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의대 보라매병원 흉부외과 이정상(jeongsl@snu.ac.kr) 의학교육의 새 지평 2007.09 – 서울의대 4학년 순환기 의공학회 특강 2008.02 - 수안보 의학을 둘러싼 영역에서 학문간 융합의 전망 서울대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의대 보라매병원 흉부외과 이정상(jeongsl@snu.ac.kr)
고주파를 이용한 체열 분포 진단
선진화된 의학교육 동기 유발된 다양한 분야의 학생에게 교육기회 부여 학생의 수학능력에 따른 다양한 선택기회 제공
우수한 의료인력 양성 21세기를 주도하는 신 의학자 양성 국제 경쟁력 갖춘 창의적 의학연구 수행 21세기를 주도하는 신 의학자 양성 국제 경쟁력 갖춘 창의적 의학연구 수행 신 교육제도에 의한 전문 의료인력 양성
21세기 미래주도형 핵심산업기술로서 의생명과학 주도 21세기 미래주도형 핵심산업기술로서 의생명과학 주도 응용분야의 연계적 발전--각자 연구 높은 부가가치 창출(국부 생산)
의예과 교육목표(기존) 인간의 고귀한 생명과 관계되는 건강 및 질병문제를 다룰 의학자 또는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 형성을 위한 일반 교양과 의학을 전공하기 위한 자연과학의 기초학문을 교육하여 의학과 과정이수에 요구되는 자질을 함양함을 목표로 한다
의예과 교육목표(변경) 인간의 고귀한 생명과 관계되는 건강 및 질병문제를 다룰 의학자 또는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 형성을 위한 일반 교양과 의학을 전공하기 위한 자연과학 및 의학의 기초학문을 교육하여 의학과 전공이수에 요구되는 자질을 함양함을 목표로 한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육목표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과 태도, 수기 및 지식습득 건강증진, 질환의 예방과 치료 및 재활을 수행 창의적 연구와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 능력 사회 변천에 따른 의료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의사의 전문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기 평가와 자기 개발을 할 수 있는 태도를 지닌다.
창의적 연구와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갖춘다. * 창의적인 연구능력 지식을 종합,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낼 수 있는 통합적.창의적인 사고력 학생들의 연구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연구의 기본과 기초적인 실험술기를 배우며 실험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할 수있는 기회 * 교육능력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과 최소한의 교육원리와 전략을 익히는 프로그램
사회 변천에 따르는 의료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사회의 변화 미래 변화에 대한 이해 *의료와 사회의 유기적 관계 지역사회 의료문제에 대한 이해 의료와 관련된 제반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의학의 변화 의학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적 지식 특히 정보화 사회의 일원으로서 시대적인 요구에 맞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식전략과 수행전략
의사의 전문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기 평가와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태도를 지닌다 의사의 전문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기 평가와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태도를 지닌다 * 평생교육과 자기 개발 의대 기본 교육 이외에 평생교육(의생명과학발달) 자기 평가와 자기개발, 자율학습의 생활화(연계학문발전의 응용력 함양)
외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 치료, 예방, 진단에 대한 신과학 개발 의약품 임상시험연구-기술 개방 생체재료,모니터링 및 인공장기 개발 세포치료 및 인공장기 치험기술 개발 재택,원격진료- 한국형 의료모델 기술 개발 국내 의료정보망 구축 기반기술 개발
신연구단위 운영 기존의 교실중심 연구단위 지양 연계연구단위 및 응용연구단위 제도로의 전환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의생명학-임상의학)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대학원 자체 행정기구에 국제공동연구 지원기구를 상설한다. 정부출연 연구개발사업 중 국제공동연구사업에 참여한다 외국인 연구자를 석좌교수, 초빙교수로 초청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해외파견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해외협력대학 및 연구소와 인적교류 확대 해외협력대학을 중심으로 석박사 과정생의 연수 또는 한 학기이상의 과정을 이수케한다. 해외협력대학의 석박사 과정생을 초청, 공동연구를 유도한다. 교수와 연구원을 대상으로 교환연구, 연수 등을 실시한다.
