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의 수요모델 :개방경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어떻게 성경을 읽느냐 ?.  39+27=66 ( 삼구 이십칠 )  역사서 (17 권 )  시가서 (5 권 ): 욥기시편잠언전도서아가  선지서 (17 권 )
Advertisements

주사위를 이용한 땅 따먹기 청솔초 영재학급 4 학년 장 택 민 목차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빅맥 지수란 ? 각 나라의 구매력평가를 비교하는 경제지표 1986 년 9 월 영국의 경제 전문지인 이코노미스트에서 처음 사용 미국 맥도널드사의 햄버거 제품인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후 미국 내 가격과 비교한 지수.
환율과 외환시장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강의 순서 1. 환율이란 2. 환율의 거시경제적 효과 3. 최근의 글로벌 환율 전쟁 4. 과거 사례 5. 캐리 트레이드란 6. 토빈세 부과 바람직한가 7. 기축통화 문제.
Ⅲ 스포츠 축제 문화 3. 스포츠 미디어와 스포츠 산업. 스포츠 미디어의 종류 : 인쇄 매체, 방송 매체, 디지털 매체 - 인쇄 매체 : 종이에 단어와 이미지를 담아 의사를 전달하는 신문이나 잡지, 책이나 카탈로그 등을 포함하는 활자 중심의 매체 - 방송 매체 : 영상과.
이탈리아 피자스파게티올리브등.
금속의 종류와 액체의 성질에 따른 금속의 부식 창의적 산출물 연구 보고서 부명 초등 학교 임재윤 지도교사 노지은선생님
[6] 자주 묻는 연말정산 Q & A.
제4장 2절 (금융시장과) 통화정책.
Understanding of Economic Principles 서병한.
Financial Environment & Corporate Strategies
동대구역세권 개발 및 신교통 건설계획.
Price golf 프 랜 차 이 즈 사 업 프라이스골프 에스브릿지 대표 : 신 택승
BP 윤리실천서약서 공급하는 자(이하 “[당사/본인]”)은, 귀사와의 거래(현재 진행 중인 거래 및 장래 귀사와 체결하는 계약에 따라 진행되는 모든 거래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윤리 행위 및 그에 따른 책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서약합니다. ****
제 9 장 국제수지의 균형.
제 35 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2D 게임프로그래밍 프로젝트 2차 발표 유제원.
요한계시록 진행과정 장 차 될 일 천년왕국(20:4-6)/흰보좌(20:11-15) 20
파생상품의 개념과 활용방안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이창복 CFO Academy CFO Academy
한국경제학회-서울대 법학연구소 공동세미나
The Open Economy CHAPTER FIVE
거시경제의 수요측면:폐쇄경제의 경우.
제31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개념.
예수님 탄생 목자.박사들 경배 (마2:1-12, 눅 2:1-7).
채 권 투 자 노 트 김 형 호, CFA (T ) 아이투신 채권본부장.
제6장 효율적 분산투자.
5주차 선물거래와 통화선물 (Ch. 7).
제 35 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단기 상충관계.
제9장 IS-LM-BP 모형 제1절 BP곡선의 도출 제2절 BP곡선과 정책효과 제3절 물가수준의 변화와 IS-LM-BP모형
제 5 장 총 수요곡선: 폐쇄경제 제 4장 가격경직성과 총공급곡선.
영원한 복음.
부산 워크인 센터 1월 트레이닝 룸 일정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신정 [트레이닝] 11시-1시, 최희목 [팀트레이닝]
거시경제학 강의 – Week 8 금융시장, 국제적 자본이동.
제 32 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환위험 관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이창복 서울대 CFO 전략과정 금융연수원 부임 : 3주 경과 리스크 : 리스크 추구
7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생계비의 측정 © 2007 Thomson South-Western.
Power Point 2007년 정보화교육 원미구청 총무과 통신전산팀.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4단원: 나는 이성친구에게 피임 Policy를 제안한다
8 국제수지의 균형.
제12주제 갈보리언덕에서 누가복음 23:33-49.
제7장 총수요곡선 제1절 총수요곡선의 도출 제2절 재정 및 통화정책과 총수요곡선의 이동 제3절 총수요곡선의 수학적 도출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 조 장 옥.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이사야7:14)
Empirical Analysis of Purchasing Power Parity
환율결정이론 최근 동향 및 관련 이슈 정재식 (서강대 경제학과).
발표: G2 박진수 사도요한 준비: G2 박진수 사도요한 T3 김택준 미카엘
환 율 결 정 이 론 □ 국제수지 접근법(유량접근법) - 탄력성이론 - Mundell-Fleming이론
제2부 국제경제 제2장 무역이론 제3장 무역정책 제4장 국제경제환경 제5장 국제통화제도와 국제수지 제6장 국제금융.
Contents 선물거래의 개요 15.1 선물거래의 구조 15.2 선물가격의 결정 15.3.
#7.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측정 소비자물가지수(CPI) 무인플레이션이자율 명목이자율 1 경제성분석 입문 2 돈의 시간적 가치
파생상품과 Global financial crisis
2016 하계 현장실습 매뉴얼 ≫≫ 학생용.
Chapter 5 개방경제 (The Open Economy)
耽羅國 建國神話 허남춘(제주대 국문학과 교수)
1. 복리후생비 복리후생비란? ✔ 법인이 임원 또는 사용인(파견근로자 포함)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
제22장 인플레이션 제1절 통화와 인플레이션 제2절 화폐의 중립성 제3절 인플레이션세 제4절 초인플레이션
식물의 성장조건 만 든 이 : 김지혁 지도교사 : 김경순선생님.
동양의 색채 1.인 도 인더스 강 유역에서 고대(B.C 2000 ~ 3000)의 청동기시대에 문화가 이미 발달하였고, 메소포타미아와 유사하고 이는 신에 관한 것이 많고, 도시계획이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 시대부터 모자이크 타일이나 돌에 의한 다채로운 재료가 사용되었다.
18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한국대외관계론 제2강. 외교정책 일반이론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8.5 사람의 유전은 어떻게 연구하는가.
총수요와 총공급.
3조 발표조 조장: 옥유진 조원: 장철진 남상윤 장진하 윤태진.
지역복지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이론.
토론의 기술 3 쟁점분석과 입론.
8 국제수지의 균형.
제23장 대공황과 일본의 장기불황 제1절 대공황 제2절 일본의 장기불황 제3절 맺음말.
Presentation transcript:

