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 및 지각운동의 발달 II 강의 4.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한국지엠㈜ 김양수 기본에 충실하자 연무대 공업고등학교 첫 만남 25 대한민국 48,508,972,238 / 49 북한 22,665,345 ♡ 70 억 명 : 1 ♡ 첫 인상 ♡ 처 음 ↔ 끝 ◆ 첫인상의 좋은점 나쁜점은 처음 30~40 초에 결정.
Advertisements

사 업 명 취창업 전략과 사회진출 사 업 대 상사 업 대 상 동양미래대학교 재학생 ( 졸업예정자 ) 사 업 내 용사 업 내 용 진로 및 취창업관련 프로그램 및 컨설팅 사 업 기 간사 업 기 간 2014 학년도 2 학기 수 행 장 소수 행 장 소 동양미래대학교.
주사위를 이용한 땅 따먹기 청솔초 영재학급 4 학년 장 택 민 목차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Peripheral Nervous System Chapter 6 Copyright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다이어그램 그래픽 2003 년도 1 학기말 과제 ( 담당교수 : 최병수 교수님 ) 제출자 : 조한진 이영수 이호진 동아일보에 사용된 그래프의 오남용 사례 분석.
2012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제 안내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의 희망 첫걸음 사회적기업경기재단 경기도사회적기업통합지원센터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MIS학과 통합사례: 건양대학교 김 기 주.
금속의 종류와 액체의 성질에 따른 금속의 부식 창의적 산출물 연구 보고서 부명 초등 학교 임재윤 지도교사 노지은선생님
나의 한 줌은 얼마나 될까? 내가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는 얼마나 되는 걸까? 사진 속 모습과 똑 같게 하려면?
신경계 생리학.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마음의 발달 Development of Mind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의 기능을 주 대상으로 하여 그 기능을 나타내는 과정이나 원인을 1 해부생리학 첫머리 1) 해부생리학의 정의 해부생리학 해부학(anatomy) :인체 기관의 구조와 이들 구조가 어떻게 상호 관련하는 지를 연구 하는 학문 생리학(physiology)
Nervous system.
13강 실업자의 복지 이수천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Eye-tracking을 통한 룸미러/ 사이드미러 조정 물리학 박영수 물리학 김정은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정석
Prayer Attendance Homework.
20--학년도 심리학의 이해.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주) 리더십 프런티어 대표이사
Why NUTRILITE?.
LED의 농업적 이용 - LED를 이용한 전조재배 기술
성탄절을 향한 길에서.
Visual c++ 이용한 영상처리 5조 과정 : 시스템제어 조장 : 김 신 호 조원 : 주강수, 유성민, 남민호
영원한 복음.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이 종 원 책임연구원(Ph.D) 방송통신정책연구실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1.2 저항과 옴의 법칙 옴의 법칙 그림 1-8 저항 그림 1-9.
건강사정실습 Practice of Health Assessment.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식물 세포 와 동물 세포 조영희
가톨릭관동대학교 휴먼재활서비스학부 (언어재활상담전공)
// 과제명 기재 미래융합서비스 모델개발 아이디어 제안서 – // 기업명 기재
학문 목적 교재에서의 효율적인 읽기 전략 훈련 방법 연구,
세 번째 이야기 언어와 뇌 담당교수: 남 윤 주.
* 접점에서의 소비자의 기대된 서비스와 인지된 서비스 간의 차이 1) 경마공원 홈페이지&전화 오는 길 알아보기, 볼거리, 먹을 거리 안내 등등 – 자세하고 보기쉽게 잘 되어 있음 2) 경마공원 입구 주차 안내원 – 특별히 친절하진 않지만.
제6회 약물중독의 피해 part 1.
II. 태양계와 지구 II-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4. 지구의 자기장.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기업회생 절차.
2. 윤리학의 원리와 적용 가.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12강. 미디어 문화.
기술 진화와 진보.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식물의 성장조건 만 든 이 : 김지혁 지도교사 : 김경순선생님.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1. 意義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의 기능을 주 대상으로 하여 그 기능을 나타내는 과정이나 원인을 1 해부생리학 첫머리 1) 해부생리학의 정의 해부생리학 해부학(anatomy) :인체 기관의 구조와 이들 구조가 어떻게 상호 관련하는 지를 연구 하는 학문 생리학(physiology)
7장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인지발달.
중간고사 문제.
낙관주의자는 극심한 불운 속에서도 기회를 보고, 비관주의자는 엄청난 기회 속에서도 불운을 본다.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운동발달의 이론적 기초 강의 2.
김진승 한국물리학회 교육위원장, 전북대학교 물리학과
의사소통장애개론_ 신경해부(및 생리)_첫번째 (2018년 2학기)
영상으로 읽는 한국사 02 삼국은 서로를 한 ‘민족’으로 생각했나? - 삼국통일의 의미-.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의사소통.
목재 공예 이치훈 주성우.
제3장 선교 구역.반장학교 제1단계.
Presentation transcript:

