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2급 필기정리 08 컴퓨터일반 – 컴퓨터 구성 요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mbedded System 2009 년 11 월 16 일 Embedded Computer1 ● Hardware 와 Software 가 조합되어 특정한 복적을 수행하는 시스템 ●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Micro Processor 와 I/O Device 를 내장하며,
Advertisements

자료의 표현 1. 문자 자료의 표현 2. 멀티미디어 자료의 표현. 컴퓨터일반자료의 표현 학습 목표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문자 데이터의 표현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데 이터의 표현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제 10 강.
Chapter 01. 컴퓨터 기초와 윈도우 XP. 2  학습목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개념 컴퓨터 본체의 내부 구성 윈도우 XP 의 프로그램 실행 및 제거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치 하드디스크의 추가 및 최적화 컴퓨터 사용에 필요한 유용한 프로그램.
13 강 논리회로 2 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강사 이 민 욱. 13 강 논리회로  논리회로 1. 부울 대수 (Boolean Algebra) 에서 사용하는 기본 연산자 ① 논리부정 : NOT ( ` ) 논리부정은 F = NOT A 의 표현을 F =A` 로 표현 ② 논리곱.
Chapter 1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컴퓨터의 원리 및 개념  컴퓨터의 정의  입력된 데이터를 주어진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여 그 결 과를 출력해 주는 기계 장치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EDPS)  입력된 데이터를.
문자코드 1 박 2 일 (4 조 ) 이경도 이준집 이수연 엄태규. 문자코드란 ?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로 다루기 위하여, 문자나 기호 하나하나에 할당 시키는 고유의 숫자를 말하는 것이다.
컴퓨터 일반 컴퓨터 하드웨어.
Flash SSD 강원대학교 `01 최경집.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
컴퓨터와 인터넷.
제 3장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컴퓨터란 무엇인가? 컴퓨터란 입력, 출력, 계산, 논리 처리 등을 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의 구성
4. 컴퓨터 조직 순천향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이상정.
5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IT CookBook, 컴퓨터 구조와 원리 2.0.
정 보 물 리 R a m & R o m 4조 01 박경준 윤여광 정민우 04 김 승.
1. Windows Server 2003의 역사 개인용 Windows의 발전 과정
(목) 초등 ICT 교육 방법론 2013년 봄학기 허 민 오
틀려서는 안될문제 Best 50 컴퓨터 일반.
Lecture Notes in Introduction to Computers
컴퓨터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알아보자.
임베디드 시스템.
제 3장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제 3장 컴퓨터 시스템 구조.
UNIT 07 Memory Map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컴퓨터 기억장치 문수영 ` = ,./][.
디지털시스템설계 과목 담당교수 : 원 충 상 한국교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제10강 중앙처리장치 1.
2장. 데이터의 표현 Lecture #2.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2 : printf(), scanf()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PC 정비 양산시.
임베디드 실습 # LED, 7’Segment 제어
제 3 장 Memory - SRAM.
DK-128 실습 EEPROM 제어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Microprocessor I/O Port & CLCD Noh Jin-Seok.
1장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 컴퓨터의 기본 시스템(프로세서)을 이해한다. - 명령어 실행 주기를 알아본다.
디지털회로설계 (15주차) 17. 시프트 레지스터와 카운터 18. 멀티바이브레이터 * RAM & ROM.
디 지 털 공 학 한국폴리텍V대학.
UNIT 07 Memory Map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Chapter6 : JVM과 메모리 6.1 JVM의 구조와 메모리 모델 6.2 프로그램 실행과 메모리 6.3 객체생성과 메모리
제2강 PC정비사 1급(필기)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이 점 숙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이 점 숙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5주차.
DK-128 실습 내부 EEPROM 제어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김태성 연구원
2장. 변수와 타입.
컴퓨터 시스템 하드웨어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C P U Control Unit 입 력 장 치 출 력 장 치 ALU
제4강 처리장치 1.
ARM Development Suite v1.2
1. 2진 시스템.
“사람과 컴퓨터” 이 점 숙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사람과 컴퓨터” 이 점 숙
1 컴퓨터 시스템 소개.
2 Chapter 자료 표현 및 연산 이렇게 준비하세요.
ATmega128의 특징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제2강 : 전자계산기구조-컴퓨터 시스템 구성.
AT MEGA 128 기초와 응용 I 기본적인 구조.
Ⅰ 전자기초 Ⅱ 디지털 논리회로 Ⅲ C언어 기초 Ⅳ AVR 마이크로 컨트롤러 Ⅴ 마이크로 컨트롤러 개발환경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4주차.
리더 : 이동주 스토리 : 김현 그래픽 : 최혁진 코딩 : 최재근
TVM ver 최종보고서
System Security Operating System.
제10강 PC정비사 1급(필기)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컴퓨터 개론 √ 원리를 알면 IT가 맛있다 쉽게 배우는 컴퓨터 기본 원리 한빛미디어 교재출판부.
Installation Guide.
컴퓨터는 어떻게 덧셈, 뺄셈을 할까? 2011년 10월 5일 정동욱.
버스와 메모리 전송 버스 시스템 레지스터와 레지스터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경로
Presentation transcript:

컴활2급 필기정리 08 컴퓨터일반 – 컴퓨터 구성 요소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컴퓨터 구성 요소) H/W + S/W 1) 하드웨어 (Hard Ware) : 한 번 생산되면 바뀌지 않는 딱딱한 제품 ① 본체 - 중앙처리장치 (CPU) : 연산장치, 제어장치 - 주기억장치 (Main Memory) : RAM, ROM - 보조 기억장치 : 하드디스크, CD-ROM, DVD - 기타 장치 : 마더보드, 전원장치 ② 주변장치 - 입력장치 : 마우스, 키보드 - 출력장치 : 모니터, 프린터 2) 소프트웨어 (Soft Ware) : 생산 후에도 수정할 수 있는 부드러운 제품 (ex. 윈도우즈 7, 알약, 알집 등)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자료의 단위) 자료의 단위 1) Bit : 정보 표현의 가장 작은 단위 2) Nibble = bit 4개 3) Byte = bit 8개(256가지) 4) Word : 컴퓨터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의 단위 비트 정보 표현 개수(2n 개) 수 1bit 0, 1 = 2개 0 1 2bit 00, 01, 10, 11 = 4개 00 01 10 11 3bit 23개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 Bit < Nibble < Byte < Word < Field < Record < File < Database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코드) 문자 표현 코드 에러 검출 : Code로 표시하여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 1) BCD code : IBM, 6bit(26 = 64개 자료 표현), 영소문자 사용 X, 수치 계산용 2) ASCII code : 미국 표준협회, 7bit(27 = 128개), 통신 제어용, PC에서 사용 3) EBCDIC : IBM, BCD code 확장, 8bit(28= 256개), 중대형 컴퓨터에 사용 4) 유니코드 [unicode] :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2바이트(16bit)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부호 체계 패리티 패리티 패리티 에러 검출 ★ 패리티 비트 : 오류 검출을 위한 비트 ★ 해밍 코드(Hamming Code) : 에러 검출뿐만 아니라 교정도 할 수 있는 코드

1.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자료 표현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트(Bit)는 자료 표현의 최소 단위이며, 8Bit가 모여 니블(Nibble)이 된다.    ② 워드(Word)는 바이트 모임으로 하프 워드, 풀 워드, 더블 워드로 분류된다.    ③ 필드(Filed)는 자료 처리의 최소 단위이며, 여러 개의 필드가 모여 레코드(Record)가 된다.    ④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레코드 모임인 파일(File)들의 집합을 말한다. 3. ASCII 코드는 한 문자를 표시하는데 7개의 데이터 비트와 1개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한다. 다음 중 ASCII 코드로 표현 가능한 문자 수는? ① 32 ② 64 ③ 128 ④ 256 문자 표현 코드 BCD코드 : 6비트, 64문자 ASCII코드 : 7비트, 128문자 EBCDIC코드 : 8비트, 256문자 UNI코드 : 16비트(2바이트) 4. 다음 중 개인용 컴퓨터에서 정보통신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드로 3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구성된 코드는? ① BINARY ② BCD ③ EBCDIC ④ ASCII 2. 다음 중 4비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 단위는?     ① Character ② Nibble     ③ Word ④ Octet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CPU) CPU 작동 원리 이해하기 [주기억 장치] [CPU] ★ 1 + 2가 처리되는 과정? (入) 입력장치로 데이터를 입력 (M) 기억장치에 저장 (CPU) 호출 → 해독 → 연산 실행 (出) 출력장치로 정보가 보여짐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CPU)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CPU) CPU(중앙처리장치) 구성 ★ 제어장치 : 명령을 꺼내서 해독하고, 시스템 전체에 지시 신호를 내는 것 1) 명령 계수기(Instruction Counter) :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번지 기억 = Program Counter 2)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e Register) : 기억장치 접근시 필요한 번지 저장 3)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emory Buffer Register) : 기억장치에서 참조한 데이터 저장 4) 명령 레지스터(IR, Instruction Register) : 현재 실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 5) 명령 해독기(Instruction Decoder) : 명령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 해독 6) 부호기(encoder) : 해독된 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 ★ 산술 논리 연산장치(Arithmetic and Logic Unit) : 실제 연산하는 장치 - 가산기 : 덧셈 회로 - 보수(서로 상반되는 수)기 : 뺄셈 회로 - 누산기(Accumulator) :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 상태 레지스터 : 연산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태값 기억 (ex. 자리올림 등) ★ 레지스터 (기억) : CPU 속에서 일시적으로 값을 기억하는 임시기억장소 ★ 버스 (전달) : 장치들 간 상호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연결하는 공동의 전송선 - 주소버스(Address Bus), 데이터버스(Data Bus), 제어버스(Control Bus)

