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2007 Thomson South-Western.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2 목차 02.SSM으로인한 피해 2-1 페이지 제목 2-2 페이지 제목 03 독과점의 비효율성 3-1 페이지 제목 3-2 페이지 제목 01.SSM의 증가추세 1-1 페이지 제목 1-2 페이지 제목.
Advertisements

경제 경영 이야기 -9 기준금리 Call 금리. 기준금리 Official Bank Rate 한국은행이 금융회사와 거래하는 금리로 월부터 금융통화위원회가 발표하는 정 책금리를 기준금리로 바꾸고 대표적인 기준금 리인 RP 금리를 정례적으로 발표. 미국의 정책금리.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5월 3주5월 3주 5월 4주5월 4주 6월 1주6월 1주 국제휘발유가 원 / l 정유사공급가 주유소판매가 1, 원 / l 1, 원 / l 국제휘발유가 국제휘발유가 정유사공급가 1, 관세 / 수입부과금.
5월 3주5월 3주 5월 4주5월 4주 6월 1주6월 1주 국제경유가 원 / l 정유사공급가 주유소판매가 1, 원 / l 1, 원 / l 국제경유가 국제경유가 정유사공급가 1, 관세 / 수입부과금
도시 · 지역경제 주택시장과 주택정책 2016 년 1 학기 한성대 경제학과. 1 주택의 특성  주택 특성은 이질성 · 내구성과 높은 거래비용  주택품질의 사다리 주택은 내구성이 강한 물리적 공간 시간경과에 따라 품질과 가치의 감 가상각 진행  주택의 편익과 비용.
시장의 의미와 기능.
이 지표는 OECD 국가별로 휘발유 소비자 가격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표시한 것입니다.
국내정책 : 가격지지 정책.
제 9 장 경쟁시장.
제 2 장 수요와 공급의 기본사항들.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완전경쟁시장.
경쟁시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Ⅴ. 시장형태와 산업조직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GNP/GDP 국민계정.
생산비용.
외부효과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Chapter 13 – Taxation and Efficiency
외부효과.
제 10 장 독 점.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후생경제학.
[부가가치세회계] 정지선 교수 제1주 부가가치세회계.
가계 부채가 늘어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박용호.
제4장 효용과 소비자선택 제1절 효용과 소비자선택 1.총효용과 한계효용 2.효용극대화 제2절 수요곡선 1.수요곡선의 도출
생산요소시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2007 Thomson South-Western.
지역부동산시장의 개발동태와 가격메커니즘 분석 - 부산·경남을 중심으로 -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7장 정부의 시장개입.
3차시 1교시 가격통제 학습 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1교시 가격통제 - 레슨1. 가격하한제
` 2012년 1학기오프강의 자료 미국의 부동산 강우원 (세종사이버대학교)
소비자이론과 시장균형 I. 소비자이론의 응용 1. 노동공급에 관한 결정 2. 사회복지제도의 분석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조세의 형평성 함의: 조세의 귀착 Chapter 19
Chapter 12 – Taxation and Income Distribution
독점.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3장 수요.공급이론의 적용 3-1 가격 및 임금의 통제.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제 1 장 서 론.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제 2 장 수요와 공급의 기본사항들.
1. 노동시장의 개념 “노동시장(labor market)이란 노동공급과 수요가 상호작용하여 임금과 고용이 결정되는 메커니즘”
제 4 장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외부효과.
부분균형과 무역.
8주차. 가 격 관 리.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소비자 선택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Ⅰ. 경제란 무엇인가? 목 차 1. 경제의 정의 2. 경제의 순환.
총수요와 총공급.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2007 Thomson South-Western.
임금소득과 차별.
About Tax Museum.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1장 시장의 작동.
제 1 장 서 론.
CHAPTER 8 완전경쟁과 공급곡선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2007 Thomson South-Western

수요, 공급, 정부정책 규제를 받지 않는 시장에서는 가격과 거래량이 자유롭게 결정된다. 시장균형은 대개의 경우 효율적이지만, 모든 사람이 그 결과에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경제학자들의 임무는 정책 결정과정에 경제이론이 적용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2 2

가격규제의 배경과 유형 시장가격이 소비자나 생산자에게 불공평하다고 여겨질 때 정부가 가격규제를 도입한다. 주로 가격상한제, 가격하한제, 또는 가격허가제의 형태로 나타난다. 3 3

