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교수 : 장 덕희 교수님 이 름 : 최 종술 학 번 : 03BDM13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T 프로젝트. 경쟁의 심화, IT 환경의 복잡성 IT 프로젝트 실패의 지름길 (1/2) 출처 : How Projects Really Work (version 2.0)
Advertisements

Marketing Mix Integration BIG STAR TEAM 산업공학 김대근 유전공학 이큰별 국제경영 김지호 국제경영 김희정 국제경영 채교륜 MARKETING STRATEGY 3G CARE ‘ 금연초 ’
ㅋㅋ 다른 집단과 명확히 구별되는 가치체계와 지식 그리고 그에 부합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가치체계 - 사회복지사윤리강령, 선서 등 기본요소 완성 지식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시험으로 완성 기술 - 명확하지 않으나 실습, 보수교육을 통해 완성 Client.
경기케어센터 산재의료관리원 강원케어센터 진폐장해인을 위한 전문복지시설 강원케어센터. 경기케어센터 순서 강원케어센터 강원케어센터 소개 1 시설현황 2 이용안내 3 입소절차 4 주요서비스 5.
LEGAL RISK for DOCTORS 기업분쟁연구소 소장 조우성 변호사 MANAGEMENT 법무법인 한중 파트너 변호사.
제 1 장 실버산업의 기초적 이해. 1. 실버산업의 개념 1) 실버산업의 정의 (1) 좁은 의미의 정의 고령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고령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지칭 제공하는 산업을 지칭 생물학적 노화와 사회경제적인.
객혈의 원인과 치료 국립목포병원 흉부외과 김 대 연 2010 년 9 월 28 일. 국립목포병원 대기중의 공기를 호흡하여 기도를 통하여 기관지를 거쳐 폐포에 이르게 하여 모세혈관을 통하여 산소는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는 배출하는 가스교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 시행) 수강학생들은 첨부자료를 다운 받아, 수업시간에 가져오기 바랍니다.
◎ 사회복지학과 ◎ 김금하 김무근 노경림 방미선 정지혜
가족 복지론 5주차 : 가족사정 2교시 : 가족사정 김 정 미 교수.
서비스 경영 3. 고객만족과 서비스경영.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산업재해보상보험 원무관리 제 5 강 (화) 강의실 9호관 506호 보건행정학과 2학년 B,C반.
乖乖♂坐好 开始♂上课.
제6과 이전에 이런 복통이 있으셨나요? 第六课 您以前有过这样的腹痛吗?
圣诞快乐 乖乖♂坐好 开始♂上课.
SAP PI System 접근 Guide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2]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 (10 /14 ) 5.18 민주화 운동과
E-Business 사례 및 성공전략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홍일유 교수.
인본주의 이론.
신개념 이동형 옥외광고 매체제안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정 1. 고령이나 질병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 또
직업재활실습 김은비.
제6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이론 38 / 58.
제2절 법인세의 계산구조와 세무조정 1.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회계와 사회 결산서상 당기순이익
PART 01 케어복지의 이론과 기초 CHAPTER 02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TCM PROGRAM 개요.
헬스 케어 산업의 선도를 추구하는 “에쓰엔피 케어” - 청년 CEO 500 프로젝트 -
전략및조직관리 이민우.
14장 지식 (5,6절) 전현철( ).
제5강 가족복지의 이해1(개념,기능,목표).
트레이닝의 기본원리 트레이닝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달시키고자 하는 체력요소를 목표 수준까지 증진시키는 것이다. 가 과부하의 원리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1. 과학적 진단.
제 5 장 노인상담과 사례관리.
2017년 고객만족도 개선안 ▣ 2016년 고객만족도 결과를 참고하여 점수가 낮은 항목에 대한 원인 및 2017년 개선안을 작성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선과제는 해당부서장/PI실/CS리더가 모여 회의 후 도출 예정입니다.
? 왜 질문하지 않는가?.
제16장 지역사회대상 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전남련외)
WSDL 의공학과 3학년 김 기 흔.
사회복지실천과 기술.
4.19 혁명의 원인과 과정, 결과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2]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9/14)
2.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Outsourcing도입전략방식의 연구
O2 PLUS Marketing Plan
TCM PROGRAM 개요.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조형일(WGU한국어과 교수)
Case management 사례관리.
현장 작업자를 위한 업종별 교안 2013-교육미디어-1451.
울산동구정신보건센터 2012년 7월 2일~ 7월 27일 (4주간) 윤찬란.
Resource Bank - Plan of Operation
Case Management란 의사소통과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제공된 의료서비스를 사정하고 계획하고 수행하고 조정하고 Monitor하며 평가하는 협력적인 과정이다. High quality, cost-effective outcomes.
생산성 Level-Up을 위한 변화관리와 문제해결 실무 본 과정은 체계적인 변화관리와 문제 해결 방법론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론 제 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정신보건 사회복지 제17장.
8단계 3층을 완성한다 Case 1 Case 2 Case 3 Case 4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사회복지행정학과 조원석 사회복지행정학과 정미숙.
Ch2.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
노인복지실천.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제1부 사회복지 윤리의 이해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제1부 사회복지 윤리의 이해
8장 가족과 건강가족기본법 제정배경 주요내용 분석.
사례관리의 이해.
그러나 사회복지사- 실천현장에서 2가지 이상의 가치 내지 윤리가 상충되는 가치갈등으로 인해 윤리적인 딜레마를 겪게 된다.
생산가능인구 (약 3,600만 명)의 약 5.6 % 200만 201.5만 187.2만 전체 176.6만 153.5만 100만
Ⅳ. 기술과 발명 Ⅰ. 청소년의 이해.
정 신 건 강 론 가정에서의 병리문제 가정폭력에 대해.
ISP 및 시스템 분석 3장 일반적 정보시스템 개발 절차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안 상 협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지도교수 : 장 덕희 교수님 이 름 : 최 종술 학 번 : 03BDM13 제5절 사례관리 지도교수 : 장 덕희 교수님 이 름 : 최 종술 학 번 : 03BDM13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목 차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목적과 개입원칙 사례관리자의 역할 사례관리 과정