거시경제의 수요모델 :개방경제

거시경제의 수요측면 : 개방경제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뿐만 아니라 외환시장 또는 국제수지균형까지 고려한 수요측면의 균형 도출 수요측면에서 소규모 개방경제의 국민소득, 경상수지, 소비, 투자 등의 결정과 거시경제정책의 효과 분석

01 국제수지와 환율 국제수지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 : 한 국가가 일정 기간 동안 수행한 해외부문과의 경제적 거래를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

국제수지균형의 측정 BP = 0 이면? BP > 0 이면? BP < 0 이면? 01 국제수지와 환율 국제수지 1.2 국제수지균형의 개념 자율적 또는 독자적 거래(Autonomous Transaction) 경상계정에 기록되는 상품 및 서비스수지와 소득수지, 자본계정의 투자수지 등 보정적 거래(Accomodating Transaction) 준비자산증감 국제수지균형의 측정 BP = 0 이면? BP > 0 이면? BP < 0 이면? BP = Balance of Payment X = 재화 및 서비스의 수출 Q = 재화 및 서비스의 수입 F = 순자본유입

순외화자산의 변화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01 국제수지와 환율 국제수지 1.3 국제수지와 국민소득계정 및 화폐공급  민간 및 정부의 초과저축이 순수출 또는 경상수지 흑자와 동일하고, 이것은 순외화자산의 변화규모와도 같다는 것을 의미 순외화자산의 변화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01 국제수지와 환율 이론과 실제: 세계경제 불균형(global imbalances)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Q – X)는 재정적자(G – T) 확대와 민간저축 감소에 따른 투자·저축 갭(I – S)이 확대된 데 기인한다.  또한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아시아 개도국(중국, 인도)과 일본·독일·산유국 등의 흑자로 조성된 세계적 과잉저축(global saving glut)이 미국으로 집중 유입(Q-X=-∆NFA)된 데 기인한다.