감각 및 지각운동의 발달 II 강의 4

지각운동발달 지각운동발달의 개념 감각별 발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운동발달의 개념 - 지각 지각의 발생경로 뇌에 전달된 정보를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 자극 감각기관 구심성 신경계 흥분 중추신경계 지각 뇌에 전달된 정보를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 같은 정보가 같은 감각 기관을 통해 들어오더라도 다르게 인지될 수 있음 자극에 대응하는 차별 반응의 일종으로 무엇을 인지하는지를 의미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CNS)는 입력된 감각을 분석-종합하고, 과거의 경험, 반사, 현재의 조건 등을 감안하여 운동 출력을 지시하는 신경계의 명령기관이다.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는 중추신경계의 외부에 위치하며, 주로 신경 nerves으로 구성되어 중추신경계와 신체 각 부위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감각수용기로부터 중추신경계로 정보를 입력하는 계통을 감각 또는 구심성 신경계 sensory or afferent division라하며, 중추신경계에서부터 작용기로 정보를 출력하는 계통을 운동 또는 원심성 신경계 motor or efferent division라 부른다. 지각의 발생경로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계속)

지각운동발달의 개념 - 지각운동 다양한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를 통합 · 해석하고 그 움직임을 다시 제어하는 과정 중요 제한 요소 개인 환경 과제 정보처리적 접근 개인 유기체적 제한 요소 강조 생태학적 접근 지각 체계와 환경의 상호작용 강조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초기(영·유아)의 지각운동발달 특성 개선방향 성인에 비해 제한된 지각 능력 보유 지각 운동 과제 수행에 어려움 다양한 지각 경험을 위해 다양한 경험 유도 많은 운동과 지각 학습으로 다양한 움직임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감각별 발달 시 지각의 발달 운동 지각의 지각-동작 연합의 발달 청각 지각의 지각 통합 촉각 지각의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시 지각의 발달: 공간 지각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과 관련된 지각 능력 시 지각에 의한 공간 지각의 발달 상하 ·좌우 ·전후의 공간관계 물체조작 및 이동능력과 관련 시 지각에 의한 공간 지각의 발달 망막불일치에 의한 깊이와 거리에 관한 정보 지각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망막 불일치

시 지각의 발달: 연령에 따른 형태 및 공간 지각 연령 형태 지각 공간 지각 생후~1개월 시각적 자극 탐색 복잡한 자극 선호 어느 정도의 크기 항상성 거대한 대상에 반응 운동에 의해 깊이 지각 2~4개월 목표 자극의 경계선 탐지 전체 자극의 시각적 탐색 자신의 움직임에 의한 형태 지각 약간의 주관적 윤곽 탐지 엄마 얼굴 인식 시각 절벽에서 깊이 단서 탐지 양안 깊이 단서에 민감 5~8개월 고정된 대상 형태 지각 미묘한 주관적 윤곽 탐지 크기 항상성 향상 회화적(단안의) 깊이 단서 민감 절벽을 두려워함 9~12개월 제한된 정보로부터 형태 지각 타인의 얼굴 표정 해석 공간 지각의 모든 측면이 더욱 세련되어 짐

