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Sigmund Freud: A Psychoanalytic Theory of Personalit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Advertisements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3. 세상을 보는 창 (1) 사랑 손님과 어머니 소단원 정리 1. 갈래 : 단편 소설, 순수 소설 2. 성격 : 서정적, 심리적 3. 시점 : 1 인칭 관찰자 시점 4. 배경 시간적 배경 : 1930 년대 공간적 배경 : 어느 시골 읍 5. 제재 : 어머니와 사랑 손님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발단] 옥희네 가족 및 생활 형편 소개 / 낯선 손님이 사랑방에 하숙하게 됨 [전개] 아저씨와 어머니가 서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아빠였으면 좋겠다는 옥희의 말에 아저씨는 당황함 [위기] 아저씨와 어머니가 예배당에서 서로 의식 하여 부끄러워하고,
제 3 주 3 차시 정신분석 상담이론 심리적 문제의 형성과정과 증상 2. 상담 과정과 기법 3. 상담 사례 4. 현대 정신분석의 흐름 5. 정신분석이론의 공헌점과 비판점 차 례차 례.
1.
Internet Addiction Disorder
2. 예술과 외설을 구분하는 기준 문제.
나만의 광고 만들기 - 아동 성범죄 근절 - (공익 광고)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최현민.
우리 아이들의 ‘성’ 최 경 화 맑은 성 교육 클리닉 ..
정보화로 인한 장단점 생활의 변화 번 이성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 (발제자 : 정 태 비).
합리정서행동요법(REBT) Albert Ellis(1956)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제 2 장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잠재력의 발견
정신역동이론 1강 프로이트의 생애와 정신분석이론의 발전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Part 3.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인간관계의 이해 인 간 관 계 론 임영희.
제4장 정신분석이론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전남련외)
정신분석 상담(1) 학습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 - 정신분석 상담의 주요 개념 4. 학습정리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인지발달 제 2 장.
Chapter 2-3. 도덕성 발달.
Habit and Impulse Control Disorder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3. 성격이론과 인간행동Ⅱ.
인간의 이해.
3주차 1교시 정신분석: 이론 [학습목표] 1. 임상심리서비스의 다양한 접근법 중 하나로 정신분석의 기본 가정과 주요 개념에 친숙해 진다. [학습내용] 1. 임상심리학의 접근법 2. 그는 Freud! 3. 정신분석의 기본가정 4. 정신분석의 주요이론.
성격발달 1 : 정신분석적 인간관.
9강. 클래스 실전 학사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래밍이란 결국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구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INDEX 제1장 - 마음으로 주는 것 -NVC의 핵심 제11장- 보호를 위해 힘을 쓰는 일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말하기 ㆍ 듣기 2학년 2학기 5.마음을 전해요 >1)주고받는 마음 (2/4) 내 마음 전하는 말 하기.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제1장 정신역동 이론.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이창호 칼럼 , ‘부모와 자녀의 현명한 의사소통’’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프로이트와 문화비평 3조 : 박 력 박형욱 이다은 정명화.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남편과 꼭! 같이 들어아야 하는 맞춤 태내기부모교육!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영유아 행동문제 발생예방 불안정 애착 / 반응성 애착장애
공작나방 결말 3528 하유진.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제2장 인간중심치료.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1-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Sigmund Freud: A Psychoanalytic Theory of Personality

1. 개관 정신역동이론 인간행동을 만들어 내는 주요 요인을 정신내의 운동과 상호작용으로 보는 이론 후에 융(Jung), 아들러(Adler), 그리고 그의 딸 안나 프로이드(Freud, A.), 설리반(Sullivan), 그리고 에릭슨(Erikson) 등에 의해서 더욱 발전됨.

