)  수시 근무 또는 전담자 지정 형태로.
Ⅱ Ⅰ Ⅲ Ⅳ  현행조업유지수역의 위치 ( 동중국해 ) ○ 북위 29 도 40 분 이북 ∼ 북위 32 도 11 분 사이  준수사항 ○ 동 수역에서는 전 업종이 자유롭게 조업가능  양자강 보호수역, 남부현행조업유지수역 제외 ○29 도 40 분 이남에서 조업하고자.
Ⅰ. 국토의 이해 정보화 사회와 지리 정보 주제 주제 지도 읽기 1. 지형도 읽기
정책위기관리 시스템 구축 최종보고서
해양법.
해양현안문제와 향후 전망 한국해양연구원 해양기술정책연구부 박 성 욱
Protected Area of Korea
한•뉴FTA수산과학자 연수 프로그램 (뉴질랜드 웰링턴, ~.21.) 연근해자원과 이정훈 외 3명
2010년 10월 25일 동명여자고등학교 2학년 4반 지도교사 : 최용
P&I 保險 案內 Tel: 02) Fax: 02)
연안 VTS 확대•구축 타당성에 관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
E-NAVIGATION정책대응현황 한국선급 심 우 성 책임연구원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활성화 방안(안)
산화환원적정법
영해∙접속수역∙배타적경제수역 영해(領海) 접속구역 배타적경제수역 (EEZ, Exclusive economic zone)
국가안보와 해양정책 해양력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Hanbat National University
바다의 날.
독도 관련 혁신대안 -홍보를 중심으로- 행정학과 김민년.
해협 위치 잇는 바다 대한해협 한반도와 일본 규슈 사이 동해 – 동중국해 간몬 해협 일본 혼슈와 규슈 사이 동해 - 세토 내해
국가안보란?  국가안보 (National security, 國家安保) - 국가 + 안전보장의 준말
일본의 독도침탈과 남북한 대응 조병현박사 1.
일본의 입장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영토로 편입한 것은 1905년 1월28일. 그로부터 4주 뒤인 2월22일 시마네 현(縣)은 현(縣) 고시40호로 우리의 독도를 「다케시마 」죽도(竹島)로 명명, 오키도사(隱岐島司)의 소관으로 둔다고 공시했다. 그후 독도는 1952년 1월.
- 센카쿠(조어도)열도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 -
Crew Saver & Crew Finder
한일 어업협정에서의 독 도 해양학회에서 이런 발표는 두번 째
CHINA VIETNAM MALAYSIA INDON. Pratas Islands Macclesfield Bank Islands
일본의 독도침탈과 남북한 대응 조 병 현 1.
프랑스(FRANCE) 제9장 유럽 제2절.
Presentation transcript:

독도의 역사 신라 지증왕 (512) :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조선 태종 안용복 (조선 숙종 때) 조선 정부 울릉도 주민의 본토 이주 정책 유민 방지 목적  정부의 관리 소홀 어민 : 고기잡이 거점으로 활용 안용복 (조선 숙종 때) 일본 어부 축출, 조선영토 확인 조선 정부 일본 어민 : 불법 어로 활동의 계속 조선 정부 : 관청 설치  주민의 이주 장려 독도 관할 일본의 강탈 : 러·일 전쟁

일본의 독도 역사왜곡 과정(최근) 2005. 2. 23 시마네현 의회,2월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하는 조례안 상정 2005. 2. 23 시마네현 의회,2월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하는 조례안 상정 다카노 도시유키(高野紀元) 주한 일본대사 "독도는 명백한 일본땅" 망언 2005. 3. 8 일 경비행기, 독도상공 진입 시도 2005. 3. 10 시마네현 의회 상임위 총무위원회,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본 회의 상정 2005. 3. 16 시마네현 의회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통과. 2005. 3. 17 한국정부 조례제정은 '제2의 침략' 규정. 대일정책 4원칙 발표. 2005. 4. 6 한국 일본 중학교 교과서검정에서 공민교과서에 독도영유권 명기에 항의 2006. 3. 29 문부 과학성, 자국 고교 교과서 제작 출판사에 `독도는 일본 땅' 으로 명기할 것을 요구 2006. 3. 20 한국 교과서 검정결과 철회 요구 2006. 4. 14 일 해상보안청, 한국측 배타적 경제수역(EEZ) 포함하는 해양 무단 탐사 계획 국제수로기구(IHO)에 통보. 한국 정부 항의

독 도

정 리 ◈ 간 도 - 백두산 정계비 설치(숙종) * 영토 분쟁의 논란 - 서북 경략사, 토문 감계사, 관리사 파견 정 리 ◈ 간 도 - 백두산 정계비 설치(숙종) * 영토 분쟁의 논란 - 서북 경략사, 토문 감계사, 관리사 파견 - 간도 협약 체결(중국, 일본) ◈ 독 도 - 신라 지증왕 : 이사부의 우산국 정복 - 숙종 때 안용복이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확인 - 러·일 전쟁 중에 불법으로 일본 영토에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