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Presentation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모 연화

2 Table of Contents I. 프롤로그 : Dialogue 1 II. Health Communication 개론 2
1. 핵심내용과 당위성 2. 연구 방향 3. 형태와 목적 III. 해외의 약사 Communication 사례 5 1. 주요국 현황 – 미국, 일본, 호주 2.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과 그 효과 IV.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필요성 10 1. 국내 약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 복약지도를 중심으로 2. 문제점 3. Communication 교육 발전방향 V. 결 론 14 Yeonhwa’s 1st Presentation

3 프롤로그 : Dialogue http://www.youtube.com/watch?v=07mmsctS8Qo
Yeonhwa’s 1st Presentation 1

4 Table of Contents I. 프롤로그 : Dialogue 1 II. Health Communication 개론 2
1. 핵심내용과 당위성 2. 연구 방향 3. 형태와 목적 III. 해외의 약사 Communication 사례 5 1. 주요국 현황 – 미국, 일본, 호주 2.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과 그 효과 IV.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필요성 10 1. 국내 약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 복약지도를 중심으로 2. 문제점 3. Communication 교육 발전방향 V. 결 론 14 Yeonhwa’s 1st Presentation

5 정의 (Definition) Go to Appendix 추구 “건강”에 대한 태도의 변화 핵심 내용
기관 및 학자에 따라 Health communication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나, 그것의 핵심내용은 1) 건강관련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2) 행동의 변화, 3) 이해와 지식증진 4) 정보의 교환으로 나뉘어짐. 출처 : 현대원 외 (2010). Health 2.0 : 헬스케어의 새로운 패러다임 P.19 추구 의사결정에 영향 행동 변화 이해와 지식증진 정보 교환 미국 보건복지부(‘05)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 보건부 (‘06) Exchange (‘06) Smith & Hornik (’99) Ratzan & Ohters (‘06 & ‘94) Clift & Freimuth (’95) Mutri (‘05) Kreps & Thornton (’92) Bernhardt (‘04) “건강”에 대한 태도의 변화 핵심 내용 Yeonhwa’s 1st Presentation 2

6 Health Communication의 연구방향
Go to Appendix 국내 Health Communication 연구는 비록 초기단계이나,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대부분은 “미디어를 통한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관련 ” 에 집중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1)의료전달 관점 을 토대로 직접적, 본질적인 Topic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연구 Topic 중심의 연구 의료전달 관점 건강증진 관점 Communication이 건강관리 정보 전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관심 분야 건강위험을 예방 및 공공건강을 위한 캠페인 개발, 실행 및 평가 대인 커뮤니케이션 (의사-환자, 약사-환자 )이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Mass Communication 중심 Yeonhwa’s 1st Presentation 3

7 Health Communication Mechanism
형태와 목적 Go to Appendix Health Communication은 1) 미디어에 의한 one-way 전달방식, 2) 의사 및 약사와의 상담방식 (two-way) 및 3)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e-Health 형태로 발달함. 목 적 단순한 지식전달이 아닌 행동변화 Health Communication Mechanism 의료 소비자 Yeonhwa’s 1st Presentation 4

8 Table of Contents I. 프롤로그 : Dialogue 1 II. Health Communication 개론 2
1. 핵심내용과 당위성 2. 연구 방향 3. 형태와 목적 III. 해외의 약사 역할 현황 5 1. 주요국 현황 – 미국, 일본, 호주 2.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과 그 효과 IV.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필요성 10 1. 국내 약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 복약지도를 중심으로 2. 문제점 3. Communication 교육 발전방향 V. 결 론 14 Yeonhwa’s 1st Presentation