<지그문트 프로이트>

2. 생애 1856년 41세인 아버지 야곱과 21세의 어머니 아말리에사이에서 모라비아의 프레이베르크에서 출생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전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오스트리아로 이주. 1939년 9월 23일 런던에서 작고. 부모는 20세 차이의 재혼부부. 아버지는 권위적인 사람, 어머니는 매력적이고 정이 깊었으며 사려 깊게 보살펴 주는 사람 프로이트가 2세에 8개월 된 동생이 사망한 것은 그에게는 큰 충격동생을 질투한 데 대한 자책감으로 괴로워 함

4세 때 어머니의 나체를 보고 성욕을 느낀 일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을 때 느낀 혼란스러운 감정으로 인해서 자신의 몸의 의미, 기억, 어릴 때 경험 등을 분석 → 아동기의 성욕에 대한 확신을 얻었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oedipus complex)를 발견 의대생시절부터 늘 자신을 과학자로 생각해 생리학 등의 연구에 몰두 했으나 경제적 이유와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대학교수의 길을 포기하고 종합병원 수련의를 거쳐 개업 1885년 프랑스 파리에서 최면을 이용한 히스테리 치료법을 샤코에게서 배움 브로이어의 정화법으로 히스테리증 환자 치료, 성에 대한 견해차이로 결별 자유연상법을 개발

『꿈의 해석』을 1899년에 출간 1908년 국제정신분석학회 창립총회 때 국제적 인정을 받고 1909년 미국 강연을 계기로 프로이트의 명성은 급속히 알려짐 프로이트 자신의 분석과 자신이 본 환자들의 분석이 그가 남긴 저작의 자원이 됨 프로이트는 전 생애를 정신분석학의 창시와 연구에 바침 시사주간지 타임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잇는 인물로 아인슈타인 등과 함께 프로이트를 선정

3. 주요개념 정신결정론 지형학적 모델(The Topographical Model) 의식, 전의식, 무의식(mind를 구분) 우연한 것으로 보이는 인간의 어떤 행동도 특정한 이유와 동기를 가지고있다 과거의 일이 그 후의 일을 결정, 우연히 일어나는 일은 없다. 지형학적 모델(The Topographical Model)   의식, 전의식, 무의식(mind를 구분) 의식(consciousness): 어떤 순간에 우리가 알거나 느낄 수 있는 모든 경험과 감각을 말함.(정신생활의 극히 일부) 전의식(pre-consciousness): 흔히 이용 가능한 기억이라고 불림.

무의식(un-consciousness): 인간정신의 가장 크고 깊은 심층에 잠재해 있으면서 의식적 사고와 행동을 전적으로 통제하는  힘(power) 감정, 본능, 욕구 등의 자료들이 억압되어 저장되어 인간으로 하여금 원치 않는 행동이나 감정을 일으키도록 자극  무의식적 갈등을 분석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초기에는 최면술(hypnosis)을 가지고 시도 → 모순점을 발견하고 자유 연상 (free association)방법을 통하여 억압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데 성공함.

구조적 모델(The Structural Model) <성격의 구조> 초기 성격구조 이론의 중심 개념은 무의식, 1920년대에 이 같은 정신생활의 개념모형을 수정 보완   3체계의 기본적 성격구조 이론제시-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성격의 이러한 각 영역들은 그것 자체의 기능, 특성 등과 기제 (機制, Mechanism)들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은 아주 밀접하게 연관. 행동은 언제나 한 체계만으로 작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세 체계의 혼합, 대립, 상호작용으로 일어남.  

이드(Id): 본능적 기능. 성격의 가장 원시적인 체제. 이드의 본질은 ①노골적이고, ②공격적이고, ③동물적이며, ④조직적이지 못한 것으로서 ⑤개인 속에 내재하는 정신적 원동체로 ⑥시간이지나고 경험을 쌓아도 변화되지 않음. 정신적 원동체로서 자아와 초자아가 분화되어 나오는 모체  쾌락원칙 : 고통을 최소화하고 쾌락을 최대화하려는 속성 즉각적인 만족과 긴장해소를 추구                  

이드가 긴장으로부터 개인을 해방시키는 두 가지 기제는 반사작용과 일차적 사고과정 이드가 긴장으로부터 개인을 해방시키는 두 가지 기제는 반사작용과 일차적 사고과정 반사작용- 불안을 일으키는 자극에 대해 자동적으로 반응하며, 이러한 자극이 유발하는 긴장을 재빨리 제거. 일차적 사고과정- 욕구를 만족시키는 대상의 심상(image)을 기억 속에서 만들어 내는 것. 일차적 사고과정은 심리학적 현상 → 일시적 만족이며 근본적 긴장감소는 가능하지 않음.