사례관리(case management)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 개인과 지역사회를 분리시켜 개입하기 때문에 개인의 사회적기능을 회복시키고 동시에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려는 사회복지의 목표 달성이 어려움(Morales, 1981) 전통적 사회복지실천방법의 특별한 관계를 통한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려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한계가 있음 사례관리는 전통적 사회복지실천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체계적인 문제의 사정을 거쳐 클라이언트의 복잡한 욕구를 해결하여 줄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방법으로 1970년대 등장 함

등장배경 (전재일 외, 사회복지 실천론,2003) 서비스 조정기관의 필요성 : (미)1960, 사회복지 기본정책의 공적인 자원이 서비스 대상에 포함 시행 중 복잡한 문제나 욕구를 가진 사람들이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 1970, 서비스통합프로젝트 시도 체계대행자(System Agents)의 필요성 인식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지 서비스 : 탈 시설화 운동, 지역중심의 서비스가 질적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연구 욕구의 다양화 : 기존 사회복지 방법에 한계점 극복 대안 사회복지 실천방법의 점검 : 서비스의 이원화(물질적, 정신적) 동시 충족 시킬 수단으로 사례관리 출현 (양옥경 외, 2002) 탈시설화의 영향 : 탈시설화로 한꺼번에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지역사회에 거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분산된 서비스를 통합하는 관리체계가 필요 복잡하고 분산된 서비스 체계 : 서비스전달체계가 공공부분에서 민간부분으로 이양되면서 서비스 중복을 막기 위해 조정하고 연계하는 기능이 필요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책임 : 지역사회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 열악하여 가족들은 보호 부담을 느꼈고, 따라서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들이 자원을 개발하고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기능이 요구됨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신체 및 정신장애인이 증가하면서 지역사회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를 조직하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활동이 필요 서비스 비용 억제 : 서비스간에 중복을 피하고 비용효과를 높이는 전문기술이 필요

사례관리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개념 Client Level(이용자중심) Coordination of Services(서비스조정)  서비스의 패케이지화 Integration(통합) Continuity of care (케어의 계속성)  기관을 초월/ 일관성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클라이언트 복합적인 서비스 니즈(needs) 서비스자원(사회자원)  공식적인 자원/ 비공식적 지지 원조자 팀