시 지각의 발달: 깊이 지각 중요성 역학적 원리 시각절벽(visual cliff) 실험 숙련된 운동수행에 필수 망막 불일치에 의한 불균형적 안구의 상을 비교 및 융합 깊이 판단에 필요한 구체적 단서 확보 깊이 지각 시각절벽(visual cliff) 실험 생후 6개월 영아 대상(Gibson & Walk, 1960; Campos et al., 1992) 기기(crawl) 능력 = 깊이 지각 10~65세 이상 노인 대상(Yetka et al., 1989) 깊이 지각 능력과 연령의 증가에는 관련성 없음

시각절벽

시 지각의 발달: 시각장(field of vision) 정의: 안구를 고정한 상태에서 주변 환경을 볼 수 있는 정도 종류 측면 주변시 정면으로부터 약 90° (좌우로 180°) 수직 주변시 위 47° 아래 65°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시각장 - 연구결과 2개월 미만 영아 – 15~25° 이내(Macfarlane et al., 1976) Davids(1987)의 주변시 처리 능력 연구 아동(9, 12, 15세) vs. 성인 이중과제(공 잡기) - 아동 < 성인(단일과제 시, 차이 없음) Graybiel et al. (1955) 우수선수의 주변시 제거 시, 운동 수행 능력 저하 특히 빠른 속도를 요구하는 종목 상대방을 속이는 동작 볼을 패스할 때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Hobson and Henderson (1941) 효율적인 패스의 농구팀은 그렇지 않은 팀에 비해 약 15° 더 넓은 시각장 보유 가장 우수한 슈터 2명은 다른 선수보다 약 10 ° 더 넓은 수직 시각장 보유 Williams (1990) 연령의 증가와 함께 35세에 최대 능력(이후 60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시 지각의 발달: 목표물 지각 정의: 물체를 지각하고 그 물체와 여타 물체 간의 관련성을 알아내는 능력 중요 요인 목표물의 모양, 크기, 움직임 물체에 대한 깊이와 움직임 지각 능력 중요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시 지각의 발달: 움직임 지각 정의: 움직이는 물체를 탐지, 추적, 포착하는 능력 동적인 상황에서 보다 많은 명령 시스템 요구 정의: 움직이는 물체를 탐지, 추적, 포착하는 능력 동적인 상황에서 보다 많은 명령 시스템 요구 눈 움직임 발달의 중요성 saccadic eye movement (Haith et al., 1993) 고정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재빨리 움직여 나가는 독특한 눈의 움직임 영아 < 성인 신생아 – 한 지점을 두 눈으로 집중하는 것에 어려움 생후 2일 – 느리게 움직이는 물체 추적 시작 생후 4개월 – 느린 움직임의 물체 이동 경로 예측, 추적 가능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시 지각의 발달: 타이밍 일치 타이밍 능력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향상 타이밍 일치 능력은 시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포츠 기술 활동에서 사용 축구의 공 잡기, 야구의 포구 동작 등 중요한 요인 움직이는 피사체의 상대적 방향 (Fischman et al., 1992; Keogh & Sugden, 1985) 날아가는 물체를 공중에서 잡기 능력은 성인 초기까지 증가 일치 타이밍의 정확성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 타이밍 일치 과제의 숙련성 10대 초기에 완성 경험 요인 vs. 연령 요인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시 지각의 발달: 시각-운동 협응 정의: 신체의 운동과 시각 능력을 협응시킬 수 있는 능력 발달 방향성 눈과 손, 눈과 발의 움직임을 통합하는 협응과 제어를 위해 시각과 운동감각이 적절히 결합 발달 방향성 근위 -> 원위 머리 -> 발 대근 -> 소근 연령에 따른 눈-손 협응 변화 생후 6개월 - 물체를 잡는 동작 생후 7개월 – 성인의 잡는 동작과 유사 생후 14개월 – 성인의 뻗기 및 잡기 형태의 유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연령에 따른 시각-운동 협응 형태 3세 4세 5세 6세 7세 8세 직접적인 시각 반응에 손을 사용 시각적 조작: 손의 지지가 필요하지 않음 수직과 수평 개념 이해 과제 흉내를 보다 쉽게 함 크레용보다는 연필 선호 다이아몬드 모양을 모사 기술적인 조작 깊이 지각에 의한 발견 활동 사각형과 삼각형 모사 그림 그리기 능력 향상 글자와 숫자를 동일한 크기로 작성 가능 필기체 가능 선을 보다 잘 조절하여 긋게 됨 신발끈 묶기 세밀한 손가락 조절 능력 증가 보다 정확하게 인물 묘사 글자를 균일하게 정렬 원과 십자가 모양 모사 큰 버튼 누르기 선과 선 사이에 색깔을 입힘 작은 블록 쌓기 말초 중심으로부터 움직임 지향 보다 정확한 자르기 동작 필기구를 다룸 인지적 그림을 그리기 시작 인지적 사물을 그림 구슬을 뀀 가위로 종이 자르기

