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동물 8단원 문제 이지수, 이경미, 곽금도, 박인선, 전용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hapter 4 인간게놈 프로젝트 (Human Genome Project). 1. 게놈 (genome) 이란 - DNA :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로 A, T, G, C 라는 염기로 구성 - 유전자 (gene) : DNA 가운데 특정 단백질로 발현되는 DNA - 염색체.
Advertisements

實驗用 動物의 分類 Copyright ⓒ LEESJ corp All Rights Reserved.
Albert Ellis 의 인지적 이론. 2. 생애 · 1913 년 피츠버그 (Pittsburgh) 에서 출생하여 브롱크스 (Bronx) 거리에서 성장 · 부모는 좋은 사람이었지만 무관심하였기에 고독하게 자람 · 12 살 때 작가가 되기로 결심 · 원하는 모든 것을 하기.
KHIDI 보건산업진흥포럼 염소계 형태와 특징 2. 요도퍼 형태와 특징 할로겐계 살균제 살균소독제 특성비교 1. 사용시 유의점 2. 보관시 참고사항 계면활성제계 살균제 1. Quat 의 형태와 특징 2. 비구아니드계 형태와 특징 살균소독제.
병원미생물학 감염성 질병의 전파 - 역학 Epidemiology.
성취평가제의 이해와 적용. 2 4 기준 성취율 성취기준 1 성취기준 2 성취기준 3 A성취수준기술 A B성취수준기술 B C성취수준기술 C D성취수준기술 D E성취수준기술 E standard level description … 성취수준 기술 평정 성취기준 성취기준.
항균제 내성률 ( ~ ) Table 1. 그람음성균의 항균제 내성률 (%) 균주별 항균제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Acinetobacter baumanniiEnterobacter.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나라 이름 맞히기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 모둠별 문제 선택 기회 – ex) A 10  답 기회 – 각 모둠별 문제당 1 회. 감점 ( ⅹ )  각 문제당 힌트는 모두 6 개 - 첫번째, 두번째 힌트에서 정답을 맞추면.
Food poisoning. Risky food  food poisoning What makes us sick?  음식물의 열악한 저장  적절히 요리되지 않은 음식 (esp chicken)  Cross contamination( 교차오염 )  Infected.
신증후군출혈열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급격한 고열, 발적, 고열증상, 일시적인 신장 및 간장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Hantavirus 속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전염성 출혈성 질환군.
기름이 그린 그림 < 2007 ~ 2008 태안 진행 과정 >.
<조별 과제 발표> 각 조별 산업분야에 대해 ICT를 활용한 시설과 운영방법
Diseases and Microorganisms
A variety of microorganisms can cause disease
식중독에 대한 이해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박 학 재.
목 차 그 간의 진행사항 향후 진행사항 바베스열원충 ’16년 수행계획 토의
공무국외여행보고서 (제22회 European Congress of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ECCMID) 학회참석 및 연구 결과 발표)
Living in a Microbial World
1.Activation of tolerant TCR transgenic CD8+ T cells.
박호균 김경태 안정호 최미영 이연경 권순범 윤종찬
VITEK 2 동정 및 감수성 카드 평가 2009년 4월 16일 미생물파트 김 명 숙.
1. 식품 위생의 개요.
병원 감염 관리 이론과 실제 송 재 훈 성균관 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 감염관리실.
기능성화장품 관련 사항 허찬우 화장품연구소.
회 사 소 개 서 09.
Strength S W Weakness O T Opportunity Threat SWOT분석 강점 약점 → 약점에 대한 보완책
감염질환의 개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백 경 란.
장과 건강 주)뉴팜부설연구소 쏘해피
생물안전2등급 연구시설(BL2) 이용안내.
물의 전기분해로 생성한 신 물질 친환경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Clean Medi Plus TM
실험동물이란? 중앙실험동물㈜ 작성일 :
세균(細菌, Bacteria) 특 징 원핵세포 구조 폭 1㎛ 내외의 구형 또는 막대형의 단세포형
[ Nocolyse ] [ Nocotest ] [ Nocobox ].
Providencia stuartii 에 의한 급성중이염 1예
제5강 마우스 제 3장 생물학 박재학 SNU LAM.
10주차 그람음성 구균.
혈액배양배지의 비교 미생물계 박지연.
기계공학과 D조-손세민 봉하경 서홍우 서정훈 이태우 이희준 이한솔 이태규
MicroScan 김정미
제 1장 식품 위생의 개요 1. 식품의 의의 인체의 형성과 생활 에너지 공급에 필요한 영양소를 최소한 한 종류 이상 함유하고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천연품 또는 인공품으로서 섭취할 수 있는 것 식품위생법의 목적 식품에 의한 위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식품영양의.
Living in a Microbial World
미생물의 생장최적온도 및 가열살균 원리 모든 미생물은 생육가능한 온도 범위가 있으며, 증식온도 범위에 따라서 미생물은
(Hemorrhagic fever with 동반하는 Hantavirus속 바이러스에 의한
HACCP KGMP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2006 EUGENE ENC COMPANY 1. 정의
실험 3 광전소자 강의내용 광전소자란? 광전소자들의 동작 원리 및 특성 전기적신호를 빛으로 빛을 전기적신호로 변환 발광다이오드
Vancomycin 내성 장알균.
식품미생물학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문재남.
제1장 미생물학이란 알래스카와 러시아 사이의 베링 해협을 촬영한 위성사진에서 청록색으로 보이는 지역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농도가 높은 곳이다. 이것은 cocoolithophore라 불리는 작은 세포들의 단일군집임을 확인.
수확 후 안전성.
조혈모세포 이식 4조 권근희 최윤도 이지영 이첫째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
봄철 피부관리 오휘 중동지사 이채은.
9주차 병원감염.
Pseudomonas aeruginosa와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한
사업계획서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지역을 위하여 (가칭)00 밥집.
수술 후 5일되는 날 perfusion 한 18, 20, 21, 22번 mouse BBB test :
Hantavirus Infections: HFRS, HPS
문화행사기획 (3강) 이화동.
레몬과 감귤즙 추출액의 농도에 따른 항균성 실험
제 6 장 마우스와 랫드의 질병.
알코올성 간염 (alcoholic hepatitis)
SUPER POWER OF PLACENTA
Ⅱ. 조사표 세부내용.
격리방식 개방방식 폐쇄방식 배리어방식 분리방식
여름패션의 끝! 명품 선글라스를 특별가에 만날 수 있는 기회!
Basic Microbiology.
접수번호 : MWC 2015 한국공동관 참가 지원서 - 프로젝트명(서비스/콘텐츠) : 업 체 명 :
2007년 한•일 공동 식물바이러스 심포지엄 및 정기 학술 발표회
Korea Animal Health Products Association
창의적 신소재 공학설계 Mouse of Design 최 충 후.
Presentation transcript:

실험동물 8단원 문제 이지수, 이경미, 곽금도, 박인선, 전용호

● 미생물 모니터링 항목의 중요도에 맞게 나열된 것은? ● 미생물 모니터링 항목의 중요도에 맞게 나열된 것은? A<B<C<D<E A=B<C<D<E A>B>C>D>E 4.A=B>C>D>E 5.A<B=C=D<E 답 : 3번 A – 인수공통전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B – 실험동물에 치명적인 병원체 C – 실험동물에 질병을 일으키고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병원체 D – 기회 감염되는 병원체 E – 실험동물의 미생물학적 상태를 알 수 있는 표시자 역할을 하는 병원체

● A category에 속하는 병원체는? Ectromelia virus Sendai virus Staphylococcus aureus 4.Mouse hepatitis virus 5.Hantavirus 답 : 5번 1, 2, 4 – B category 3 – D category

● Bacteria 중 Mouse 모니터링 병원체는? Citrobacter rodentium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species 4.Staphylococcus aureus 5.Streptobacilus moniliformis 답 : 1번 나머지는 Mouse와 Rat 공통 모니터링 병원체

● Ringtail에 관하여 옳은것은? 고습도 상태에서 관찰된다. 4. 금속으로 된 케이지에서 잘 나타난다. 습도가 65%일 때 나타난다. 습도와 관련된 감염성 질병이다. 4. 금속으로 된 케이지에서 잘 나타난다. 5. 꼬리 혈관의 확장에 의한 혈액장애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답 : 4번 1번 – 저습도 상태에서 관찰된다. 2번 – 습도가 60% 이상일 때는 나타나지 않는다. 3번 – 습도와 관련된 비감염성 질병이다. 5번 – 꼬리 혈관의 축소에 의한 혈액장애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 실험동물이 미생물에 감염되었을 때 실시하는 소독으로 옳은 것은? 1차 – 포르말린 훈증소독 2.2차 – 약물소독 3.3차 – 약물소독 4.2차 – 포르말린 훈증소독 5.답 없음. 답 : 2번 1차 – 약물소독 2차 – 약물소독 3차 – 포르말린 훈증소독

