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가정과 행복 이정전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우리는 행복한가 ( 한길사 ). 목차 서론 소득과 행복 행복의 역설 문제의 제기 행복의 기반 붕괴 혼외출산과 미혼모 문제의 시사점 동거 문제의 시사점 높은 이혼율의 시사점 건강한 가정 건강한 가정의 육성 결론.
Advertisements

건양대학병원 정신과 알코올 중독 치료 5 주년 1 알코올 중독 치료 5 년 간의 경과와 치료 성적 건양대학병원정신과 기 선 완.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2. 교환과 특화
아동복지란? 아동복지 33 / 64.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좋은 수업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수석교사 조경희.
1. 갈등관리매뉴얼의 필요성과 목적 갈등관리방식의 변화 갈등관리 매뉴얼의 작성의 필요성 정책추진방식 갈등관리방식 특징
2018 교육 및 연수 연간 일정표 - KSSA Total Education & Benchmarking Program -
2016 교육 및 연수 연간 일정표 - KSSA Total Education & Benchmarking Program -
인사조직 부분 컨설팅성공사례 ㅡ조직혁신(Organization Innovation) 컨설팅 사례연구ㅡ
제4장 인력구성과 관리. 제1절 인사관리의 기초이론. 제2절 직무분석 및 직무평가의 이해. 제3절 인적자원의 유형과 내용
제 5장 서비스 프로세스관리.
사업장의 교육이론과 실제 산업안전교육원.
『대기업-중소협력업체 안전보건 공생협력 프로그램』 추진 사업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Ⅰ. 사회복지실천 개별사회사업 사회복지실천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지역사회복지.
제6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이론 38 / 58.
사회복지실천론 박 석 돈 사회복지실천론.
설계를 위한 분석단계 사용자, 과업, 맥락.
제2절 법인세의 계산구조와 세무조정 1.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회계와 사회 결산서상 당기순이익
1. 지역사회개발 모델 2. 사회계획 모델 3. 지역사회 행동과 개혁 모델
PART 01 케어복지의 이론과 기초 CHAPTER 02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C사 영업부문 교육체계 교육체계수립 Process 인재육성의 기본전략 교육체계 수립방향 직무별 교육체계 Road Map
합리적.동태적 정원모형 설계.
1) AS-IS프로세스 분석 [3] BPR팀 2단계추진목표
Oracle의 인적자원관리 Oracle Korea /
제11장 사회복지 실천 모델의 종류 아낌없이주는 사랑.
의료보장의 성격 노인의료보장의 제도와 방법 노인의료보장정책의 문제점 및 과제
마 케 팅 Marketing 관리적 접근 제 3판 제2부 마케팅 환경분석 제3장 소비자 행동분석
리더십 개발론 제 1 장 리더십의 개념과 본질 신 형 재 교수 숭실대 경영대학.
경영성과 극대화를 위한 TPM 활동.
제9장 사회복지 실천 접근 방법 사회복지실천론(이종복외)
효율적 인력운영을 위한 정원산정 기법.
STONE THERAPY STONE THERAPY 이지영 이찬미.
BISCO International® 본 자료는 비서 및 사무 전문가들의 국제적인 협회인
IPP사업단 Vs 듀얼공동훈련센터 강원대학교.
CONFLICT MANAGEMENT IN WORK TEAMS: THE ROLE OF SOCIAL SELF EFFICACY AND GROUP IDENTIFICATION.
한국비영리 조직에 관한 거버넌스 : 공정성, 투명성, 효율성 기조강연 한국글로벌사회봉사연구소 소장 박종삼.
2011년 이순신 리더십 한국경영인력연구원/ (02) /
사회복지실천과 기술.
제1부 의료사회복지실천 개관 1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장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직무 3장 의료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이해.
직무 분석 Job analysis 【 직무 분석 방법 】 > 직무 분석 개념 설명 > 직무 분류 체계도 작성법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1).
제3강 : GO 코칭 기획안 작성.
< 참고자료 > 변화시대의 리더십.
3차시. 모순 해결을 통한 혁신 김효준 대표.
제4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매트릭스 구조 (matrix organization)
1강의 :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유형 2강의 : 사회행동의 전략과 기술
청소년문제와 대책 이미리 이보화 이상자 이상화 이상환 이성균 이성원 이영훈 이윤희 이정현.
사회복지실천론 3장 장덕희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조직 행동 1. 개인 행동 차원 - 성격 - 지각 - 동기 부여 2. 조직 내 개인들의 상호작용에 형성되는 집단 행동 차원
경력개발제도 타사 사례 검토 ………………………… ………………… ……………… ……………… ……………… ……………… ………………
3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영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장 우 심.
사회환경의 수준 : 미시, 중간, 거시체계.
사회복지사와 리더십 박병순(2010졸업).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실천론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C사 영업부문 교육체계 교육체계수립 Process 인재육성의 기본전략 교육체계 수립방향 직무별 교육체계 Road Map
전문교과 이론과 실습의 연계통합 수업 방법 강사 우 연 재.
8단계 3층을 완성한다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h2.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
사례관리의 이해.
1. 한국사회의 사회복지는? 2. 한국사회의 사회복지사? 3.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은?.
토론의 기술 3 쟁점분석과 입론.
사회복지실천론 이수천 M.A., Ph.D. -사회복지통계연구소-.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의 현장 이해.
Problem Based Learning
교수 : 오봉욱 사회복지실천기술론 8주 1강.
Presentation transcript:

사회복지개론 변동철 교수

지난 시간 복습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 미국사회복지사협회(NASW) - 사회복지실천의 목적(goals) 첫째는 개인의 문제 해결, 문제 수습 및 발전 능력의 확대 둘째는 개인에게 자원, 서비스, 기회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개인을 연계 셋째는 개인에게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효과성과 작동 역량의 촉진 넷째는 사회복지정책의 개발과 개선

지난 시간 복습 2. 사회복지실천의 지식 기반 ⋅사회복지실천은 인간 발달과 행동,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제도들, 이러한 제반 요인들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3. 인간행동에 관한 세 가지 접근 ⋅사회복지실천을 위해서는 인간행동에 관한 기본적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사회복지실천에서 인간행동은 의료모델(medical model) 시스템모델(sysrem model), 생태모델(ecological model) 등 세 가지 모델이 있다.