가격상한제와 가격하한제 가격하한제(Price Floor) 가격상한제(Price Ceiling) 공급자가 받을 수 있는 법정 최고가격 (예: 공공요금 규제, 아파트 분양가격 규제) 가격하한제(Price Floor) 수요자가 지불해야 하는 법정 최저가격 (예: 최저임금제, 농산물가격 유지제도) 4 4

가격상한제의 효과 가격상한제가 시행되면 다음의 두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 시장균형가격이 상한가격보다 낮게 형성되어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상한가격이 실질적인 제한가격이 되어 시장에 물량부족 사태(shortage)를 초래한다. 5 5

그림 6.1(a) : 가격상한제가 있는 시장

그림 6.1(b) : 가격상한제가 있는 시장

유효한 가격상한제의 효과 물량부족: 수요량 > 공급량 예 : 주택공급의 부족 가격 이외의 방식에 의한 재화의 배분 줄세우기, 선착순 공급자 편의의 배분기준 설정(아는 사람 봐주기) 암거래 시장의 형성 재판매차익(프레미엄)의 발생 11 14

사례연구: 임대료 규제의 장단기 효과 임대료규제가 도입되면 건물주인이 받는 임대료 (전세보증금 또는 월세)에 상한선이 설정된다. 그 목적은 저소득층의 임대료 부담을 덜어주자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임대주택의 공급이 줄고 질도 저하된다. 어떤 경제학자는 “임대료규제는 폭격 다음으로 한 도시를 파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2

그림6.3 (a) : 임대료 규제의 효과와 장기 효과

그림6.3 (b) : 임대료 규제의 효과와 장기 효과

가격 하한제의 효과 가격하한제가 시행되면 두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 시장균형가격이 상한가격보다 높게 형성되어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하한가격이 실질적인 제한가격이 되어 시장에 초과공급(surplus)을 초래한다. 12 15

그림6.4 (a) : 가격 하한제가 있는 시장

그림6.4 (b) : 가격 하한제가 있는 시장

유효한 가격하한제의 효과 초과공급 : 공급량 > 수요량 예: 잉여 농산물 가격 이외의 방식에 의한 재화의 배분 강제로 떠 안기기, 강매(잉여 농산물의 경우) 실업(최저임금제의 경우) 15 25

사례연구: 최저임금제의 효과 최저임금제가 도입되면 노동자가 받는 임금에 하한선이 설정된다. 최저임금 수준에서 노동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많으므로 실업이 발생한다.

판매세 부과의 효과 판매세는 누가 부담할까? 자동차 구입시 내는 세금: 취득세, 등록세 자동차 운행시 내는 세금: 휘발유세(교통세) 세금 부담은 소비자와 공급자 사이에서 과연 분담될까? 일방이 상대방에게 세금전액을 전가 할 수 있을까? 시장 균형거래량 (시장규모)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

그림 6.5 (b) : 최저임금제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

판매세의 귀착 조세의 귀착 (tax incidence): 궁극적으로 세금을 누가 내는가? 세금의 전가는 탄력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세금은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 분담된다. 그 결과 수요자는 전보다 높은 가격을 내게 되고, 공급자는 전보다 낮은 가격을 받게 된다. 21 31

그림 6.6 : 구입자에 대한 과세

그림 6.7 : 판매자에 대한 과세

탄력성과 세금의 분담 세금분담의 비율은 수요와 공급 탄력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세금분담의 비율은 수요와 공급 탄력성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세금 부담은 가격 탄력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쪽이 더 많이 지게 된다. 탄력성이 큰 쪽이 세금 부과에 보다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29 39

그림 6.9(a) : 세금부담의 배분

그림 6.9(b) : 세금부담의 배분

정부가 가격을 규제하면 자원의 낭비 또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가격상한제는 공급자가 가격을 일정 수준 이상 받지 못하도록 하는 가격규제다. 가격하한제는 수요자가 가격을 일정 수준 이상을 반드시 내도록 하는 가격규제다.

판매세가 부과되면 새로운 균형에서 시장거래량은 감소하고 수요자가 내는 가격과 공급자가 받는 가격 사이에 세금 만큼의 차이가 발생한다. 조세의 귀착(tax incidence)이란 궁극적으로 누가 세금을 부담하는가를 말한다. 세금부담은 누구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는가와 무관하게 전가되고 분담된다. 분담비율은 탄력성의 상대적 크기에 달려있다. 상대적으로 탄력성이 낮은 쪽이 더 큰 몫을 부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