국가간 공동 연구회의 운영 1차적으로 한일 인간생명과학회(가칭)를 설립하고 공동연구 과제를 포함한 인간생명과학 관련 연구과제에 대한 심포지움을 공동으로 번갈아 개최 운영한다. 이 연구회의 회원 구성은 본 대학이 중심이 되어 운영하면서 점차 국내 관련 연구자로 확대한다.
중점지원연구분야 1) 국가적 보건의료기능 분야 2) 산학협력체계로 국가 경쟁력 강화 기능 분야 *뇌신경과학 *심혈관의학 *손상응급의학 *종양학 *장수의학 *환경의공학(감염,독성학) 2) 산학협력체계로 국가 경쟁력 강화 기능 분야 *의용생체공학 *의생물리학 *의학재료공학*의약학 3) 21세기 인간생명과학 주도 분야 * 분자의생물학 *의생명기술공학 *의생명정보학
대학원 경쟁력 강화 * 의생명과학 분야 연구에서 서울의대의 주도적 위치 약화—연계과학의 발전 *대학원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중 -새로운 전공단위(진료-연구단위 현실화) -의생명과학(BK21)후속--이용고려 -전일제의사대학원생 확보:KAIST,포항공대 -전일제 비의사대학원생 지원(서울의대)
한의학 관련 * 대통령 공약사항 > 심한 외부압력 * 보건복지부 : road-map 요청 * 대통령 공약사항 > 심한 외부압력 * 보건복지부 : road-map 요청 - 한의학 연구소(국제기준과학화 시급) -대학원 전공단위(첨단 연구와 연계) -관련교실(발상의 전환) -각 단계에서 다음단계로의 진행여부 개별판단(의생명관련 연구협력) * 본부/ 교육부(국제 경쟁력 상향 기준)
서양 의학과 보완 심신 의학의 과학적 통합 서울의대 흉부외과학교실 이정상
Science - Technology - Engineering (Harrison 1984) Science is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behavior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henomena. Engineering is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into how to solve problems and includes everything the investigator does from the acceptance of the problem to the proof of the validity of the solution Technology is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delivery of goods and services.
과학과 공학의 차이 Science drives engineering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it is equally true that both engineering and technology drive science. It is the combined body of knowledge derived from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hat are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at has become a resource of unprecedented value
공학, 의학 융합 과정 공학과 의학간 융합과정에서는 이행성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불행하게도 20세기 중후반에 Biomedical science가 그 양적인 측면에서 획기적으로 발전하였으나, 투자에 비해 실용적인 효과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든 오늘날 인간유전체 사업의 완결을 계기로 공학과 의학간 융합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용화에 많은 기대가 모여지고 있다.
생명과학 < 생명공학 = 의학 이미 기존의 임상의학도 질병에 대해 한 의사가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시대를 벗어나 여러 과의 협조가 필요하듯이 질병과 생명현상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진단과 치료의 실제적인 영역에서도 임상의와 과학자를 매개할 수 있는 의학-과학자의 필요성은 충분하다.
의대·공대 협동 교육·연구의 필요성 1. 과거에 비해 진단및 치료장치의 물리학적, 공학적 이해를 요구-- 융합과정의 협동교육이 필요-- 의과대학부터 대학원 과정에서 지금까지의 생물학 위주의 실험과 교육을 탈피-- 공학 교육과 공학적인 실험에 익숙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한다.
의생명과학 < 의생명공학 2. 21세기의 의학은 생물학과 유전학을 근간으로 한 학문과의 접목+ 공학과의 접목을 통한 의학·공학 융합학문이 이끈다고 볼 수 있다. 의·생물·유전학에서도 자료의 분석과 생명현상의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공학적 분석기술과 분석기계가 필요하다. (의학·공학은 오히려 부가가치적인 측면과 전체 의학에서의 파급효과 측면에서 오히려 의·생물·유전학의 분야보다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때 늦은 협동 연구?? 3. 의과대학의 교수 -- 선진의료의 큰 두 축 중에서 핵심적인 의학·공학의 융합적 지식에 친숙해야 하는데 이는 임용 후 이미 자신의 연구영역을 정하게 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없으므로 융합교육 필요 4. 첨단의학-- 생물과학 기반 현대의학에서 물리, 공학바탕 상호보완 연구,교육필수
외국사례조사 하버드대학-- MIT와 공동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는 HST (Health Sciences and Technology), 응용과학분야의 생물공학, 의대내 생물리학과 운영. MIT --공대내 생물공학,생물기기실험실,생물의학센터 운영 2. 스탠포드 대학--공대와 의대에서 공동으로 지원되는 생물공학과가 석사와 박사과정을 운영 3. 존스홉킨스 대학-- 공대와 의대의 공동프로그램으로 의생명공학과(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가 오랜 전통을 갖고 운영되고 있으며, 의대내 의공학연구실 (Biomechanics Research Laboratory)이 있다.