지난 시간 복습 4.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서 사회복지사의 6개 핵심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4.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서 사회복지사의 6개 핵심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 서비스, 사회정의,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인간관계의 중요성, 성실성, 역량 5. 미국 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을 6개 차원에서 규정하고 있다. -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적 책임 - 동료에 대한 윤리적 책임 - 기관에 대한 윤리적 책임 - 전문직으로서의 윤리적 책임 - 사회복지사 전문직에 대한 윤리적 책임 - 사회에 대한 윤리적 책임 6.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사가 지켜야 할 기본 가치와 일반 사회의 가치가 충돌할 경우 윤리적 갈등에 직면한다.

지난 시간 복습 7. 우리나라의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도 미국 사회복지사협회의 윤리강령을 참고하여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채택한 바 있다. : 전문,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8. 사회복지실천은 역사적으로 두 가지 노선이 긴장관계를 형성해 왔다. ⋅원인을 강조하는 노선 - 인보운동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기능을 강조하는 노선 - 자선조직협회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6. 제너럴리스트와 스페셜리스트 * 사회복지실천 기능 - 기능 강조 노선 - 원인 강조 노선 * 긴장 : 철학적 차이에 기인 - 제너럴 실천(general practice) - 스페셜 실천(special practice) * 긴장 : 방법론(methodologies) 상의 차이에 그 원인 - 1920년대 이후 -> 사회복지사들의 활동 영역이 다양하게 확대. 전문화(specialization)의 길로 나아감. 이를, - 전문화의 확산(professional dif­fuse)이라고 부름 - 전문화된 사회복지실천을 스페셜 사회복지실천 (special social work)이라 함. - 전문사회복지사를 스페셜리스트(specialist practitioners)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문제 해결 과정(problem-solving process) ①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 ② 가능한 문제 해결책을 찾음 ③ 문제 해결책을 평가 ④ 목표 달성에 가장 효과적인 문제 해결책을 선택 ⑤ 문제 해결책을 실천에 옮김 ⑥ 문제 해결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제너럴리스트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 ① 카운슬러(counselor)는 클라이언트에게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침을 준다. ② 교육자(educator)는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을 교육한다. ③ 중개자(broker)는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자원을 연계시킨다. ④ 케이스매니저(case coordinator or case manager)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적절한 서비스를 조정한다. ⑤ 동원가(mobilizer)는 지역사회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구성원을 조직 한다. ⑥ 조정자(mediator)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분쟁이나 갈등을 해결한다. ⑦ 촉진자(facilitator)는 클라이언트에게 집단 경험을 제공한다. ⑧ 대변자(advocate)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을 대변한다.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제너럴실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과목 인문학,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실천윤리, 사회복지가치와 철학,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원조 기술, 인종적 다양성, 사회변화의 과정, 인간관계의 이해 등이 권고. -> 제너럴리스트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폭넓고 다양한 개입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제너럴 실천의 핵심 요소로서 제너럴리스트가 상황을 사정하고, 적절한 개입 수단을 강구하는데 필수적.

제6장 사회복지실천기술 1.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2. 케이스워크 3. 케이스매니지먼트 4. 가족치료 5. 그룹워크 6. 지역사회복지실천 7. 사회복지행정

제6장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 과거 : - 케이스워크(casework) - 그룹워크(group work) - CO(community organization) * 오늘날 : - 마이크로 수준(micro level) – 개인을 대상 일대일(one-to-one basis)의 실천 - 메조 수준(mezzo level) - 가족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실천 - 매크로 수준(macro level) - 조직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실천과 사회복지 관련 법률과 사회복지정책의 변화를 추구하는 실천

제6장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1) 마이크로 실천 (1)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역할 중 대표적인 것 - 케이스워크(casework)가 대표적 기술 (1)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역할 중 대표적인 것 ① 카운슬러(counselor) 역할 - 알코올 문제 상담 ② 교육자(educator) 역할 - 아동 학대 부모에게 아동관리 방법에 관해 교육 ③ 중개자(broker) 역할 - 노숙자에게 임시 거처나 재정적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곳을 연결 ④ 케이스매니 저 역할(case manager role) - 클라이언트의 편에 서서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

제6장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2) 마이크로 - 메조 실천 2) 마이크로 - 메조 실천 - 가족사회복지실천(family social work)이 대표적 기술 - 가족 성원의 성장 욕구 및 정서적 욕구가 충족되도록 원조 10대 자녀와 부모가 갈등에 빠졌을 경우 가족사회복지사 (FSW)는 양자가 서로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족사회복지사(FSW)는 가족의 위기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가족사회복지사(FSW)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사회복지실천기술이 가족치료(family therapy)이다.

제6장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3) 메조 실천 - 그룹워크(group work)가 대표적 그룹워크의 대상 > 치료 집단(treatment groups) :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고, 잘못된 행동을 수정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 > 태스크 집단(task groups) :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거나 집단 외부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

제6장 사회복지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4) 매크로 실천 (1) 매크로 실천의 세 가지 기술 ① 기관정책 또는 공공사회정책을 변화시켜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급여를 확보. ② 기관 또는 지역사회 수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 ③ 기관 또는 지역사회 수준에서 새로운 사회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