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총 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Advertisements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2015 년 1 학기. 김 진 욱 김 진 욱 ( 金 振 郁 ; Gene Uhc Kim) 강의실 : 상허관 221 호 연구실 : 상허관 626 호 Office Hour : 월 15:00-16:30/ 수 10:30-12:00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Volunteer work.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평등 옹호 -John Rawls-.
<실습일정표> 7월 3일~8월 4일(5주)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님비현상과 핌비현상.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사회복지개론 1장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개론 5장 사회복지의 학문적 성격.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사회복지개론 (제15장 사회보장과 사회보험) 변동철 교수
사회복지개론 (제15장 사회보장과 사회보험) 변동철 교수
Ⅱ. 가족복지 정책 가족복지론 최진령.
빅맥지수와 GDP per capita 의 상관도
적십자 이야기.
4장.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영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장 우 심.
CHAPTER 3 여성과 복지국가.
보편주의와 선택주의 보편주의: 전 국민을 사회복지의 대상자로 삼는 다. 시민권(citizenship)에 입각해 하나의 권리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지 수혜자격과 기준을 균등화한다. 선택주의: 사회복지 대상자를 사회적ㆍ신체적ㆍ교육적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청소년복지관계법 11강 제10장 청소년복지관계법 광주여자대학교 오상수 교수 청소년.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Historical Materialism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社會福祉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 석 돈 교수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지역사회 자원활용 및 연계 URL :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 수 박 석 돈
Anyang Volunteer Center
저소득 어르신의 무료급식 지원 및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KOREA NAZARENE UNIVERSITY
공공정책학부 류헤연 공공정책학부 박민경 공공정책학부 박성준 사학과 남윤우 사학과 임경민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마케팅 의사결정과정 시장조사 의사결정 시장 상황 분석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주관 : (사)한국사회복지심리사협회, 강남전문학교 공동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Ch 1. 사회복지의 개념 이해.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교직이수 2학년 학기 초(3월) 선발 선발 기준 교직적성, 인성 및 학업성적 선발 인원 당해 입학정원의 10% 이내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복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 사회적 노력 국민의 인간 다운 생활 보장을 위한 각종 사회보장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제 1 장 총 론

사회복지의 의의 정 의 개인의 복지에 대한 사회적 책임 자기생활 자기책임원칙 자본주의 사회 불가능 사회, 국가가 책임

사회복지의 의의 Welfare = -인간다운 삶- well + being(안녕) + fare(과정:삶) 경제적 - 소득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의료ㆍ주택ㆍ교육ㆍ환경ㆍ문화ㆍ정보ㆍ각종원조 사회적ㆍ문화적 – 사회복지 서비스 희로애락 정서적ㆍ정신적 – 삶(생활) 삶(享有)ㆍ느낌(認識)ㆍ나눔(對話)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 심리학, 정신의학, 교육학… 기술체계 10% 사회학, 심리학, 정치학, 경제학, 의학, 생물학, 법학, 문화인류학..... 지식체계 20% 철학, 신학, 윤리학, 인간학, 법학… 가치체계 70%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 사회복지 실천이론 기술체계 사회복지 실천기술 10% 노인, 아동, 가족, 장애인, 지식체계 저소득층,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 역사, 사회복지조사… 지식체계 20% 인간존중정신 인간애(人間愛) 가치체계 70%

사회복지의 의의 1) 사회복지의 미시적(실천적) 관점 2) 사회복지의 거시적(기능적) 관점 사회복지실천이론 (Case Work, Group Work, Community Organization, Social Development), 사회복지실천기술(치료기술) 2) 사회복지의 거시적(기능적) 관점 정책 : Social Policy 행정 : Social Work Administration 조사 : Social Work Research 운동 : Social Action, 운동 Movement