9 주요국 현황 Go to Appendix Yeonhwa’s 1st Presentation 미 국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of 1990 (OBRA’90) 제정 : 약사의 고객 응대 시 의무 강화 1) Prospective Drug Use Review 2) Patient Counseling 3) Maintaining Proper Patient Records 호 주 약 140여년 간 약국 실무 통제 관련 법령 하에 약사의 의무를 명시 (1876년 제정) 처방 조제 약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시, 의사 뿐만 아니라 약사에게도 책임 부과 => Two way Communication 활성화 일 본 1992년 의료법 개정으로 약제사, 간호부를 추가로 “의료인”으로 규정 1993년 소리부진 사건 (피부치료제와 항암제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부작용으로 환자사망) 으로 언론과 시민들이 약력관리와 복약지도의 중요성 인식 Yeonhwa’s 1st Presentation 5

10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 (1) 및 효과
Go to Appendix 미국에서 약사와 의료 소비자 간 Communication은 1) Pharmacy Care Process 및 2) OBRA’90 등의 90년대 말부터 ‘체계적’ 인 프로세스에 의해서 진행되기 시작 최근에는 약국의 환경 및 용어 이해 등에 의해서 생기는 Communication 장벽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으로, 문제점 방지를 위한 ‘매뉴얼’ 관리를 하고, 학생들을 교육 Pharmacy Care Process OBRA’90 Patient Counseling Prospective Drug Utilization Review Patient Information Collect and use patient information Identify patients’ drug related problems Develop solutions to these problems Select and recommend therapies Follow up to assess patient outcomes Yeonhwa’s 1st Presentation 6

11 Building the Relationship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 (2) 및 효과 Go to Appendix 예) Calgary – Cambridge Guide (CCG) (published by Jonathan Silverman) Providing Structure 체계적인 상담절차 확립 1 Building the Relationship 환자와의 지속적인 관계 수립 Initiating the session (상담 시작 단계) 2 Gathering Information (정보 수집) 3 Physical Examination (검사) Explanation & Planning (설명 및 차후(미팅)계획 수립) 4 5 Closing the session (상담 종료) Yeonhwa’s 1st Presentation 7

12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 (3) 및 효과
Go to Appendix 예) 복약지도 : 이해하기 쉽고 오해의 소지를 최소화하도록 그림 위주로 설명 [source] Health Literacy in the Pharmacy –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Patient P578,published by Adam Carlisle 外 Yeonhwa’s 1st Presentation 8

13 Enhancing Health Literacy & Outcome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 및 효과 Go to Appendix 임상적 실행(Clinical Implementation) 시 일부 어려움 (barriers) 에도 불구하고, 매뉴얼에 따른 약사 상담(Pharmacist counseling)으로, 1) 환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게 되고 약사의 권고를 잘 지키게 되었으며 (higher drug adherence ), 이에 따라 3)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증가함. (leading to greater patient satisfaction) Enhancing Health Literacy & Outcome Health Literacy 란? 건강증진 및 유지를 위해 정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고, 개인의 능력을 결정짓는 개인적·인지적 ·사회 기술적 보건교육활동의 산물로 정의 (WHO) [source] Health Literacy in the Pharmacy –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Patient P577,published by Adam Carlisle 外 Yeonhwa’s 1st Presentation 9

14 Table of Contents I. 프롤로그 : Dialogue 1 II. Health Communication 개론 2
1. 핵심내용과 당위성 2. 연구 방향 3. 형태와 목적 III. 해외의 약사 Communication 사례 5 1. 주요국 현황 – 미국, 일본, 호주 2. 미국의 사례 : Communication 방법과 그 효과 IV.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필요성 10 1. 국내 약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 복약지도를 중심으로 2. 문제점 3. Communication 교육 발전방향 V. 결 론 14 Yeonhwa’s 1st Presentation

15 국내 약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 복약지도를 중심으로
응답자 중 43%가 현재 복약지도에 대하여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을 보임 . 환자의 알 권리를 위한 ‘서면형 복약안내문’ 발행에 대해서는 90% 이상이 찬성함. (환자단체연합회 Survey, 설문기간 : ’ – 24) => 복약지도에 대한 시스템 정착의 필요성 대두Pharmacist communication 복약지도의 만족도 서면형 복약안내문 발행 찬성여부 Go to Appendix Yeonhwa’s 1st Presentation 10