사례관리의 정의 사례관리란 ? 다양한 보호차원(level)들을 하나의 관리체계 속에서 이해하고, 지역사회 중신의 보호에서 긴급하거나 또는 만성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를 보호하는거으로서 (Brody,1987),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그들의 복지를 위해 공식적 · 비공식적 지원과 활동의 관계망을 조직 · 조정 · 유지하는 것을 의미함. 사례관리의 기본 개념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조정하여 줌으로서 지역사회 차원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음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 : 개인과 지역사회를 분리시켜 개입하기 때문에 개인의 사회적기능을 회복시키고 동시에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려는 사회복지의 목표 달성이 어려움(Morales, 1981)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나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가 개별적인 기관이나 전문가 등의 지역사회내의 서비스제공자들을 일일이 찾아다니지 아니하고 사례관리자로부터 필요한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통합적인 서비스전달방법 임.

정의 - 1983 Peter Johnson : 원조주체를 사회복지 사에게 두고 대상은 요원호자로 하여 요원호자가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서비스 방법은 사회복지사가 책임을 가지고 요원호자를 다양한 서비스 체계에 연결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1987 R. Parker : 요원호자를 위하여 모든 원조활동을 연결조정하는 것 - 1989 D. P. Moxley : 원조주체는 어떤 사람 또는 팀으로서 복수의 욕구를 가진 사람들에게 사 회생활의 기능이나 복지를 최대한 향유할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 공식 또는 비공식적인 지원 네 트워크를 조직화하고, 조정하고, 유지하는 것 - 1990 마에다(前田大作) : 허약하고 장애가 있는 노인 등 중복 니드를 가진 사람들, 그리고 정신 적이고 신체적인 장애 때문에 현대사회의 고도화되고 전문화된 각종서비스나 민간단체, 친구, 이 웃사람들의 지원을 자기자신으로서는 적절하게 활용할수 없는 사람들에게 니드에 맞는 서비스를 받게 하고, 또는 민간단체, 친구, 이웃 등으로부터 가능한 범위의 지원을 받게 하기 위한 목적 으로 일련의 원조 조치로서 서비스 네트워크 내에서 상호협력활동을 하는 것 - 1992 시로자와(白澤政和) : 재가의 클라이언트에게도 시설 수용자와 같이 항상 클라이언트의 니드의 변화를 주시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언제든지 제공하는 것 - 1987 루빈(Rubin) : 지역사회에 있는 복합적인 서비스전달체계와 연계하여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보장하는 것

- 1987 미국사회사업백과사전(NASW) : 복잡한 여러가지 문제와 장애를 자진 클라이언트가 적합한 형태로, 적절한 시기에, 그들이 필요로하고 있는 모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것이며, 따라서 이것은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1981, Goldstein : 기관의 범위를 넘어 서비스를 종합하는 것 - 1983, Johnson&Rubin : 케어의 계속성을 달성하는 것

사례관리의 목적과 개입원칙 사례관리의 목적 - 서비스와 자원을 활용해서 클라이언트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발전 시키도록 돕는다. - 클라이언트의 복지와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망과 관련이 있는 대인서비스 제공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서비스와 자원을 전달하며, 서비스 효과성을 향상시킨다. 사례관리의 개입원칙 - 서비스의 개별화 :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상황에 맞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서비스 제공의 포괄성 :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광범위한 지지를 연결하고 조정, 점검한다. - 클라이언트의 자율성 극대화 : 클라이언트가 선택할 자유를 최대화 하고, 지나치게 보호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을 보장한다. - 서비스의 지속성 :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점검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서비스의 연계성 : 복잡하고 분리되어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를 연결 한다.