- 불태화정책 (Sterilization policy, 중화정책) 변동환율제도 01 국제수지와 환율 2. 환율과 환율제도 환율(Exchange rate)이란? 고정환율제도 - 불태화정책 (Sterilization policy, 중화정책) 변동환율제도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환율 결정 과정 외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균형점 A0에서 경제 여건의 변화로 외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경우, 수요곡선이 D0에서 D1으로 이동하게 되고, 새로운 균형점 A1에서 균형환율은 e1으로 상승한다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3.1 구매력평가설 (purchasing power parity ; PPP) 일물일가의 법칙(Law of one price)을 전제 No Arbitrage! P = 국산품의 국내가격, ePf = 외제품의 국내가격  외제품의 수요 증가  외제품의 가격 상승  국내품의 수요 증가  국내품의 가격 상승 국제간 교역이 자유롭고 거래 비용이 없다면, 국산품의 국내가격(P)이 외제품의 국내가격(ePf)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렴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3.1 구매력평가설 (purchasing power parity ; PPP) 구매력평가설의 한계 비현실적 가정 : 재화의 교역은 자유롭지 못함 각국의 생산품이 완전히 동질적일 수 없음 비교역재(Nontradable Goods)의 존재  장기적인 환율 변화 설명,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무역장벽이 낮고 거래비용이 적은 선진국 사이에서 잘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남.

국제간 자본이동이 완전하다면 국내채권의 수익률과 외국채권의 (유효)수익률은 동일한 수준으로 수렴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 외국채권에 투자 => r상승, e상승(why?) => 국내채권에 투자 => r하락, e하락 국제간 자본이동이 완전하다면 국내채권의 수익률과 외국채권의 (유효)수익률은 동일한 수준으로 수렴 => 이자율평가설(interest rate parity: IRP) 3.2 이자율평가설 (interest rate parity ; IRP)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일반적으로 환율변동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순해외투자 또는 순자본유입은 국내외 이자율차이(r-rf)와 환율변동 예상율( )에 의해 결정된다 => 환율변화에 대한 정태적 기대, 즉 환율변동 예상율이 0 인 경우를 가정하면 순자본유입 혹은 자본수지는 국내외 이자율차이(r-rf)의 함수로 결정된다 3.2 이자율평가설 (interest rate parity ; IRP)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3.2 이자율평가설 (interest rate parity ; IRP) 주어진 현재환율수준에서 예상환율의 상승  자국통화의 가치하락( ) 예상  국내채권에 대한 수요 감소  국내채권 가격 하락, 국내이자율 상승  이자율평가설(IRP)을 만족하는 환율과 이자율의 궤적 상방이동

실증분석 결과 환율이 단기적으로 구매력평가설의 예측보다 훨씬 더 급격하게 변동한다는 사실 발견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3.3 오버슈팅 이론 (overshooting theory) 실증분석 결과 환율이 단기적으로 구매력평가설의 예측보다 훨씬 더 급격하게 변동한다는 사실 발견  경제에 어떤 충격이 가해질 때 변수가 단기적으로 장기균형수준에서 크게 벗어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장기균형수준으로 수렴해가는 현상 (Overshooting) ◈ 기본 가정 이자율평가설 성립 장기적으로 구매력평가설 성립 단기적으로 물가수준의 경직성 강조 합리적 기대

(a) 화폐시장 (b) 이자율평가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3.3 오버슈팅 이론 (overshooting theory) 합리적 기대: 화폐공급의 지속적 증가를 예상하는 경우 미래 예상물가수준의 상승으로 기대환율 상승 화폐공급 증가 (a) 화폐시장 (b) 이자율평가 장기: 물가상승폭=명목화폐공급 증가폭 →실질화폐공급이 초기수준으로 복귀 ⇒ 이자율 r=r0, e=e3

