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역동이론 5강 생애주기와 성격장애 이재현 교수
구강기의 인격장애는 기본적 의존욕구(신뢰욕구)의 좌절로 말미암은 것으로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해서 의존할 대상을 찾아 헤매는 의존적 성격이 되거나 이와 정반대로 기본적 신뢰관계를 잘 맺지 못하고 깊은 관계를 피하는 분열형 성격이 될 수 있다 의존형과 분열형 성격의 공통적 특징은 거절에 대한 불안(rejection fear)이다 >>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잘 해 주거나 결정을 미룬다 구강기 성격
신앙적 견지에서 볼 때 의존 욕구의 좌절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신앙적 견지에서 볼 때 의존 욕구의 좌절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의존 욕구의 좌절을 통해서 불완전한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을 찾게 되기 때문 ☞ 실제로 신앙적 성숙한 사람 중에는 과거에 의존적 욕구의 심각한 좌절을 겪은 사람이 많다 (ex: 요셉) 단 의존적인 성격의 사람의 경우 사람의 인정을 받으려고 애쓰는 경우가 많고 하나님을 체험적으로만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감정이 잦아들면 다시 불안과 회의가 밀려옴). 의존적 신앙인
분열형 성격 반면 분열형 인격은 좀처럼 친밀한 관계 안으로 들어오려 하지 않는다. 혼자 일하거나 놀기를 선호하고 타인의 감정표현에 대해 무반응하다. 마치 고통과 동정을 느끼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 성급하게 많은 지지를 해 주거나 거리를 좁히려 하기보다 성실한 태도와 수용적 환경을 제공하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 분열형 성격
의존적 성격은 일상적 일이나 결정을 스스로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의지하는 것이 특징 의존적 성격은 일상적 일이나 결정을 스스로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의지하는 것이 특징. 혼자 있을 때 무력함을 느끼고 중요한 타인의 보증을 필요로 하고 다른 사람의 요구에 순종하는 경향이 높다. 수용받기 위해 자신을 낮추고 학대까지도 잘 참고 견딘다. 친구가 떠날 것을 염려하여 부당한 요구도 계속 견뎌내는 여학생 의존적 성격
회피적 성격은 낮은 자존감, 거절에 대한 극도의 예민함, 사회적 두려움, 자신이 부적절하다는 의식 때문에 인간관계에서의 자기억압 등을 특징으로 한다. 분열성 성격이 사회적 무관심, 정서적 메마름을 특징으로 한다면 회피적 성격은 사회적 관계를 갖고자 하지만 불안과 염려가 특징적이다. 회피적 성격은 의존적 성격과 많이 중복된다. 낮은 자존감, 거절에 대한 두려움 등이 공통된다. 단 회피적 성격이 대인관계 시작을 어려워한다면 의존 성격은 대인관계를 끝내는 데 어려움이 있다. 회피성 성격과 의존적 성격
경계성 인격장애는 정서적인 불안정성과 예측하기 어려운 대인관계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성 인격장애는 정서적인 불안정성과 예측하기 어려운 대인관계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간혹 생동적이다가 갑자기 우울해 하다가 갑자기 분노하는 등 종잡을 수 없는 성격) 사람에게 강하게 집착하면서도 거절의 두려움 때문에 그 관계를 장기적으로 지속하지 못하고 스스로 끊어버림 (지나친 이상화와 비하) 자기정체성이나 목표가 불확실하고 갑자기 공허감이나 자기파괴적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경계성 인격장애
유아의 자율적인 행동이 제한되고 좌절될 때 유아는 스스로를 수치스러운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유아의 자율적인 행동이 제한되고 좌절될 때 유아는 스스로를 수치스러운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이 때 형성되는 성격장애는 크게 우울 성향과 강박 성향으로 나뉠 수 있다. 우울 성향은 아이의 분노가 표출되지 못하고 자신에게 향하는 것. 심한 자책, 무기력. “나는 제대로 뭔가를 할 수 없는 수치스러운 존재”라는 자의식을 갖게 됨 항문기 성격
강박 성향은 자기 안의 분노가 표출될까 불안하여 자기 감정을 억누르므로 매우 꼼꼼하고 빈틈 없어 보이는 사람이 된다 강박 성향은 자기 안의 분노가 표출될까 불안하여 자기 감정을 억누르므로 매우 꼼꼼하고 빈틈 없어 보이는 사람이 된다. 타인에게도 엄격하고 약한 모습을 가차 없이 비난하는 사람이 됨.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모습.\ >> 이지화(intellectualization)의 경향이 있으며 논리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강박 성격
강박적 성격장애는 완벽을 추구하고 원칙을 강조하는 삶에 비해 정서적으로는 위축되어 있다 강박적 성격장애는 완벽을 추구하고 원칙을 강조하는 삶에 비해 정서적으로는 위축되어 있다. 자신과 가족을 희생하면서까지 일의 완성도를 추구한다. 현대사회에서 비교적 잘 적응하는 성격. 스스로를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융통성이 없이 원칙에 집착하고 타인이 자신의 방식을 따르지 않을 때 같이 일하기를 꺼린다. 자신과 타인에게 돈을 쓰는 데 인색하다. 강박적 성격장애
남근기: 3~6세 사이 유아가 자신의 주도성(initiative)를 갖느냐 그것이 좌절되어 죄책감(guilt)을 갖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 되는 시기 상상력이 풍부해져서 자신이 얼마나 블록을 높이 쌓을 수 있는지 얼마나 높은 데까지 올라갈 수 있는지 등을 시험해 보고자 함. 성기에 대한 집착 >> 엄마를 소유하려는 환상 >> 거세 콤플렉스>> 경쟁자인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통해 극복한다. 적절한 좌절(optimal frustration)을 통해 성숙해간다. 남근기의 특성
히스테리적 인격 히스테리적 인격은 남근기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적절하게 통과하지 못했을 때 결과되는 인격장애이다. 최초 이성(엄마, 아빠)에 대한 사랑의 좌절을 적절하게 경험하지 못한 경우 무의식 속에 계속적인 죄책감을 품게 되거나 모든 이성에 대해 자신을 애정의 대상으로 여기는 병리로 발전할 수 있다. ☞ 이른바 왕자병, 공주병의 특징 히스테리적 인격
히스테리 성격은 자기과시가 심하고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된 표현을 한다 히스테리 성격은 자기과시가 심하고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된 표현을 한다. 그러나 이것은 진짜 표현되어야 할 감정(심리적 갈등)을 피하려는 방어수단이므로 감정표현이 피상적이다. 히스테리 성격의 특성
이성 부모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좌절을 경험하고 성숙한 관계를 맺지 못했을 때 영원한 아빠의 공주님, 또는 엄마의 남자로서 가진 무력감과 비애를 감추기 위해 과도한 (성적) 자기표현을 한다 히스테리 성격의 신앙인은 아주 감정적이고 극적인 신앙체험을 선호한다 이 성격은 오이디푸스시기의 욕망의 좌절과 초자의 형성이 사회화의 중요한 기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유아기 부모로부터 심하게 거절당하고 적대적으로 키워진 경우(예컨대 가혹한 처벌)나 완전히 방임되어 적절한 훈육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가 많다. 사회적 규율을 무시하고 책임의식의 결여.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타인에게 해를 끼침. 반사회적 성격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