다음 중 아래 그림에서 (ㄱ)과 (ㄴ)에 해당하는 장치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ㄱ) - 연산장치, (ㄴ) - 제어장치 ② (ㄱ) - 제어장치, (ㄴ) - 연산장치 ③ (ㄱ) - 연산장치, (ㄴ) - 보조기억장치 ④ (ㄱ) - 제어장치, (ㄴ) - 캐시기억장치 2. 다음 컴퓨터의 기본 기능 중에서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료와 명령을 컴퓨터에 입력하는 기능 ② 입출력 및 저장, 연산 장치들에 대한 지시 또는 감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③ 입력된 자료들을 주기억장치나 보조기억장치에 기억하거나 저장하는 기능 ④ 산술적/논리적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① 입력기능 ② 제어기능 ③ 기억기능 ④ 연산기능 출력기능: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하는 장치 중앙처리장치(CPU)는 크게 연산장치(ALU)와 제어장치로 구분된다. 연산장치(ALU)는 가산기,보수기,누산기(ACC),상태 레지스터가 있으며,제어장치에는 명령 레지스터(IR),위치 계수기(PC),부호기(Encoder),해독기(Decoder)등이 있다.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기억장치) 기억장치 분류 ★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 ROM BIOS -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 : CPU가 직접 참조하는 고속의 메모리(Main Memory) 1) ROM (Read Only Memory) : 읽기만 가능, 비휘발성 - mask 제조 과정에서 미리 내용을 기억시켜 놓아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음 - PROM (Programmable ROM) : 특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한 번만 기록, 이후에는 읽기만 가능 - EPROM(Erasable PROM) :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우고 수정 가능 - EEPROM(Electrically EPROM) : 전기적으로 지우고 수정 가능 (BIOS 업그레이드 위한 ROM) 2) RAM (Ramdom Access Memory) : 읽고 쓰기 가능,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저장, 전원이 공급되지 않므면 자료 소멸(휘발성) - 종류 : 재충전의 유무에 따라서 구분 DRAM(동적) SRAM(정적) 구성소자 콘덴서 플립플롭 특성 주기적 재충전 전원공급 되는 동안만 기억 유지 전력소모 적다 많다 접근속도 느리다 빠르다 가격 저가 고가 용도 일반적인 주기억장치 캐시 메모리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보조기억장치) 하드디스크 1) 인터페이스(연결) 방식에 따라(IDE/EIDE, SATA, SCSI) 2) 접근시간 : 정보를 기억 또는 읽기 시작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 Seek Time + Search Time + Transmission Time - Seek Time(탐색 시간) : 트랙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 - Search Time(회전 지연 시간) : 섹터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 - Transmission Time(전송 시간) : 주기억장치로 전송 트랙 섹터(정보기록 기본단위)

2강. 컴퓨터일반 2강-컴퓨터일반 (특수용도 기억장치) 특수용도 기억장치 1. 레지스터 : 가장 빠름 (CPU 내에 있음) 2. 캐시 메모리 :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 3. 가상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일부를 마치 주기억장치인 것처럼 이용하는 운영체제의 메모리 운영 기법 - 주기억장치 용량 크게 (속도 X) - 설정: [제어판]-[시스템]- [설정 변경]-’고급’ 탭 4. 플래시 메모리 :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도 저장 데이터는 그대로 보관되는 반도체 메모리 (ex.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1.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억 용량은 작으나 속도가 빠른 버퍼 메모리이다. ② 가능한 최대 속도를 얻기 위해 소프트웨어로 구성한다. ③ 기본적인 성능은 히트율(Hit Ratio)로 표현한다. ④ CPU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위치한다. 2. 다음 중 PC에서 사용하는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② 전원이 켜지면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하고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한다. ③ RAM에 저장되며, 펌웨어라고도 한다. ④ 칩을 교환하지 않고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 CACHE(캐시)메모리 하드웨어인 S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속도를 향상 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적중률(HIT RATIO)이 높을 때 속도가 빠른다. 속도가 빠르고 값이 비싸다. 펌웨어 : 컴퓨터나 하드웨어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에는 Rom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드웨어 교체없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3. 다음 중 기억장치의 접근 속도가 빠른 것에서 느린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캐시메모리 →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② 레지스터 → 캐시 메모리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③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 캐시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④ 주기억장치 → 레지스터 → 캐시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