01 국제수지와 환율 3. 환율결정이론 3.3 오버슈팅 이론 (overshooting theory) 환율변동의 오버슈팅 화폐공급이 증가된 시점(t0) 이후 기대환율 상승이 반영된 단기적인 환율수준(e2)이 장기적인 환율수준 (e3 )보다 높다는 점에서 환율의 오버슈팅이 발생한다.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소규모 개방경제(small open economy) : 국제시장의 상품과 자산거래에 있어서 가격수용자(price taker)임을 의미 국제상품시장에서 해외제품의 외국가격(Pf)을 주어진 가격으로 수용 국제자본시장에서 국제이자율(rf)을 주어진 값으로 수용

생산물시장의 균형식: IS 곡선: 생산물시장의 균형을 가져오는 소득(Y)과 이자율(r)의 조합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1. 개방경제의 생산물시장 균형과 IS곡선 생산물시장의 균형식: IS 곡선: 생산물시장의 균형을 가져오는 소득(Y)과 이자율(r)의 조합

=> 소비 뿐만 아니라 수입도 증가하여 총수요 증가분을 감소시키는 효과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1. 개방경제의 생산물시장 균형과 IS곡선 생산물시장의 균형상태에서 소득의 상승 => 소비 뿐만 아니라 수입도 증가하여 총수요 증가분을 감소시키는 효과 => 폐쇄경제보다 생산물시장의 균형을 위하여 더 많은 투자 증가가 요구되므로 이자율이 더 크게 하락해야 한다 => IS곡선은 더 가파르게 된다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명목환율상승, 물가수준 하락, 또는 국제물가수준 상승 => 실질환율 상승 1. 개방경제의 생산물시장 균형과 IS곡선 개방경제의 IS 곡선과 실질환율상승 명목환율상승, 물가수준 하락, 또는 국제물가수준 상승 => 실질환율 상승 => 순수출 증가 => IS곡선의 우측이동 IS(폐쇄)

명목통화공급, 국제수지 흑자액(BP)의 증가함수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소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식: 명목통화공급, 국제수지 흑자액(BP)의 증가함수 (예) 국제수지 흑자 => 지불한 외화보다 수취한 외화가 더 많다 => 수취한 외화를 국내통화로 교환하는 과정에서 화폐공급량이 증가

명목통화공급, 국제수지 흑자액(BP)의 증가함수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소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식: 명목통화공급, 국제수지 흑자액(BP)의 증가함수 LM 곡선: 화폐시장의 균형을 가져오는 소득(Y)과 이자율(r)의 조합

변동환율제도: 환율변동에 의해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항상 일치하고 국제수지균형 (BP = 0)이 자동적으로 달성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변동환율제도: 환율변동에 의해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항상 일치하고 국제수지균형 (BP = 0)이 자동적으로 달성 Why? 국제수지균형 = (수출-수입)+(자본유입-자본유출) = 0  (수출+자본유입) = (수입+자본유출)  외환공급 = 외환수요

변동환율제도: 환율변동에 의해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항상 일치하고 국제수지균형 (BP = 0)이 자동적으로 달성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변동환율제도: 환율변동에 의해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항상 일치하고 국제수지균형 (BP = 0)이 자동적으로 달성 => 국내통화량은 국제수지 불균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개방경제의 화폐수요가 폐쇄경제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개방경제의 LM 곡선은 폐쇄경제의 LM 곡선과 동일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고정환율제도: 국제수지 적자나 흑자에 따른 환율상승 또는 하락압력 시 중앙은행은 고정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자국통화매입 또는 매도를 통해 외환시장에 개입 => 국내통화량은 국제수지 불균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 국제수지흑자(BP > 0) => 중앙은행의 자국통화매도와 외화매입으로 통화량이 증가 => LM 곡선 우측이동