사회복지의 의의 1. 사회복지를 보는 관점 미시적(microscopic)이념 : 기술론(방법론)-치료적-소매 거시적(macroscopic)이념 : 정책론-예방적-도매복지 잔여적 (Residual)- Wilensky & Lebeaux 선별주의 (Exceptionalism)-Ryan 동정 (Compassion)- Ralp Pumphrey 개별화 된 치료-Clarke Chambers 개인적 문제(Troubles)-c. Wright Mills 임상적 Clinical 인 것- Arthur Peal의 “가 난의 분류” 제도적 (Institutional) 보편주의 (Universalism) 보호 (Protection) 정치적 행동 사회적 문제 (Issues) 구조적 (Structural) 인 것

사회복지의 의의 -사회복지의 분야- 거시적 복지 – 사회, 전체 국민 미시적 복지 – 사회적 약자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험(연금, 건강, 산재, 고용보험) 미시적 복지 – 사회적 약자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개인, 집단, 문제영역, 계층, 지역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사회복지 철학 인간 존중사상 평등사상 국가책임사상

국가별 현황 GDP 대비 복지비지출 (OECD:1980-1995) GDP (%) 국가 1980 1985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한국 -- 4.60 4.44 4.75 4.89 5.04 5.32 일본 9.95 11.38 11.34 11.46 12.05 12.63 13.26 14.06 멕시코 2.12 2.78 3.22 3.41 3.40 3.55 3.67 터키 3.94 3.83 5.85 7.26 6.69 6.54 7.14 6.79 영국 18.32 21.12 19.63 21.28 23.03 22.91 23.05 22.79 미국 13.74 13.41 14.08 15.23 15.98 16.12 16.13 16.26 출처 : OECD Health Data 1999에서 6개국만 선정하였다.

OECD국가의 사회복지지출(단위:% of GDP) 국가별 1999 2000 2001 스웨덴 30.4 29.2 29.5 덴마크 30.2 독일 28.7 28.5 28.8 프랑스 28.9 28.3 이탈리아 25.6 25.8 영국 21.7 22.2 22.4 일본 15.6 26.6 17.5 캐나다 17.4 17.3 18.2 미국 14.6 15.2 멕시코 9.0 9.9 11.8 한국 9.8 9.1 8.7

현실과 문제점의 대두 최초의 체계적 조사 - 1899년 B. S. Rowntree 단순한 육체 능률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생활필수품을 획득하기에 불충분하다면 빈곤하게 살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신체적 건강과 노동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필수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정도의 비용” 기준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미국의 영양학자 Atwater의 이론에 따른 단백질과 최소한의 열량 계산 아침 : 오트밀 죽, 탈지 분유 점심 : 빵과 치즈 정찬 : 야채 고기국, 빵, 치즈, 푸딩 저녁 : 빵, 오트밀 죽 최소한의 피복비, 연료비, 잡비, 집세 사치품비, 선물비, 자선비, 문화 활동비 제외

사회환경과 물가 변동이 급변하는 시대에는 측정 어려움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1936년 “사회적·문화적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신문, 우표, 종이, 라디오, 휴가, 맥주, 담배, 선물 등을 위한 지출까지를 포함하였다. 문제점 측정상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 따라서 사회환경과 물가 변동이 급변하는 시대에는 측정 어려움

충분한 열량뿐만 아니라 충분한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1965년 M. Orshansky 충분한 열량뿐만 아니라 충분한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열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영양의 기준도 변화, 발전한다!! 1단계 – 음식물의 열량을 기준 2단계 – 단백질의 섭취량을 기준 3단계 – 비타민, 미네랄, 기타 무기질 영양소의 섭취량을 기준 4단계 – 오늘날, 섬유질의 섭취량, 즉 Diet식을 기준

소득의 불평등 분배를 전제로 한 평등이념이 등장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절대빈곤이 만연하던 영국의 경우 1899년 York주민의 9.9%가 빈곤상태 1936년 York주민의 3.9%가 빈곤상태 1950년 York주민의 1.7%가 빈곤상태 사회전체가 골고루 소득이 상승했다면 빈곤계층은 언제나 상대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다. 즉, 상대적 빈곤이 중요하게 된다. 소득의 불평등 분배를 전제로 한 평등이념이 등장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1950-60년대 사회보험의 다양한 발전 복지국가의 기틀 마련 사회문제 사회복지의 대인서비스

