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가. 심폐소생술 이란 ? Busan School Safety and Insurance Association 심폐소생술(CPR, Cardiacpulmonary Resuscitation)이란?
Advertisements

취급제한 · 금지물질 제도 안내 취급제한 · 금지물질 제도 안내 대구지방환경청 ( 환경관리과 ) 대구지방환경청 ( 환경관리과 )
취급제한 · 금지물질 제도 안내 취급제한 · 금지물질 제도 안내 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 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위험물규제업무처리규정 ( 개정자료 ). 개정목적 이동탱크저장소 및 이송취급소의 허가 품명 지정기준을 개선하여 화재예방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물류편의를 증 진하고, 통계조사 기준일을 개선하여 통 계자료의 적정성을 제고하고자 함.
회 사 소 개회 사 소 개회 사 소 개회 사 소 개 CLEAN WATER CO., LTD. 주식회사 크린워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번지 시화공단 4 마 205 호 T : , F :
BUCKET형 자동창고 시스템 제안서 제출처 : 년 10월 00일 1.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진단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 환경진단팀.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자동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옥내 소화전 설비 관련 문제 27. 다음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함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가.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 표시등 나. 가압송수장치의 시동 표시등 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을 기재한 표지판 라.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확인 표시등 옥내소화전함의 표시.
영상정보가 분실.도난.유출.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
정전기 화재 위험… 이렇게 예방 정전기 화재 위험…이렇게 예방하세요[KBS TV ]
고순도 요소수 소개 고순도 요소수가 필요한가? 고순도 요소수 생산 제품 경쟁력 트리우렛으로 백탁 현상 < SCR 고장
투명 비누 만들기.
적격성평가 의약품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
PLISM 컴포넌트 설치 방법.
한국 에이브이엘 ㈜ (AVL Korea)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위험물 개요 Thai Oil 탱크 화재 Level Guage 고장  Tank Over Flow
목 차 2 [제254조] 위험물질 등의 제조등 작업시의 조치 [제255조] 호오스등을 사용한 인화성물질의 주입
浩山 엔지니어링주식회사 ENGINEERING & MANUFACTURE
압축천연가스자동차 연료용기 (CNG Cylinder)
신청 가능한 일정을 확인 후 일정의 평가 내용을 클릭한다. (ex, 정기,서울 트윈)
MGTECH 기업 소개서 관리부 조경원.
Hydrogen Storage Alloys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0. 코스트의 이해 단가 × 양 = 원가 원가는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이다 단 가 양
제3절 인터넷 비즈니스 창업성공전략과 고려사항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기존점주용 파리바게뜨 (OOO) 영업지역 확인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본 페이지 출력하여 자필로 기입/서명 후 스캔본(JPG 또는 PDF파일)을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 기준강화에 따른 개정법령 교육.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간이탱크저장소 1. 정의 간이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2. 특징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공원/녹지 김영록,한규환.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한국소방기술인협회 Fire Protection.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완강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Feb-01 서울 주유소 가격 주유소 가격 정유사 공급가격 1,616 1,515 1,443 1,468 1,409 1,506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완강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위 험 물 의 화 재 및 소 화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사무직 일반 안전교육 시설안전의 기술.
태우그린푸드 축산물가공장 ○조사개요 ○적용 시사점 조사일시 : 2015년 1월 8일
1. 산업안전보건표지란? 01 가. 산업안전보건표지의 개념
Chpt. 1 위험물 개론 위 험 물 질 론 위험물과 안전 관리대책 위험물의 위험성 위험물 시설 위험물제조소 등의 소방시설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옥내저장소 (복합건물) 1. 대상 : 지정수량의 20배 이하의 위험물
합병종료 보고 공고 주식회사 포스코(이하 “당사”)는 주식회사 포스코피앤에스(이하 “포스코피앤에스”)를 흡수합병함에 있어 필요한 소정의 절차를 마쳤기에 상법 제526조의 제1항 및 제3항에 의거, 합병보고주주총회에 갈음하여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 다 음 - 1.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유화 소화 김영년 김정남 심영근 홍소영.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목표 본시 학습 목표 운송 수단별 종류와 특징을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2. 운송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국내 중대재해.
발표 순서 1. 화재발생 개요 2. 신고접수 및 지령 사항 3. 선착대 주요 활동사항 4. 현장활동 문제점 개선대책
학습 주제 p 질량과 부피 측정 방법 알기.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Room No window 6300 (*2) (*2) 4500 고정식 Rack
목차 회사소개 회사연혁 3-1. 취급품목 3-2. 취급품목 – MITSUBISHI MITSUBISHI 제품 판매 실적 5. 사업분야∙내용.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P 물질의 세 가지 상태 - 생각열기 – Q. 자동차에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이 들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모유착유기 구성품 허가ㆍ관리 방안
Environment Sales Group Office
회 사 소 개 서 주식회사 영진특수 회 사 소 개 서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 느티나무 요양원.
Presentation transcript:

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목 차 5.1 위험물제조소 등의 시설기준 5.2 위험물제조소 등의 소방시설 적용기준 5.3 위험물의 저장, 취급 및 운반기준

5.1 위험물제조소 등의 시설기준 - 정의 (위험물 안전관리법 제2조) • “위험물” :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 • “지정수량”: 위험물의 종류별로 위험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으로서 제조소등의 설치허가 등에 있어서 최저의 기준이 되는 수량

• “제조소”: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규정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장소 • “저장소”: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로서 규정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장소 • “취급소”: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로서 규정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장소 •“제조소등”: 제조소·저장소 및 취급소

5.1 위험물제조소 등의 시설기준 5.1.1 위험물 제조소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규정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장소 5.1.2 위험물 저장소 1) 옥내저장소 옥내(지붕과 기둥 또는 벽 등에 의하여 둘러싸인 곳)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2) 옥외탱크저장소 옥외에 있는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3) 옥내탱크저장소 옥내에 있는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4) 지하탱크저장소 지하에 매설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5) 간이탱크저장소 간이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6) 이동탱크저장소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7) 암반탱크저장소 암반내의 공간을 이용한 탱크에 액체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8) 옥외저장소 옥외에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가. 제2류 위험물 중 유황 또는 인화성고체 (인화점이 섭씨 0도 이상인 것에 한한다) 나.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인화점이 섭씨 0도 이상인 것에 한한다) ·알코올류·제2석유류·제3석유류·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 다. 제6류 위험물 라. 제2류 위험물 및 제4류 위험물 중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의 조례에서 정하는 위험물 마.「국제해사기구에 관한 협약」에 의하여 설치된 국제해사기구가 채택한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에 적합한 용기에 수납된 위험물

5.1.3 위험물취급소 1) 주유취급소 고정된 주유설비에 의하여 자동차·항공기 또는 선박 등의 연료탱크에 직접 주유하기 위하여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 2) 판매취급소 점포에서 위험물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기 위하여 지정수량의 40배 이하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장소 3) 이송취급소 배관 및 이에 부속된 설비에 의하여 위험물을 이송하는 장소 4) 일반취급소 1) 내지 3) 외의 장소

5.2 위험물제조소 등의 소방시설 적용기준 5.2.1 소화난이도 등급 Ⅰ의 소화설비기준 5.2.2 소화난이도 등급 Ⅱ의 소화설비기준 5.2.3 소화난이도 등급 Ⅲ의 소화설비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