고정환율제도 하에서 국제수지와 LM 곡선의 이동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2. 개방경제의 화폐시장 균형과 LM곡선 고정환율제도 하에서 국제수지와 LM 곡선의 이동 국제수지흑자( )인 경우: 고정환율 유지를 위한 중앙은행의 자국통화매도와 외화매입 => 국내 통화량 증가 => LM 곡선의 우측이동 국제수지 적자인 경우: 국내 통화량 감소 => LM 곡선의 좌측 이동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개방경제의 대내균형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개방경제의 생산물 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적 균형을 달성하는 국민소득과 이자율이 IS 곡선과 LM 곡선의 교차점에서 결정

순수출이 실질환율의 증가함수이고 순자본유출입은 국내외 이자율차이만의 함수 => 구매력평가설과 이자율평가설이 불성립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3. 개방경제의 국제수지균형과 BP곡선 주어진 해외변수 와 0의 환율변동 예상율 하에서 소개방경제의 국제수지는 국내물가수준(P), 국민소득(Y) 및 국내이자율(r) 등에 의해 결정 순수출이 실질환율의 증가함수이고 순자본유출입은 국내외 이자율차이만의 함수 => 구매력평가설과 이자율평가설이 불성립 소개방경제의 국제수지:

BP 곡선: 국제수지균형(BP=0)을 가져오는 국민소득(Y)과 이자율(r)의 조합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3. 개방경제의 국제수지균형과 BP곡선 소개방경제의 국제수지: BP 곡선: 국제수지균형(BP=0)을 가져오는 국민소득(Y)과 이자율(r)의 조합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3. 개방경제의 국제수지균형과 BP곡선 소개방경제의 국제수지균형: 자본이동이 불완전한 경우: 국제수지 균형상태에서 소득의 상승 => 수입증가에 따른 경상수지의 악화 => 국제수지적자 => 국제수지균형을 회복하려면 자본수지가 호전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국내이자율이 상승해야 한다 => 국제수지균형을 가져오는 소득과 이자율은 정(+)의 관계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3. 개방경제의 국제수지균형과 BP곡선 (a) 불완전한 자본이동 (b) 완전한 자본이동 (c) 자본 통제 자본이동이 완전한 경우- 수평 : 국내와 국제이자율이 일치할 때 국제수지균형 주어진 국제이자율( )수준에서 수평 자본이동이 불완전한 경우- 우상향 : 소득의 증가 수입증가에 따른 경상수지의 악화 자본수지의 호전에 의해 국제수지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국내이자율이 상승해야 한다. 자본이동이 완전통제된 경우- 수직선 : 국제수지=경상수지 이므로 이자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BP 곡선은 이자율에 관계없이 경상수지를 0으로 만드는 소득수준에서 수직이다.

생산물시장의 균형식: IS 곡선 화폐시장의 균형식: LM 곡선 국제수지의 균형식: BP 곡선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소개방경제에서 외생변수로 주어진 국제이자율과 거시경제정책 등의 변화가 국제수지, 환율, 국민소득 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IS-LM-BP 균형: 자본이동이 완전한 소규모 개방경제의 대내균형과 국제수지의 동시균형은 IS-LM-BP 세 곡선이 모두 만나는 점 A 점에서 이루어진다. 소개방경제에서 외생변수로 주어진 국제이자율과 거시경제정책 등의 변화가 국제수지, 환율, 국민소득 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변동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4.1 변동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국제수지흑자(BP > 0) =>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초과공급 또는 자국통화의 초과수요 => 자국통화가치의 상승(appreciation) 또는 환율하락 => 순수출 감소 => IS곡선의 왼쪽 이동