자아(Ego): 생각하는 개념.  자아의 구조는 이드로부터 파생됨. 자아는 생후 6-8개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2-3세에 형성됨. 이드의 충동을 지연시키고 현실을 고려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외적현실을 고려하고 이드를 지배, 통제하는 집행부 역할을 함. 욕망을 만족시켜줄 실제대상을 찾아내거나 만들어내는 역할 심상과 현실을 구분하고 필요한 것을 구하기 위해 외부현실에 적응하거나 외부현실을 지배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때까지 만족을 지연하는 사고과정 이차적 사고과정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때까지 만족을 지연하는 사고과정 현실검증을 통하여 실현가능한 방법으로 욕구를 충족시키는 합리적 사고  방식. 현실원칙: 적절한 시기까지 긴장의 방출을 지연시켜 사회가 수용 가능한 형태로 만족을 얻는 능력 적당한 대상이나 환경조건이 이로워 질 때까지 본능적 만족을 지연시켜 개체를 안전하게 보전

초자아(Super-ego):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이며 이상적인 면 유전되는 것이 아니고 성격구조 중 마지막으로 발달되는 체계임. 아이가 부모의 사회적 가치와 자신의 이상을 동일시함으로써 발달 어린이가 옳고 그름을, 선과 악을, 그리고 도덕과 비도덕을 분별할 수 있게 될 때 비로소 나타남. 부모가 주는 상과 벌에 의해 형성됨

<초자아의 두 개의 하위체계> ① 양심- 어린이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부모로부터 야단을맞거나 처벌을 통해 생김 ② 자아이상- 어린이가 긍정적인 일을 했을 때 부모로부터받은 포상이나 칭찬으로부터 발달 성숙한 인간: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가 조화롭게 형성된 사람

의식 전의식 초자아 자아 무의식 Id <지형학적 모델과 구조적 모델의 관계> 방어기제 이유없는 우울함:     의식  전의식  초자아   자아  무의식        Id 방어기제 이유없는 우울함: 초자아의 처벌

4)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防禦機制) 방어기제란? 자아가 이드와 초자아의 요구, 과거의 기억, 외부세계의 요구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작동시키는 심리적 작동구조 철저한 무의식에서 나타남. 각 개인으로 하여금 현실을 왜곡해 지각하게 만들어 불안감의 위협을 덜 받도록 한다. Ego가 Id와 Superego 사이에서 내적 갈등에 대한 공포억제를 상실할 때 결과는 불안- 자아가 방어기제로 불안에 대항. 무분별하게 충동적으로 사용하면 병리적이 됨.

퇴행 억압(repression) 문제에 적응하기보다는 초기의 보다 원시적인 형태로 돌아가는 기제 좌절시 발달의 일부를 상실하고 안정적이었던 과거로 돌아가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는 것 억압(repression) 자아가 고통스럽고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환상, 기억등을 무의식속으로 추방시켜 의식화하는 것을 막는 기제

(3)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불안을 야기 시키는 무의식적인 충동, 생각, 감정, 기억 등이 의식의 수준에서 그 내용이 정반대의 것으로 바뀌는 것. 처음의 충동, 생각, 감정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단지 그 반대의 표현을 통해 의식으로부터 숨겨지는 것이다. (4) 투사(projection) 자신이 수용하지 못하는 특성을 타인에게로 돌림으로써 그런 특성을 제거하려는 것이다.

