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리 연구방법론 강의 소개 - 지역보건 기획과 평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0 Table of contents 목차 MK+PLUS communication About us / what we do 회사소개 P how to do 역량과.
Advertisements

1 Lect. 2 : Introduction II Are you ready to begin?
목차 국가 R&D 기획ㆍ조정ㆍ평가 체계 국가 R&D 사업의 조사ㆍ분석 국가 R&D 예산 조정ㆍ배분 국가 R&D사업의 평가
영업기획실무 자료.
인사전략과 인적자원개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DS & Staff Gathering in Fort Worth, Texas
How do They Make Computer Games?
인사조직 부분 컨설팅성공사례 ㅡ조직혁신(Organization Innovation) 컨설팅 사례연구ㅡ
마음을 움직이는 힘, 배려 ! 앞을 못보는 사람이 밤에 물동이를 머리에 이고, 한손에는 등불을 들고 길을 걸었다.
돈이 되는 글쓰기
4장. 마케팅 정보 시스템과 마케팅 조사 마케팅정보시스템 마케팅조사.
SNS의 개인행위 특성요인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5W 1H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 수법 중에 5W 1H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재정 성과관리 제도의 이해 원종학 성과관리센터 한국조세연구원.
Logic Tree 문제 구조파악(Logic Tree작성) ■ Logic Tree란?
Comshare Decision을 이용한 SCM Monitoring
교육평가 및 효과측정 시스템 POSCO 인재개발원 홍 성 근.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hapterⅥ Evaluation management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과 교수 김진호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Strategic Advertising Planning 전략적 광고기획 H B J.
SK 4Front KM 방법론 SK C&C.
Program Management - Program and Project Definition -
품질경영(ISO/FDIS 9001:2008) 개정규격 핵심내용 설명
의약품 급여 및 가격 결정과 경제성 평가의 활용 이태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제5장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제 2 장 기업경영이란.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개요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n Protected Areas Jirisan & Sumjin river 국립공원관리공단 MEE Team.
제 3 강. 소 비 자 행 동 1 과목명 : 마케팅 원론.
의약품 급여 결정 과정에서 경제성평가의 활용 이 소 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관리실.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개관 서울시 광역치매센터장 이 동 영.
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 및 평가 -로직모델을 중심으로 김유심(가양4종합사회복지관장)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의 개념
ERP 시스템의 구축 ERP 시스템의 구축 기업이 ERP 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는 단계에서부터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사후관리에 들어가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활동.
생산운영관리 입문 CHAPTER01 (Introduction to Operations Management)
제왕절개 분만율의 위험도 보정 -방법과 활용을 중심으로 송정국
성공적인 신규사업의 전개와 추진 프레임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신입사원육성체계 및 Mentoring System
Chap 16 managing mass communications
정부연구개발사업의 메타평가 STEPI 과학기술정책 포럼: (금). 국립 밀양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 홍 형 득
사회복지행정론 총정리(3).
삼안 인트라넷 메뉴얼.
경영 마인드의 이해 경영학 원론 제 1조 경영학과 오현기 이진희
치유정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 오현경.
6장. 사회복지의 거시적 실천방법 윤철수 노 혁 도종수 김정진 김미숙 석말숙 김혜경 박창남 성준모 공저.
제8장 지역사회복지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지역사회복지 35 / 67.
사회복지조사론 총정리.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 (2) 변화 발전하는 Site의 미래를 예측 반영해야 함.
13. 이상징후를 찾아내는 방법(5관)의 확대 앞에 나타낸 표는 매우 간단한 것이다. 설비의 어떤 특징을 찾아 낼 것인가는 설비에 따라 서로 다르다. 같은 기계에서도, ► 동적기계 : 예를 들면 회전기계, Motor등 기계 자체가 소리나 진동을 발생하고 있는 것. ►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1)일반적 개발과정
제5장 글로벌 경영환경 분석과 시장의 분석 1. 글로벌 경영환경 분석 2. 시장의 분석 Page  1.
Private & Confidential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1장.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기획 1. 사회복지 프로그램이란? 2. 조직효과성과 책무성.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노무관리, 인사관리,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란? 인적자원관리의 발전 추이는?
Ⅱ. 축제 기획의 실제.
제16대 총장 취 임 사 신 성 철 총장 Inaugural Address of the 16th President
방송대 . 이해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송대 . 이해주
소프트웨어 종합설계 (Software Capstone Design)
PROBLEM SOLVING APPROACH (문제해결접근방식 사전배포자료)
Chapter 6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CHAPTER 1 OPERATIONS MANAGEMENT
참가신청서 작성가이드 참가신청서 작성가이드를 참고하시어 각 페이지를 자유롭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Bug Localization Based on Code Change Histories and Bug Reports
목 표 관 리.
제9장 경영의 통제와 경영정보시스템.
QI 교육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10단계 주정현.
효과적인 PR(홍보) 전략 전술 -한국에이즈퇴치연맹 홍보사업을 중심으로
Presentation transcript:

의료관리 연구방법론 강의 소개 - 지역보건 기획과 평가

기획의 정의와 구성요소 ‘기획’이란? 기획(전략)의 구성요소 현재와 미래에 가용 가능한 자원을 효율적이며 적절하게 사용하여 미래의 명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 기획(전략)의 구성요소 What: 목표가 무엇인가? Who: 누가 할 것인가? How: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Inform Regulate, Mandate Finance Service When: 시간 계획 세부 프로그램

각 단계마다 Priority setting을 위한 기획의 필요성 ‘자원의 희소성’ 각 단계마다 Priority setting을 위한 Decision making이 필요

기획의 순환 과정 해당 인구집단 혹은 지역의 특성 사회경제적 환경, 정책 환경 Need assessment 자원 파악 등 목표, 목적, 목표집단 규명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의 형성과 평가 내용 설계와 예산 기획

평가의 정의와 구성요소 ‘평가’란? 매우 다양한 범위의 활동을 일컫는 용어 “Systematic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information about a program”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by various methods to determine the;” Relevance: correspondence btw the program and the needs Adequacy: adress the entire breadth and depth of the problem Progress: comply with the plan(time, budget, quantity etc.) Effectiveness: Intermediate outcome Impact: long term effect Efficiency: output/input Sustainability: continue after initial funding

(Source: Veney and Kaluzny, 1998)

프로그램 수행 단계별 평가의 구성요소 (Source: Veney and Kaluzny, 1998)

Four Standards for Program Evaluation Utility: Will the activity lead to something useful? Feasibility: Is the activity practical and politically viable? Is the activity cost-effective? Propriety: Is the activity ethical? Does the activity harm anyone? Is the activity honest and responsible? Accuracy: Will the activity lead to accurate results and valid interpretation? (Source: Baker, et al. An evaluation framework for community health programs.2000 )

강의 순서 1. Planning evaluation of community health program 2. Priority setting and decision making in health care 3. Evaluating community health program 1 4. Evaluating community health program 2 5. Monitoring and case studies as an evaluation strategy 6. Survey research and Trend analysis as an evaluation strategy 7. Experimental design as an evaluation strategy 8. Methodological issues 9. Evaluating mass media approach and communication 10.  (특강) 보건사업평가의 실제 11.  과제 발표 1: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평가(영역별) 12.  과제 발표 2: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평가(영역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