운동지각의 발달 운동감각적 예민성 운동감각적 기억 주요 요인 위치, 거리, 무게, 힘, 속도, 가속도 등의 차이를 내적 수용기 측면에서 탐지할 수 있는 능력 운동감각적 기억 운동 재생 능력 주요 요인 신체 인식 공간 인식 리듬감 인식 운동감각적 예민성의 예제: 두 눈을 가린채 양 손에 무게가 거의 같은 물체를 올려놓고 무게의 차이를 알아 냄 두 손 가운데 어떤 손이 더 높게 위치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알아 내는 것 운동감각적 기억의 예제: 눈을 감은 상태에서 일정한 무게의 물체를 한 손에 들고 일정한 속도로 일정한 범위를 움직이게 한 후 다시 같은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 신체 인식 –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신체개념, 신체지식, 신체도식) 공간 인식 – 공간 자체에 대한 인식 + 물체 인식 리듬감 인식 – 공간-시간에 대한 일치 타이밍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청각 지각의 발달 신생아 - 청각 기능의 완성 생후 4개월 이후 생후 6개월 생후 12개월 10대 초 청각 지각 능력의 손실 청각 신호에 반응 음의 차이 구분(음의 고저에 따라 다른 반응) 점차 소리의 길이 구별 생후 4개월 이후 소리 나는 방향으로 머리를 돌리는 움직임을 통한 소리 자극 탐색 생후 6개월 성인과 거의 유사한 소리 자극 반응 능력 생후 12개월 일정한 거리에 따른 소리 자극의 거리 인지 10대 초 아주 미세한 소리 판별 청각 지각 능력의 손실 30대 중반부터 80대까지 지속 원인 – 청각신경세포의 경화 40대 – 높은 주파수의 소리 여성 > 남성 (Why?) 소리의 길이 구별 – 언어 습득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구별 능력 여성이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더 잘 듣는 이유 – 남성이 여성보다 환경적 소음 스트레스에 더 많이 노출되기 때문.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촉각 지각의 발달 바빈스키 반사 정의: 피부에 접촉하는 감각 정보를 탐지, 해석하는 능력(통증, 빛, 온도 차이 등 지각) 촉각 지각관련 첫 번째 운동행동 반사적 행동 (바빈스키 반사) 1896년 프랑스의 의사 J.F.F.바빈스키에 의하여 보고된 병적 반사이다. 발바닥의 바깥쪽을 바늘이나 해머자루 등으로, 발꿈치에서 발가락쪽 방향으로 문지르면 엄지발가락이 등쪽으로 굽고 다른 발가락은 부챗살처럼 펼쳐지는 현상(funning sign)을 말한다. 이 현상은 병적 반사 중 가장 기본적 반사로서 추체로(錐體路)장애가 있을 때 나타낸다. 추체로는 대뇌피질에서 시작되는 운동의지를 신속하게 전신근육에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피질척수로이다. 뇌종양 ·뇌졸중 ·척수염 등에서 볼 수 있는데, 엄지발가락이 발등쪽으로 굽는 병적 현상(flexor plantar response)에 대하여 정상인은 엄지발가락이 발바닥쪽으로 굽는 현상(extensor plantar response)이 나타난다. 신경발육이 미숙한 3~4개월의 젖먹이 때에는 이 현상이 생리적으로 인정되므로 주의를 해야 하며, 보통 1세 정도가 되면 이 검사를 할 수 있다. 