변동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4.1 변동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국제수지적자(BP < 0) =>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초과수요 또는 자국통화의 초과공급 => 자국통화가치의 하락(depreciation) 또는 환율상승 => 순수출 증가 => IS곡선의 오른쪽 이동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변동환율제도 하에서의 균형조정과정 4. IS-LM-BP 모형 4.1 변동환율제도 점 A0 : 국내금리( ) > 국제금리( ) 순자본유입에 따른 국제수지흑자 환율 하락 경상수지 악화 또는 순수출 감소 IS 곡선의 좌측 이동 점 A1에서도 여전히 국제금리보다 국내금리가 높다. 국내금리와 국제금리가 같아질 때까지 이동 IS곡선은 LM곡선과 BP곡선이 만나는 점까지 이동하여 A2점에서 대내균형과 국제수지균형 성립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4.2 고정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국제수지흑자(BP > 0) =>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초과공급 또는 자국통화의 초과수요에 의해 야기된 환율하락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통화당국/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 자국통화매도, 외환매입 => 자국 통화공급의 증가 => LM곡선의 오른쪽 이동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4.2 고정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국제수지적자(BP < 0) =>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초과수요 또는 자국통화의 초과공급에 의해 야기된 환율상승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통화당국/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 자국통화매입, 외환매도 => 자국 통화공급의 감소 => LM곡선의 왼쪽 이동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고정환율제도 하에서의 균형조정과정 4. IS-LM-BP 모형 4.2 고정환율제도 점 A0 : 국내금리( ) > 국제금리( ) 순자본유입에 따른 국제수지흑자 국내통화량 증가 LM곡선의 우측 이동 A1에서 국내이자율 = 국제이자율; 대내균형과 국제수지균형의 달성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4.2 고정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하에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과정 중화정책(sterilization policy) 국제수지 적자나 흑자 시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조작을 통해 국제수지 불균형이 국내통화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는 정책 => 국제수지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LM곡선은 이동하지 않는다

생산물시장의 균형식: IS 곡선 화폐시장의 균형식: LM 곡선 국제수지의 균형식: BP 곡선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2 고정환율제도 : 자본통제 생산물시장의 균형식: IS 곡선 화폐시장의 균형식: LM 곡선 국제수지의 균형식: BP 곡선

IS-LM-BP곡선이 균형을 이루는 A2까지 LM곡선의 이동이 계속된다. 02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4. IS-LM-BP 모형 4.2 고정환율제도 : 자본통제 고정환율제도 하에서의 균형조정과정 : 자본통제 국제수지 흑자 (자본통제 하에서) 국내 통화량의 증가 LM 곡선의 우측 이동 IS-LM-BP곡선이 균형을 이루는 A2까지 LM곡선의 이동이 계속된다.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1. 변동환율제도: 재정정책 확장적 재정정책 최종 균형은 원래의 점 A0에서 결정된다 2 최종 균형은 원래의 점 A0에서 결정된다 국내금리 > 국제금리 순자본유입에 의한 국제수지흑자 환율 하락 경상수지 악화 IS곡선의 좌측 이동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1. 변동환율제도: 재정정책 국민소득 불변 정부지출 증가, 소비, 투자 불변 정부지출 증가, 소비, 투자 불변 균형조정과정에서  완전자본이동 하에서 대규모의 순자본유입 또는 자본수지흑자 증가  환율하락을 통한 국제수지균형(BP=0,A0)에서 경상수지 악화 (순수출 감소) 쌍둥이 적자(twin deficits) 1 2 1 2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1. 변동환율제도: 화폐금융정책 확장적 통화정책 국내금리 < 국제금리 2 국내금리 < 국제금리 순자본유출에 의한 국제수지적자 환율의 상승 경상수지 호전 IS곡선의 우측 이동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1. 변동환율제도: 화폐금융정책 국민소득 증가 소비 증가, 투자, 정부지출 불변 소비 증가, 투자, 정부지출 불변 균형조정과정에서  완전자본이동 하에서 대규모의 순자본유출 또는 자본수지적자 증가  환율상승을 통한 새로운 국제수지균형(BP=0,A2)에서 경상수지 호전 (순수출 증가) 1 1 2 2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재정정책 국내금리 > 국제금리 순자본유입에 의한 국제수지흑자 국내통화량의 증가 LM 곡선의 우측이동 확장적 재정정책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재정정책 국민소득 증가 정부지출, 소비 증가, 투자 불변 정부지출, 소비 증가, 투자 불변 A1에서 BP > 0(외환의 초과공급): 변동환율제도와 달리 환율하락을 통한 국제수지균형(BP=0) 또는 외환시장균형이 불가능; 중앙은행 개입(외환매입, 자국통화매도)의 결과 소득(Y) 증가 => 경상수지는 수입증가로 악화 2 1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화폐금융정책 확장적 통화정책 국내금리 < 국제금리 1 국내금리 < 국제금리 순자본유출에 의한 국제수지적자 국내통화량 감소 LM곡선의 좌측 이동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화폐금융정책 국민소득 불변 정부지출, 소비, 투자 불변 A1에서 BP < 0 (외환 초과수요): 변동환율제도와 달리 환율상승을 통한 국제수지균형(BP=0)이 불가능 중앙은행 개입(외환매도, 자국통화매입)의 결과 소득(Y) 불변 => 경상수지 불변 1 2 2 1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환율정책 환율하락압력을 막기 위한 중앙은행의 통화공급 증대 환율하락압력을 막기 위한 중앙은행의 통화공급 증대  LM 곡선의 우측 이동 (환율정책) 평가절하 순수출의 증가 IS곡선의 이동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환율정책 국민소득 증가 소비 증가, 투자, 정부지출 불변 소비 증가, 투자, 정부지출 불변 A1에서 BP>0 (외환의 초과공급): 변동환율제도와 달리 환율하락을 통한 국제수지균형(BP=0) 또는 외환시장균형이 불가능; 중앙은행 개입(외환매입, 자국통화매도)의 결과 소득(Y) 증가 => 경상수지 또는 순수출은 평가절하에 따른 증가와 소득 증가에 따른 감소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호전, 악화 또는 불변; 그러나 Y = C + I + G + NX 에서 Y의 상승 > C의 상승 => NX 상승 2 1