(5) 합리화(rationalization) 비합리적이며 수용될 수 없는 행동에 대해 타당하고 그럴 듯한 이유를 제시 (6) 승화(sublimation) 의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본능적 욕구를 수용가능한 형태로 대리만족 하는 것 공격적 충동을 운동으로, 성적욕구를 예술로 대리만족

(7) 취소(undoing) (8) 부정(denial)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행동, 사고, 감정을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취소 또는 무효화하는 것. (8) 부정(denial) 자아가 현재의 상황에 있는 위협적인 요소를 직접 처리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위협적 요소가 존재한다는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것 현실을 거부

(9) 보상(compensation) 자신의 결점이나 열등감을 실제나 상상의 우월감으로 채우려는 노력 성격, 지능, 외모 등에 대한 열등감을 채우려는 비의식적인 노력 (10) 격리(isolation)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관련된 감정을 의식에서 떼어내는 과정 고통스러운 사실은 의식세계에 남고 관련된 감정은 억압되어 감추어짐

(12) 동일시(identification) (11) 전환(conversion) 심리적 갈등이 신체감각기관이나 근육계통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 (12) 동일시(identification) 자신이 이상화하는 사람의 행동, 태도, 속성을 자신의 것으로 취하는 것

5) 치료법 심리적 문제의 원천 자아가 대처하기 어려운 어린시절의 상처(억압) 해결되지 못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발달단계에서의 고착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성격발달 심리적 불안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병적 방어기제

치료적 방법 자유연상 : 환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을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함. 무의식속의 억압된 기억들이 밖으로 드러나면 이를 해석하여 통찰력을 갖도록 함 꿈의 해석 : 꿈을 통해 나타나는 무의식 속의 자료들을 해석하여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갖도록함. 전이 : 어린시절 중요한 인물에 대해 무의식속에 억압되어 있던 감정, 욕망 등을 분석가에게 자기도 모르게 표현함. 이를 환자에게 해석해 주어 통찰력을 갖도록 함.

4. 성격발달 성격은 6세 이전에 거의 완전히 형성 <정신분석학적 발달 이론> 성인의 성격은 유아기에 주어진 여러 가지 경험 (부모의 양육방식),  그리고 사회에서 부과되는 제한과의 갈등이 해결되는 방식에 의해서 형성된다. 출생시에 타고난 성에너지(리비도)가 일련의 심리성욕 발달단계를 거쳐 발달해 가면서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침

심리성욕발달단계: 리비도가 집중된 부위(입, 항문, 성기 등)에 따라 아동기의 발달단계를 나눔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 앞의 세단계가 성격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함 단계적 발달이 방해를 받으면 특정 단계에 대한 고착이 나타남 고착 : 각 단계의 욕구가 지나치게 만족되거나 지나치게 결핍된 경우 나타남 고착의 강도가 강하면 갈등상황에서 고착단계로의 퇴행을 유발

(1) 구강기(dral stage): 0-18개월 입이 성적, 공격적 욕구를 충족하는 신체부위 초기에는 빨고, 삼키는 행위, 후기에는 깨무는 행위를 통해 쾌감을 느낌 6개월 전까지는 대상부재의 상태, 6개월 후부터 어머니의 존재를 인식 이유로 인한 욕구불만 -> 양가감정(애정과 적대감이 공존) 구강기 전반기에 좌절, 방임 경험-> 구강수동적 성격 : 타인의존적 성격, 수동적, 미숙함, 남에게 잘 속음 구강가학적 단계(이가 나고 물어뜯는 시기) 고착 : 논쟁적, 비판적, 비꼬는 성격, 타인을 이용하거나 지배(변호사, 정치가)

(2) 항문기(anal stage): 18개월~3년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 배변훈련(toilet training)을 시작 배변훈련 시: 유아는 즉각 만족구할 것인지 or 만족을 늦을 것인지  갈등- 유아의 필요성으로 욕구 지연 시 자아 발달.   배변 훈련 시 부모의 옳고 그름의 말에 동조- 내면화 → 초자아 가 나타나기 시작 부모의 대소변 가리기에서 생기는 욕구불만을 다루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음.