바빈스키 반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촉각 지각의 발달(계속) 운동감각계와 밀접한 관계 - 공간 정향에 관련된 필수적인 정보 제공 체조 평균대 – 발바닥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로 균형 맹인 – 행동 결정을 촉각 정보에 의존 촉각 정보 전달을 위한 다양한 신경수용기 기능 온도, 통증, 압력과 떨림 감지 등 연령증가에 따른 촉각의 예민함 개인과 신체부위에 따른 개인차 상지 보다 하지의 촉각 예민성이 더 저하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 통합(감각내 + 감각간 발달) 감각내 발달(intrasensory development) 개개의 감각 체계 내에서 발달적 특성과 향상을 살펴봄 감각간 발달(intersensory development) 지각 운동 과정은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감각 기관이 사용됨 영유아기의 다양한 지각 경험이 유아의 지각 통합 형성 시각·촉각 지각 통합(Bower et al., 1970) - 유아의 비눗방울 관련 연구 운동상황에서의 지각 통합 – 야구에서의 타격(시각 + 운동감각 + 촉각 등의 상호작용) 비눗방울 연구 – 유아에게 비눗방울 환영이 보이는 특수안경을 착용.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통합: 시각-운동감각 통합 영아기부터 나타나는 통합적 특성 시각-청각 통합 능력보다 앞서 세련되는 경향 약 11세까지 증가 영아 – 생후 2~3주부터 성인의 입과 혀의 움직임 흉내(Meltzoff & Moore, 1977)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통합: 시각-청각 통합 신생아~생후 4개월 경 – 시각 및 청각 사이의 감각 통합에 대한 지각 소리 나는 쪽으로 눈을 돌림(Clifton et al., 1981) 소리 나는 쪽으로 자발적으로 머리를 돌림 생후 7개월 – 화난 목소리와 즐거운 목소리에 해당하는 얼굴 모양과 연관(Soken & Rick, 1992) 생후 9~13개월 – 실선과 점선의 차이를 청각적 신호의 지속성과 끊김을 통합하여 지각(Wagner et al., 1981) 12세까지 지속적으로 향상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통합: 청각-운동감각 통합 제한적 연구결과 Temple et al.(1979); Williams et al.(1978) 주로 사물의 모양이나 이름을 말하면 여러 물체들을 만져보고 해당 물체를 선택하는 방식의 연구 Temple et al.(1979); Williams et al.(1978)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물체를 선택하는 정확성이 높아짐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동작 연합의 발달 지각-동작 연합(perception-action coupling) 환경과 운동 동적 요소 간의 관계를 지각하게 되면서 지각이 동작을 이끌어 내게 되는 과정 영유아가 목표물을 향해 팔을 뻗고, 잡는 과정에서 물체의 크기와 손의 크기 등이 잡는 동작에 영향을 미침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지각-동작 연합의 발달: 자세제어와 균형 유지 지각-동작 연합의 발달: 자세제어와 균형 유지 인체가 다양한 환경적 조건과 상호 작용하는 생태계로서 보여 주게 되는 가장 대표적인 지각-동작 감각 기관의 역할(Horak & McPherson, 1995) 시각 – 주위 환경에서의 신체 정향 운동감각 – 사지의 상대적 움직임 감지 안뜰기관 – 머리의 위치와 움직임 감지 청각 – 균형 유지 관련 연구 결과 생후 12개월 전후 – 매우 극적으로 발전 영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정보에 의한 균형 유지보다는 운동감각적 정보에 의한 균형 유지를 하게 됨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