가족 복지 기능의 상실 전통적인 사회복지사업 1960년대 이후 사회복지사업 오늘날 선진국 정상화이념에서 나온 것임 요보호 노인이나 아동,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주로 시설에 수용 보호 1960년대 이후 사회복지사업 지역사회 속에서, 가족이나 지역주민의 도움으로 문제 해결 오늘날 선진국 대인사회서비스에 관심 요보호대상자들을 가능한 한 지역사회 속에서 도움을 받도록 인도 정상화이념에서 나온 것임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없다.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없다. 일상에서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닐 길버트 혼 외 출생 및 이혼율의 증가, 맞벌이 부부의 증가는 대인 서비스 방법을 필요로 한다.

방법론과 이념의 발전 -시설 수용 보호- 사회복지의 발달사와 시설의 변천사는 깊은 관련성이 있다!! 최초 부랑인들의 집단 수용보호 엘리자베스 빈민법 1601년 근로능력자와 무능력자의 구분 1697년 Bristol에 19개 교구 연합 노역장 설립 1722년 노역장심사법(Workhouse Test)제정

신빈민법(1834)은 결국 사회 불안의 해결과 구제비의 절감이라는 필요에 의해서 제정을 보게 되었다. Gilbert법에 의해 입찰제도 폐지 건강한 빈자 재가구호(out – door Relief) 시 설 보 호 임금의 고정 신빈민법(1834)은 결국 사회 불안의 해결과 구제비의 절감이라는 필요에 의해서 제정을 보게 되었다.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19세기 사회복지시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시설의 형태와 보호 의 내용이 변화되어 오고 있다. 시설의 전문화방법의 기술화 과학화 사회복지 시설의 발달 대상자의 분류화에서 시작 (중세에는 대게 혼합수용, 필요에 따라 내부 구분) 사회복지시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시설의 형태와 보호 의 내용이 변화되어 오고 있다.

시대ㆍ환경ㆍ가치관 등의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지역복지 이념의 대두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시대ㆍ환경ㆍ가치관 등의 변화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또 변화해야 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삶의 질에 대한 정의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 안에서 규정된다. 시설보호자들에 대한 삶의 질 문제도 일반적인 인권 사상과 함께 발전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최종단계의 복지문제 시설의 사회화, 정상화, 탈시설화 이념 시설의 한계점을 지역 복지로 보완하자는 의미 전단계가 완성되고 나서 다음단계 완성 최종단계의 복지문제 -인간의 비인간화 현상

정치ㆍ경제적 이념의 변화 초기 사회복지 민간, 종교적 차원에서 행해짐 종교혁명 이후 특히, 헨리 8세의 수장령 이후 국가의 몫 능동적인 인권의식 때문이 아님! 1601년 엘리자베스 빈민법으로 집대성된 빈민법전은 국가재정의 투입이라는 의미에서 사회복지의 시초로 평가됨 이후 약 200년에 걸쳐 빈민법은 빈민억제법으로 존재해옴

2.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오늘날 복지국가의 사상적 터전 : 프랑스 혁명 – 시민권 신장 국가책임의 사회복지 복지국가 개념 등장 ㅊ 19세기 후반 ㅊ 경제발전과 함께 복지수준의 향상 1950-60년대 ㅊ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급성장 1970년대 ㅊ 복지국가의 위기론 대두 ㅊ 지역사회복지로 전환

인보관∙복지관∙지역사회복지의 성격비교 인보관 종합복지관 재가복지 지역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자 수혜자 재정부담 복지문제 서비스내용 지식인·종교인 ·대학생 전문가 전문가·공무원·주민 수혜자 빈민 저소득층 주민 재정부담 자선가 국가·자치단체·민간법인 국가·자치단체·민간법인·주민 저소득·가족의 복지기능 상실·비인간적 삶 복지문제 빈곤 저소득,가족의 복지기능 상실 저소득,가족의 보지기능 상실 저소득,가족의 복지기능 상실, 비인간적 삶 서비스내용 현물급여 현금급여원칙 수발서비스 복지전문서비스 삶의 나눔 정서적 교류 주민의 태도 방관자 피동적,소극적 참여 피동적,소극적 참여 능동적,적극적 주민의 지위 제3자 제3자·수혜자 수혜자·공급자 서비스 장소 시설 재가 시설 ·재가