16 매뉴얼을 통한 효율적인 Communication skill 발전 모색
Go to Appendix 약사의 Consulting 업무를 위한 근거 법령의 부재로 Consulting 관련 시·공간 부족 - 그러나 관계법령 신설 등의 부분은 현실적으로 상당한 시간 소요. 체계적인 매뉴얼 부재로 약사의 개인 역량에 따라 communication 소통 정도가 결정됨. 매뉴얼을 통한 효율적인 Communication skill 발전 모색 근거 법령 부재 매뉴얼 부재 획일적인 조제중심 업무 상담실 운영시 비용 보조 등 문제 발생 약사 : 약에 중심을 둔 설명 환자 : 약을 포함, 자신의 건강관련 대화 중심 Yeonhwa’s 1st Presentation 11

17 국내 약사 –환자 간 Communication 의 문제점
Go to Appendix 예) 약사 이용법을 모르는 데서 비롯되는 대화 “우리 아이가 머리가 아프대요. 왜 그렇죠?” “아이 귀에서 물이 나와요. 이거 중이염 맞죠?” “다리를 접 질렀는데 인대가 늘어난 거 같아요. 한 번 봐주세요” 환자와 약사 간의 소통이 부족해진 이유는 의약분업 이후를 제대로 준비하고 대처하지 못한 약사들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습니다. 약국에는 약국용 질문이 따로 있고, 병원에는 병원용 질문이 따로 있는데 그것이 교육되지 못한 것도 꽤 큰 소통 부재의 이유입니다. (이하 중략) [우리 아이약, 제대로 알고 먹이나요 中, 모연화 著] Yeonhwa’s 1st Presentation 12

18 Communication 교육 발전방향 Go to Appendix 쌍방이 만족하는 “Two-way” Communication
모델 개발 및 훈련 복약지도 피드백 “데이터”화 해외의 “검증”된 모델을 참고하되 (Four Habits Model, CCG 등), 이를 토대로 국내실정에 맞는 모델 개발 現 약사 및 약대생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 마련 피드백 작성을 위한 “표준 설문지” 개발 데이터베이스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약사 대상 IT교육 의무화 Yeonhwa’s 1st Presentation 13

19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 연 화 拜

20 Appendix 1. 의사의 Communication 발전 2. 국내 복약 안내문 3. Four Habit Model
II. Health Communication 개론 2. 국내 복약 안내문 III. 해외의 약사 Communication 사례 3. Four Habit Model IV.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필요성 4. Calgary – Cambridge Guide (CCG) 5. OBRA’90 Pharmacy Patient Profile 6. Health Literacy 정의 7. Health Communication 연구 목적별 분포 Yeonhwa’s 1st Presentation

21 1. 의사의 Communication 발전 Go to Appendix 2006.9월 : 대한 의료커뮤니케이션 학회 설립.
2010년 의사고시에 의료커뮤니케이션 실습과목 포함. 소통하지 않으면 오진으로 이어지며, 이는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 확대 의사 코칭 최종 모델 [출처]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의사코칭 모델 개발 P7, 나현숙, 권영대, 노진원 著

22 2. 국내 복약 안내문 Go to Appendix “복약지도”의 정의 : 의약품의 명칭, 용법용량, 효능효과. 저장방법, 부작용, 상호작용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 (근거 : 약사법 제2조 16항) 복약지도 의무 태만시, 30만원의 과태료 부과 ( 월 약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시) 국내 복약지도문 sample

23 3. Four Habit Model Go to Appendix
1)Invest in the Beginning, 2) Elicit the patient’s perspective, 3) Demonstrate Empathy 4) Invest in the End 로 구성 [source] 1996 , 2000, Physician Education & Development, TPMG, Inc. No relation to Stephen R. Covey’s book ,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상세 내역

24 4. Calgary – Cambridge Guide (CCG)
Go to Appendix

25 5. OBRA’90 Pharmacy Patient Profile
Go to Appendix

26 6. Health Literacy 정의 Go to Appendix

27 7. Health Communication 연구 목적별 분포
Go to Appendix [출처]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2008년 4월) P58


Download ppt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