◈ J커브 효과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2. 고정환율제도: 환율정책 경상수지 (X-Q) 환율이 상승하면 처음에는 오히려 경상수지가 악화되고 시간이 얼마간 흐른 뒤에야 경상수지 개선의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  WHY? 시간

03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3. 환율제도와 거시경제정책의 유효성

=> 물가수준을 내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물가수준의 변화에 대한 IS-LM-BP 균형의 변화를 총수요곡선으로 도출 04 물가수준과 수요측면의 균형: 개방경제 지금까지… 거시경제의 생산물에 대한 수요측면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어진 물가수준 에서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과 국제수지균형으로 정의되는 IS-LM-BP 균형을 분석 => 물가수준을 내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물가수준의 변화에 대한 IS-LM-BP 균형의 변화를 총수요곡선으로 도출

04 물가수준과 수요측면의 균형 1. 개방경제의 총수요곡선 (a) IS-LM-BP 균형 (b) 총수요곡선 물가수준의 하락 실질통화공급의 증가 LM곡선의 우측 이동 IS-LM곡선이 교차하는 대내균형점에서 국제수지가 불균형일 경우, 환율 조정에 의한 순수출의 추가적 변화  IS곡선이 LM-BP곡선과 만나는 점까지 이동하여 대내균형과 국제수지 균형이 동시에 달성된다. 물가수준이 하락하는 경우, 주어진 명목환율( )과 해외물가수준( )하에서 실질환율( )의 상승 순수출의 증가 IS곡선의 우측이동 (a) IS-LM-BP 균형 개방경제의 총수요곡선: 폐쇄경제보다 더 완만한 기울기를 갖는다. (b) 총수요곡선

04 물가수준과 수요측면의 균형 2. 총수요곡선의 이동 (a) IS-LM-BP 균형 (b) 총수요곡선의 이동 변동환율제도 하에서 순자본유입에 따른 BP>0 환율의 하락 순수출(경상수지)의 악화 총수요의 감소 IS곡선의 좌측 이동 정부의 재정확장정책 (정부지출의 증가) (a) IS-LM-BP 균형 변동환율제도 하에서 정부지출의 증가는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지 않는다. (b) 총수요곡선의 이동

04 물가수준과 수요측면의 균형 2. 총수요곡선의 이동 통화공급의 증가  LM곡선의 우측 이동 변동환율제도 하에서 1 2 변동환율제도 하에서 순자본유출에 따른 BP<0 환율상승 순수출(경상수지)의 호전 IS곡선의 우측 이동 (a) IS-LM-BP 균형 1 2 폐쇄경제 (b) AD 의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