3. 사회복지의 목표 사회복지의 목표 ▶공동체 건설 공동체 : 생활과 운명을 함께하는 조직체 혈연공동체 지역공동체 정신적 공동체 특징 : 공동의 목표 - 일치 헌신적 봉사 – John F. Kenedy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사회복지사- 전문직 : Profession Vocation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 White collar Vocation 직업, 장사, 일, 신의 부르심(神命), 천직(天職), 사명(Mission) (특정의 직업에 대한) 적성, 재능, 소질. Business(이익창출)≠profession(봉사) job, occupation, work, Blue collar Gray collar

4.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Ⅰ. 전문직: Profession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 전문직의 조건 W.A.Friedland & R.Z.Apte Special competence(특별한 능력) Distinct techniques(독특한 기술) Practitioner :실력향상을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하는 실천가 전문지식과 기술 책임성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2. 전문직과 실무교육 전문직(Profession) : 실무교육 없는 전문직 : 사회복지사, 교수 가치관, 이론, 실천기술 성직자 : (聖)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을 병행 법률가(판사•검사•변호사) : (正義)사법연수원 의사 : (생명)인턴, 레지던트 교육자 : (人格)초•중•고등학교 교사-교생실습 실무교육 없는 전문직 : 사회복지사, 교수 ※실무교육(실습)이 없으면 수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사회복지사업의 전문직성 고도의 개인적 책임감을 수반하는 지적 활동이다. 계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 이론을 실제에 적용한다. 전문화된 교육적 훈련의 소지와 그 전달성. 전문직업의 조직성과 이익의 향상 공공복지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회적 목적의 성취

개인적 책임감을 수반하는 지적 활동 사회복지사업은 심리학, 사회학을 비롯하여 의학, 생물학, 철학, 정치학, 경제 학, 정신분석학 등 여러 인접학문의 지식을 바탕으로 해서 개인, 집단, 지역사회를 실제로 다룰 수 있는 사회복지사업의 고유한 이론과 기술을 가지 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사는 구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최선을 다 하고 클 라이언트에 대한 직무수행의 책임을 진다.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Ⅱ. 사회복지사제도 1. 사회복지사제도의 변천과정 연도 제도의 내용 1970. 4 1983. 5. 1999. 4. 2003. 4. 2005. 사회복지종사자 자격제도 신설 사회복지사로 명칭변경(1,2,3급으로 구분) 2003년부터 1급은 국가시험으로 ※「사회복지학과 졸업」→「이수과목」기준 제1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시행 시험과목(필수) 변경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필수(10)과목 2. 사회복지관련교과목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3. 선택과목 중 4과목 이상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사회문제론/ 자원봉사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지도감독론/ 산업복지론 / 의료사회사업론/ 학교사회사업론/ 정신건강론/ 교정복지론/ 사회보장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4. 1급 국가시험과목 사회복지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론 4. 1급 국가시험과목 사회복지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5. 사회복지사자격 획득방법 전문대, 대학(필수 10, 선택4) 대학원(필수 6, 선택 2) 학점은행제(대졸자는 필수 10, 선택 4) 사이버대학(사회복지과목 이수) 사회복지사 양성과정(시설종사자 12주, 24주 과정; 공무원과정(8급, 3년 이상, 4주)

사회복지의 변천과 미래 전망 복지 이데올로기의 변화와 복지의 변화형태 복지문제 서비스내용 전달주체 재정 이데올로기 1단계 빈곤 사회보험 공적부조 시설수용 공행정체계 민간시설 국가 자치단체 민간법인 제1의 길: 보수주의(우파) 2단계 가족의 복지 기능상실 수발서비스 전문서비스 전문사회복지사 일반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제2의 길: 사회민주주의 (좌파) 3단계 비인간적 삶 삶의 나눔 지역주민 공동모금 제3의 길: 신자유주의 (신중도좌파)

제 2 장 사회복지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