항문기 폭발적 성격: 항문 전반기에 배변훈련 시 지나치게 청결을 강조, 부모에 대한 적개심의 표현 특징: 잔인하고, 파괴적, 난폭, 적개심 강함, 불결한 특징. 항문기 강박적 성격: 항문 후반기 지나친 억압적 훈련에 고착되어 형성된 성격.  특징 : 소극적인 완고함을 보이고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는 경향이 있으며, 검소하고, 깔끔하고, 인색

(3) 남근기(phallic stage): 3~6세 자신의 성기를 만지고 자극하는데서 쾌감을 느끼는 시기. 이성의 부모에게 관심을 갖는 시기. 외디프스 콤플렉스(Oedupus Complex): 남아가 어머니를 놓고 아버지와 경쟁심을 느끼는 것. 어머니에 대한 로맨틱한 감정을 아버지가 용서하지 않을 것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을 거세 불안(castration anxiety)이라고 부름 거세 불안(castration anxiety) : 누나나 다른 여자들에게는 고추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거세에 대한 불안을 갖기 시작한다. 아버지와의 경쟁을 포기하고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를 통하여 불안을 해결

일렉트라 콤플렉스: 여아는 그녀의 아버지가 부러운 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버지를 소유하고 싶어 한다. 남근선망(penis envy): 남아의 거세불안과 맞먹는 것 아버지를 통해서 보상받고자 하나 불가능함을 깨닫고 어머니를 동일시함. 남근기의 고착(fixation): .  성인 남자의 경우는 대부분 경솔하며 야심적이다 여성의 경우는 성관계에 있어서 순진하고 결백해 보이지만 난잡하고 유혹적이며 경박한 기질을 갖고 있다.

(4) 잠복기(period of latency): 6~12세 성적, 공격적 환상들이 무의식 속에 잠복, 평온 상태. 아동들은 친구들과 우정을 나누며, 스포츠나 게임, 지적 활동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일에 그들의 에너지를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자아, 초자아가 강해짐) 마지막 심리성욕발달단계에서 일어나게 될 준비시기. 잠복기 고착: 이성과의 성적관계 회피, 동성간의 우정에 집착, 또는 정서적 감정 없이 공격적 방식으로 성적 행동.

(5) 생식기(genital stage): 12세 이상(사춘기~성인기 이전) 심한 생리적 변화가 특징: 호르몬과 생리적 요인으로 성적 감정 강화. 성적, 공격적 충동이 강해짐- 재 적응이 필요 부모앞에서 불안(오이디푸스 감정),부모로부터의 독립이 주요 과제 새로이 분출된 성 에너지가 일정기간 동성의 친구들에게로 행했다가(동성애) 점차적으로 성적 에너지의 대상이 이성으로 옮아간다 사춘기의 이 같은 사회화된 애타적 추구는 승화(sublimation) 및 동일시(identification)와 같은 형태로 크게 안정된다. 이상적 생식기적 성격을 획득하려면 일을 배우고, 충동적인 만족을 지연시키는 것을 배우고, 책임감이 있어야 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서 생활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 일과 사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

프로이트 이론의 평가 1920년 전후로 정신분석이론은 사회복지실천에 학문적 이론을 제공 심리사회적 모델, 문제해결모델, 위기개입모델도 프로이트의 성격이론과 정신역동적 개념을 주요 근거이론 정신분석이론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은 클라이언트의 자아 능력을 강화하고 변화시킬 수 있음

프로이드 이론에 대한 비판 성적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이린이의 성적욕구)에 대한 비판 여성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 정신 내적 현상을 지나치게 강조, 대인관계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 무의식에 의해 지배당하는 존재로서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정하였다는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