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재 사 례 충청대학 산업안전과 2학년 A반 20020038 김상훈
화재사례 원인 및 피해 일 시 장 소 원 인 피 해 2003. 2.18 대구 지하철 중앙로역 방화 사망 부상 재산(백만원) 일 시 장 소 원 인 피 해 2003. 2.18 대구 지하철 중앙로역 방화 사망 부상 재산(백만원) 192 148 10000 1971.12.25 서울 대연각 호텔 LP가스 163 63 84 1974.11. 3 서울 대왕코너 전기합선 88 35 200 1999.10.30 인천 라이브호프 불장난 57 80 60 1972.12. 2 서울 시민회관 53 78 350 피해는 소방서발표를 기준으로 작성, 사망자는 사고 후 48시간 이내 사망한 사람으로 한정하였으나 일부 사례에서는 후유증으로 사망한 숫자도 포함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 소 재 지 : 대구 중구 ■ 인명피해 : 사망 192명, 부상 148명 ■ 발화일시 : 2003. 2. 18. 09:53 ■ 재산피해 : 약 1000억(유가족 보상비, 복구비) ■ 발화지점 : 성내동 중앙로역 ■ 발화원인 : 방화 ■ 방화범 : 김대환(58세), 정신질환과 뇌졸중 후유증으로 2004년 8월 30일 오전 8시 45분경 사망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 화재 및 피해상황 - 사고원인은 정신지체장애인(김대환, 58세)이 자신의 신병을 비관하다 - 사고원인은 정신지체장애인(김대환, 58세)이 자신의 신병을 비관하다 판단착오로 성내동 중앙로역에서 열차가 서행하는 틈을 타 플라스틱통에 들어 있는 휘발유에 불을 붙인 뒤, 바닥에 던져 불을 지름 - 중앙로역 천장과 벽에 설치된 환풍기, 철길 바깥쪽 지붕들도 모두 녹아 내려 출근시간 후였지만, 많은 시민들이 타고 있어서 인명피해도 엄청남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 문제점 ■ 대책 - 통로가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빠져나가기에는 공간설계 자체에 문제가 있음 - 강제 흡·배기시설을 갖추고 있었지만 유독가스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 - 통로 유도등의 미설치로 승객들은 대피할 방향을 찾을 수 없었음 - 연기의 배출통로와 대피로가 일치하여 외부로의 대피가 어려움 ■ 대책 - 화재시 대피 방향을 알려주는 안내등을 바닥에 설치 - 철로를 통한 대피철차의 마련
서울 대연각 호텔 화재 사고 ■ 소 재 지 : 서울 중구 ■ 인명피해 : 사망 163명, 부상 63명 ■ 발화일시 : 1971. 12. 25. 10:17 ■ 재산피해 : 8억3천8백만원 ■ 발화지점 : 2층 커피숍 ■ 발화원인 : LP가스 누출 ■ 건물사항 : 대지 1,782㎡, 연면적 32,391㎡, 지하 2층, 지상 21층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 1969년 2월 준공, 건물의 중앙을 분리하여 사무실과 호텔로 사용
서울 대연각 호텔 화재 사고 ■ 화재 및 피해상황 - 연소기와 용기의 PVC 연결배관에서 가스가 누출되어 점화 - 용기가 파열되면서 화재가 급속히 확산 - 로비의 가연성 내장재가 타면서 계단을 통하여 3층과 4층으로 번져나감 - 냉난방 덕트를 통하여 건물 최상층인 스카이 라운지로 확대 - 최상층과 저층부에서의 화재발생으로 중간층에 있던 사람들의 피해가 많음 - 옥상 출입구가 잠겨 있어 대피하지 못한 23명이 옥상 출입구 부근에서 희생
서울 대연각 호텔 화재 사고 ■ 문제점 ■ 대책 - 가스용기를 옥외 불연재함에 보관하지 않고 실내에 보관 - 주배관을 금속관을 사용하지 않고 비닐배관을 사용 - 화재 발생 당시 경보설비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 스프링클러와 같은 자동식 소화설비가 설치되지 않아 피해 증가 ■ 대책 - 주배관을 금속관을 사용 - 소방대원의 진입이 어렵거나 초기소화가 필요한 고층 건물 등에는 스프링클러 설치의무를 강화 - 층별 또는 면적별 방화구획 의 설정
서울 대왕코너 화재 사고 ■ 소 재 지 : 서울 동대문구 ■ 인명피해 : 사망 88명, 부상 35명 ■ 발화일시 : 1974. 11. 3. 02:42 ■ 재산피해 : 2억원 ■ 발화지점 : 6층 복도 천정 ■ 발화원인 : 전기합선 ■ 건물사항 대지 4,900㎡, 연면적 35,700㎡, 철근 콘크리트 건물, 1969년 3월 준공, 복합용도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6층에서 발화