발빠른 협동 교육 4. UC Berkeley-- 공대내에 생물공학과가 있으며, UC San Francisco와의 공동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5. 워싱톤 대학-- 공대와 의대에서 공동프로그램으로 생물공학과가 운영되며 의대내에는 생분자공학과(Department of Molecular Biotechnology)가 있다. 6. MIT의 생물공학과(1998)와 스탠포드 대학(2002)의 생물공학과 등은 최근들어 신설된 의공학과들로서 교과 과정은 타학과 과목을 공동으로 수강토록하며, 소수의 전임교수를 제외하고는 교수의 대부분은 겸임교수로 운영되고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HST 과정 1912년 하버드대학교와 MIT는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공식적인 협력체계를 시작 1922년 이 조직을 모태로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가 설립 1970년 MIT와 하버드의대(HMS)은 의학교육과 건강과학 분야의 공동 프로프램을 개발하기로 합의 하버드의대의 MD 학위를 수여받는 의과학 교과과정의 교육이 MIT와 하버드대학교 교수진에의해 이루어지기 시작 Harvard-MIT Division of Health Sciences and Technology가 설립
최근 학문간 융합 例 2002년 HST는 B.I.G.(Bioinformatics and Integrative Genomics)이라는 바이오인포매틱스 및 기능유전체학 분야 2002년 HST와 MIT 슬로언 경영대학원은 공동으로 의생명 기업 프로그램 (BEP, Biomedical Enterprise Program)을 설립
HST 교육 및 연구 질병의 근본원리 탐구, 인간의 질병문제 해결을 위한 신약 및 신치료기술 개발, 이를 위한 차세대 의학자, 과학자, 공학자의 양성
Johns Hopkins University *생의공학과는 존스홉킨스대학의 의대와 공대(Whiting School of Engineering)에 동시에 소속. 1970, 의대내에 처음 개설, 이후 총 50명의 교수(23명의 전임교수)와 500여명의 학부생, 130여명의 대학원생(MS, Ph.D, MD/Ph.D)
*박사과정은 3개 단과대학 공동 위원회를 통하여 운영, MD/PhD 프로그램은 의과대학 프로그램과 공동으로 운영, 진행되고 있는 연구분야는 크게 7개 분야로 구분된다. Tissue Engineering, Cardiovascular Systems, Imaging, Systems Neuroscience, Molecular and Cell Systems, Neuroengineering, Computational Modeling
UC Berkeley와 UCSF UCSF/UCB 생물공학 대학원 공동위원회와 생물공학과에 의해 UCSF의 의대, 치대, 간호대, 약대 등 4개 대학의 최고수준의 임상 및 건강과학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Berkeley의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생명과학과 공학 교육을 받음. UCSF/UCB Ph.D
행정적, 제도적 정비(안) 독자적인 대학원을 설립함. 신설된 대학원에는 의대 및 공대와 연계한 M.D., Ph.D. 및 M.D., M.S. 통합과정을 운영함에 필요한 특별한 지위를 부여함.
서울의대 서울공대 융합 (1) M.S. 과정 및 Ph.D. 과정 기타의 일반대학원과 동일하게 M.S. 및 Ph.D. 과정을 운영함. (2) M.D.,M.S. 의대생을 위한 학석사 통합과정 (4 + 2 = 6 년 과정, 예과 수료후): 의예과로 입학한 학생은 학석사 통합과정의 형식으로 모집함.
서울 공대 ↔ 서울 의대 (3) M.D., Ph.D 통합과정 (4 + 3 = 7 년 과정, 공학사 취득후): 공학사 수료후 M.D., Ph.D 학위를 추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함. 공학사 취득자 중 일부를 의과대학의 학사편입 제도를 통해 선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