1. 특정병원균부재 동물로 특별히 지정된 병원성 미생물이 없는 동물이며, 배리어 시설에서 유지하는 동물은? ① 무균동물 ② Gnotobiotic animal ③ SPF animal ④ Converntional animal 답 : 3

2. Mouse에는 감염을 일으키지만 Rat에게는 감염을 일으키지 않는 미생물로 옳은 것은? 가. Ectromelia Virus 나. Mouse hepatitis virus 다. Citrobacter rodentium 라. Hantavirus 답 : 가, 나, 다 Hantavirus는 두 동물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킴

3. 실험동물에 치명적인 병원체로 Mouse pox를 일으키는 모니터링 항목은? ① A category ② B category ③ C category ④ D category 답 : 2 A는 인수공통전염병이고, C는 실험동물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D는 기회감염병원체, E는 실험동물의 미생물학적 상태를 알 수 있는 표시자 역할을 하는 병원체이다.

4. 모니터링 대상 동물이 표본수와 표본 추출방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모집단의 표본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유병률과 무작위 표본 추출이 있다. ② 병원체의 유병률에 따라 그 병원체를 검출할 수 있는 표본수는 달라져야 한다. ③ 여러 종류의 동물을 혼합 사육할 때는 각 종류별로 적어도 5마리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④ 장내 원충의 경우 어린 동물이 감수성이 높다. 답 : 3 적어도 8마리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

5. 비감염성 질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Barbering ② Hantavirus ③ Ringtail ④ 피부창상 답 : 2 Hantavirus는 인수공통전염병을 일으키는 A category에 속하며 Mouse와 Rat 모두에게 감염을 일으킨다. Barbering은 사회적인 우세의 표현으로 서열이 높은 개체가 낮은 개체의 털이나 수염을 뽑는 것, Ringtail은 저습도에서 나타나는 현상, 피부창상은 투쟁, 꼬리물기, Barbering에서 나타남

Q1. 다음 용어에 대한 개념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VAF-바이러스 항체가 없는 동물 ②MVF-설치류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지 않은 동물 ③COBS-제왕절개 전 배리어 시설에서 유지하고 있는 동물 ④MPF-설치류의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어 있지 않은 동물 ⑤APF-실험동물의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어 있지 않은 동물 정답: ③ COBS는 제왕절개 후에 배리어 시설에서 유지하는 동물이다. ①②③④⑤

다.Sendai virus 라.Hanta virus Q2. 다음중 B category에 속하는 것은? 가.mouse pox 나.MHV 다.Sendai virus 라.Hanta virus ①가,다 ②나, 라 ③가, 나, 다, 라 ④가, 다, 라 ⑤가, 나, 다 정답: ⑤ Hantavirus는 A category에 속한다.

Q3.bacteria에서 유일하게 마우스에만 감염되는 것은? ①Pseudomonas aeruginosa ②Salmonella spp ③Streptobacilus moniliformis ④Citrobacter rodentium ⑤Bordetella bronchiseprica 정답:④ bacteria는 Citrobacter rodentium를 제외하고 모두 마우스와 랫드 둘 다 감염된다.

Q4. 다음 중 미생물 모니터링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폐기동물(9개월 이상)과 이유기 동물(4~5주)을 혼합하여 검사 한다. ②성별은 회전 방식으로 암컷과 수컷을 교대로 검사한다. ③여러 종류의 동물을 혼합 사육할 때는 각 종류 별로 적어도 8마리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장내원충의 경우 어린 동물이 감수성이 낮으므로, 장내원충 검사를 위해서는 성숙한 동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연령에 따라 분리 동정할 수 있는 병원체의 종류가 다르다. 정답: ④ 장내 원충의 경우 어린 동물의 감수성이 높으므로, 장내 원충 검사에는 어린동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②③④⑤