사례관리의 목적(Moxley,1989) - 서비스와 자원을 활용해서 클라이언트가 생활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발전시키도록 돕는다 - 클라이언트의 복지와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망과 관련이 있는 대인서비스 제공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서비스와 자원을 전달하며, 서비스의 효과성을 향상시킨다. 사례관리의 개입원칙(Gerhart, 1990) : 서비스의 개별화서비스제공의 포괄성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의 극대화 서비스의 지속성 서비스의 연계성

사회복지사의 역할 체계대행자, 중개자로서 역할 강조 1992 오스틴(Austin) : 사회복지사는 광범위한 자원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하고, 많은 서비스제공자들과 잘지내야하며, 소비자들이 실제로 서비스를 잘 받도록 책임을 지며, 서비스가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책임지고 사후지도하며,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와 체계로 부터 최대한 급부를 받도록 돕는 역할 을 수행한다 사례관리자의 역할 사례관리자는 치료자, 중재자, 연결자, 조정자, 옹호자, 협상제공자 등 다양하게 역할 한다. 그리고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관련이 있다. 즉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포괄적인 욕구를 인식하고 적절한 서비스와 자원에 연결해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례관리 과정 사정 - 욕구와 문제사정 : 클라이언트와 함께 용구와 문제의 목록을 만들고 개입의 우선순위를 정함 - 욕구와 문제사정 : 클라이언트와 함께 용구와 문제의 목록을 만들고 개입의 우선순위를 정함 - 자원사정 : 문제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공식적, 비공식적 자원을 클라이언트와 함께 사정, 자원을 구체화하고, 이용성/ 수용성/ 적정성/ 접근성을 고려한 자원 목록 활용 - 장애물사정 : 환경 / 클라이언트의 능력/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신념, 태도, 가치 등 계획 - 1단계 : 상호 목적수립하기(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신뢰관계, 클라이언트에 대한 현재 상황을 충분하게 사정하는 것이 전제 조건이다.) - 2단계 : 우선순위 정하기(욕구를 명확하게 하고 문제를 파악해서 우선 순위를 정한다.) - 3단계 : 전략 수립하기(목적을 달성하는 전략(개입, 기법)을 정하는데, 클라이언트와 브레인스토밍할 수 있다) - 4단계 : 전략 선택하기(클라이언트의 상황, 능력, 여건 등을 고려해서 그 중 최선의 전략을 선택한다.) - 5단계 : 전략 실행하기(실행할 시간과 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정한다. 실행 후 평가하여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목적설정이아 계획과정으로 다시 돌아간다.)

개입 - 내부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직접적 개입으로 사례관리자는 실행자, 안내자, 교육자, 정보제공자, 지원자로 기능한다. - 외부자원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간접적으로 개입하는데 이때 사례관리자는 중개자, 연결자, 옹호자로 역할 점검 - 서비스제공과 지원에 대해 사례관리자가 실행하는 활동적이고 유동적인 과정을 말한다. - 서비스계획을 적절하게 실행하고 있는지, - 서비스와 자원계획목표를 어느정도 성취했는가 - 서비스와 사회적 지지는 어느정도 산출했는가, - Ct 의 욕구 변화를 점검해서 서비스계획을 바꾸어야 하는지 등을 검토한다. 평가 - 사례관리자가 만들고 조정한 서비스계획, 구성요소, 활동 등이 ct 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는 과정이다. - 평가는 ct 에 관한 서비스와 개입계획에 관한 평가, 목적달성에 대한 평가, 전반적인 사례관리 서비스효과에 대한 평가, ct 의 만족도에 관한 평가 등이 있다.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통합적인 서비스전달방법 임.

각 학자의 사례관리 과정(최성연, 1997) Steinberg & Carter(1983) 사례발굴 → 사정 → 목표설정,서비스계획 → 보호계획 → 실행 → 점검 Weil(1985) 클라이언트 확인 접근 → 사정과 진단 → 서비스 계획과 발굴→ 서비스와 클라이언트 연결 → 서비스 실행과 조정 → 서비스 전달체계 점검 → 옹호 → 평가 Moxley(1989) 사정 → 계획 → 개입 → 점검 → 평가 Doll(1991) 홍보 → 사정의 결정수준 → 욕구사정 → 보호계획 → 보호계획 실행 → 점검 → 재평가

사례관리실천의 함의 사례관리는 사회기능에 문제가 있는 개인의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 성장 발전하도록 개인과 주변환경을 변화시키는 개입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 통합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재가중심보호, 정신보건, 직업재활, 노인복지서비스, 발달장애서비스 등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