서울 대왕코너 화재 사고 ■ 화재 및 피해상황 - 화재원인은 복도 천장의 20W 조명등 2개가 합선되어 천장 비닐벽지에 착화 - 호텔 투숙객이 불이 난 사실을 발견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알림 - 호텔 종업원들은 발화장소에 있던 소화기로 불을 끄려고 하였으나 실패 - 대부분의 피해자는 나이트클럽에서 발생 - 연기흡입으로 인해 의식을 잃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 - 화재가 진행되는 동안 10명이 6층에서 뛰어내려 6명 사망, 4명 중상
서울 대왕코너 화재 사고 ■ 문제점 ■ 대책 - 1972년과 1975년에도 대형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사고의 대명사 취급 - 화재원인은 전기배선 합선으로 알려졌으나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알 수 없음 - 다른 대형사고와 마찬가지로 사고 당시 경보설비가 작동하지 않음 - 스프링클러와 같은 자동식 소화설비가 설치되지 않아 피해가 증가 - 연결살수설비 역시 작동되지 않았으며 옥외소화전은 열쇠로 잠가 놓음 ■ 대책 - 복합용도의 건물은 층별, 면적별 방화구획 외에 용도에 따른 구획이 필요 - 다중이용시설의 종업원 및 관계자는 물론 출입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
인천 라이브 호프 화재 사고 ■ 소 재 지 : 인천 중구 ■ 인명피해 : 사망 57명, 부상 80명 ■ 발화일시 : 1999. 10. 30. 18:57 ■ 재산피해 : 6천4백만원 ■ 발화지점 : 지하1층 노래방 ■ 발화원인 : 불장난 ■ 건물사항 연면적 856.42㎡, 철근 콘크리트 건물, 1985년 준공, 상가건물로 1층 음식점, 2층 호프집, 3층 당구장, 4층 가정집으로 사용, 지하층에는 비상계단을 포함하여 2개소, 지상층에는 직통계단 1개소가 설치
인천 라이브 호프 화재 사고 ■ 화재 및 피해상황 - 화재가 발생한 지하층은 마무리 작업으로 페인트 도색 실시 - 화재가 발생한 지하층은 마무리 작업으로 페인트 도색 실시 - 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아르바이트 학생 2명에게 청소를 맡기고 퇴근 - 아르바이트생이 청소를 하다가 시너를 갖고 불장난을 하다가 발생 - 지하층에는 인화성 증기가 체류하고 있어서 순식간에 화염이 커졌음 - 주변에 있던 페인트와 시너 등 인화물질로 전파 - 페인트가 마르지 않은 내장재는 빠른 시간에 연소되고 열과 연기는 계단을 통해 2층으로 확산 - 계단에 있던 학생들이 화재사실을 알고 호프집에 알렸으나 술값을 받기 위해 학생들의 피난을 막음
인천 라이브 호프 화재 사고 ■ 문제점 ■ 대책 - 설치비를 줄이기 위해 일반 우레탄을 사용 - 2층 호프집은 유리창문을 나무패널로 막아 희생자들의 탈출을 불가능하게 함 - 인화성 증기가 발생하여 쉽게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에서 환기를 하지 않았음 - 비상시에 사용할 소화기가 없었음 ■ 대책 - 밀폐된 공간에서 폐인트 작업 등을 할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환기 - 화재의 위험이 있을 때에는 소화기를 반드시 비치 - 선진국과 같이 안전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곳은 보험가입이 거부, 또는 많은 보험료를 지불하게 함으로서 안전시설에 적정한 투자를 유도
서울 시민회관 화재 사고 ■ 소 재 지 : 서울 종로구 ■ 인명피해 : 사망 53명, 부상 76명 ■ 발화일시 : 1972. 12. 2. 20:27 ■ 재산피해 : 3억5천만원 ■ 발화지점 : 무대장치 ■ 발화원인 : 전기 ■ 건물사항 연면적 10,540㎡, 철근 콘크리트 건물, 1955년 우남회관으로 기공, 1961년 11월 시민의 전당으로 다시 개관, 본관 1층부터 4층까지 공연장으로 사용 5층 이상은 사무실로 사용
서울 시민회관 화재 사고 ■ 화재 및 피해상황 - 화재는 공연이 끝나고 6분 정도가 지난 후 발생 - 5W전구 240개를 설치하고 전선은 30m 떨어져 있는 소켓에 연결 - 공연 중 전선을 밟아 피복이 벗겨져 합선으로 퓨즈가 끊어져 조명이 꺼짐 - 시민회관 조명실 기사가 함석부분을 이어 휴즈를 통하지 않고 배전판 조명등 전선을 직접 연결한 것이 과열되어 합선이 되면서 발화
서울 시민회관 화재 사고 ■ 문제점 ■ 대책 - 방화구획이 되지 않았음 - 무대를 비롯한 벽체와 천정에 목재가 사용되어 빠르게 연소가 확대 - 공연장 화재에 대비한 진압훈련과 대책이 미비 - 많은 관객들이 밀려나와 소화가 지연되고, 고가사다리로 인명을 구조하였기 때문에 상층의 소화가 지연 ■ 대책 - 방화구획을 설정 - 공연장 화재에 대비한 진압훈련과 대책 수립 - 화재발생시 대피 요령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