Q5. 사회적인 우세의 표현으로 서열이 높은 개체가 낮은 개체의 털이나 수염을 뽑는 것은? ①Ring tail ②피부창상 ③barbering ④부정교합 ⑤Clearing 정답: ③ 비감염성 질병- Ring tail, barbering, 부정교합, 피부창상 Clearing: 쉽게 구매가 불가능한 동물은 자궁절제나 수정란 이식과 같은 방법으로 감염된 동물을 SPF동물화 하는 과정

1.명확하게 동정된 한 종 또는 그 이상의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무균동물에 정착시켜 만든 동물이며 isolator에서 유지 되어야하는 것은? 1. SPF animal 2. Conventional animal 3. Gnotobiotic animal 4. 무균동물 5. COBS 동물

2. 옳은 것을 고르시오 1. A category – 실험동물에 치명적인 병원체 2. B category – 인수공통 전염병 3. C category – 기회 감염되는 병원체 4. D category – 실험동물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실험 동물에 질병을 일으키고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병원체 5. E category – 실험동물의 미생물학적 상태를 알 수 있는 표시자 역할을 하는 병원체

3. B category에 해당되는 병원체 모두 고르시오 1. Hantavirus 2. mouse pox 3. LCMV 4. Sendai virus 5. MHV

4. Ring tail에 대해 옳은 것을 고르시오 1. 고 습도상태에서 마우스와 랫드에서 관찰된다. 2. 습도가 60%이상에서 잘 발생한다. 3. 금속 케이지를 사용하면 덜 발생한다. 4.저 습도에서 꼬리 수분이 날아가 심한 경우 괴사되고 꼬리가 떨어진다.

5. 사회적인 우세의 표현, 상처가 없고 경계가 명확하게 털이나 수염이 탈모된 것이 특징인 비 감염성 질병은? 1. Barbering 2. Ringtail 3. 부정교합 4. 피부창상

germfree animal 다음 실험동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gnotobiotic animal SPF animal conventional animal 1) 생화학적분류 2) 진화적 분류 3) 미생물학적 분류 4) 돌연변이 분류 5) 영양요구성 분류 *기타 미생물학적 분류 COBS : 제왕절개 후 배리어시설 유지 동물 VAF : 바이러스 항체가 없는 동물 MPF, APF, MVF 등. 정답 : 3 (미생물학적 분류) germfree animal(무균동물)-검출 가능한 미생물이 없는 동물 gnotobiotic animal – 명확하게 동정된 한 종 또는 인위적으로 무균동물에 정착시킨 것 > (isolator에서 유지) SPF animal – 특정병원균 부재 동물 (배리어시설) conventional animal – 일반사육동물 (일반사육시설)

2) B category - 실험동물에 치명적인 병원체 미생물모니터링 항목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A category - zoonosis 2) B category - 실험동물에 치명적인 병원체 3) C category - 질병을 유발하진 않지만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병원체 4) D category - opportunity disease 5) E category - 표지자 역할의 병원체 정답 : 3 C category는 질병을 유발하며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는 병원체

3. A category에 해당하는 병원체로 옳지 않은 것은? 1) sendai virus 2) Salmonella spp. 3) LCMV 4) Dermatophytes 5) Hantavirus 정답 : 1 sendai virus는 mouse pox, MHV, 등과 같이 치명적인 병원체로 B category 에 해당

모니터링 대상 동물의 표본 추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연령에 따라 분리 동정할 수 있는 병원체의 종류는 다르다. 2) 모니터링 표본 추출 시 폐기동물과 이유기의 동물을 혼합하여 실시한다. 3) 장내 원충 검사 시 어린 동물은 면역력이 좋아 나이든 동물을 사용한다. 4) 성별은 암컷과 수컷을 교대로 검사한다. 5) 여러 종류의 동물을 혼합 사육한 경우 종별 최소 8마리를 검사한다. 정답 : 3 장내 원충 검사시 어린동물이 감수성이 높아 어린동물을 검사한다.

5. 설치류의 자궁 절제술에 있어 수술 전후의 확인사항이 있다. 다음 중 수술 당일에 확인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1) 기자재의 멸균 2) 수술 및 태반에서 세균검사 3) 수술용 isolator의 무균 1차검사 4) 수술용 isolator의 무균 2차검사 5) 자궁절제술 일자의 확정 정답 : 2 기자재의 멸균 3일전 수술용 isolator의 무균 1차검사 7일전 수술용 isolator의 무균 2차검사 3일전 자궁절제술 일자의 확정 15~20일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