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me, Criminology & Criminal Law 범죄 ,범죄학, 형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비즈쿨 - 정 성 욱 - - 금오공고 비즈쿨 - 정 성 욱 1. 나는 각 단원들의 활동들에 성실하게 참여 하겠습니다. 우리의 다짐 2. 나는 나와 전체의 발전을 위해 각 멘토들의 지도에 순종하겠습니다. 3. 나는 각 단원들을 숙지함으로써 비즈니스 마인드를 함양하고 자신의.
Advertisements

부산지방법원 박 효 관 수석부장판사 [ 법, LAW, 法 ]  규범  규범의 종류 개인 => 약속, 가정 => 가훈, 운동 => 규칙, 학교 => 교칙, 사회 => 전통, 윤리, 도덕, 법 사람은 혼자서 살 수 없는 존재이므로 공동체 생활이 필요 => 공동체.
인권 ( 人權 ) 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정 수 홍 Through the Human Rights.
LOGO 범죄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이 정 덕 박사. 순 서순 서 1 범죄의 개념 4 우리는 왜 범죄현상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범죄의 유형 형법의 발전 ( 범죄에 대한 시대별 대응방법 ) 범죄의 사회적 비용추정 범죄비용의 구분과 측정방법 2.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조직범죄에 대한 대응. ▷ 애버딘스키 (Abadinsky) 의 주장 헌법적 제약 정부구조적 제약 부패 1. 조직범죄 대응의 제약요인.
©2003 Prentice-Hall, Inc. 1 Theories of Crime Why does a person commit a crime?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Service Operations Management
이상행동의 이해Ⅰ 발제자: 양정화.
사이버 범죄 CYBER TERROR.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ETHICAL ISSUES in the GLOBAL ARENA
2. 성장을 위한 돌봄전문조직 운영모델 (안) 제안
정책설계의 사회의 재구성과 발전적 평가의 활용 - 시스템적 사고와 복잡성 개념을 중심으로 -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Unit 4. Making Inferences
Classical Theory Sociological Theories Labeling Theory
블로그 활용 현황 학과 : 영어영문학과 학번 : 이름 : 정경업
선거론 제7강. 투표행태 1: 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청소년 문제들에 대한 미국의 교육학적 사회복지학적 접근: 다중 문화적, 다중 정신적, 다중 체계적 접근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학습목표> 통합교육의 배경을 이해한다. 통합교육의 개념을 이해한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익인권법센터 국제인권법 강좌 이주민의 인권보호
2014학년도 초등임용시험 특강 - 도덕과 –(추병완)
사회복지의 역사 서구사회복지의 역사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CPTED Concepts and Strategies
도서관의 역사와 철학, 그리고 사회적 역할 건국대학교 이 종 권.
발달장애의 행동문제 신세계 효병원 윤길상.
의료전달체계와 의료공급체계 - 개념 재정립과 정책의제 재조명 -
사회복지의 역사 서구사회복지의 역사 한국사회복지의 역사.
선거론 제6강. 선거와 유권자,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응급의학과 설명회 국내 응급의학의 역사, 현황 및 전망
도덕, 윤리 권효은 남형욱 이병재 이정은.
학/습/개/요 학/습/목/표 인적자원관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에 대해 학습합니다.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생산운영관리 입문 CHAPTER01 (Introduction to Operations Management)
칼빈의 생애와 개혁자로의 변모 사학과 김종식.
미국의 행정과 반부패시스템.
제 6 장 청소년비행.
국제의료관광 관련 법, 제도.
서막 : 심리학 이야기 “나는 인간 행위를 조롱하거나 한탄하거나 경멸하기보다는 이해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해왔다.”
The eight quality management principles are: (품질경영의 8가지 원칙)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제1장 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정책론 총정리(2).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nowledge
제1장 기업과 기업경영 제1부 전략 개론.
Chapter 2 윤리와 가치에 대한 이해.
Chapter 11. 건강가정을 위한 과제와 전망 1. 건강가정을 위한 과제 2. 건강가정의 전망과 미래를 위한 제언.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CHAPTER 9-1 한국의 사회복지정책 - 사회보험제도 -
제2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제7장 지역사회복지실천기술 Ⅰ
Definitions (정의) Statistics란?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Chapter 8 교육과정의 이해.
PBL 토의 회의록 1. 만난 날짜,시간, 만난 사람들 기록 2 책 제목 정하기 - 책 선정하기까지의 과정
1.예수 거룩한 주 예수 생명의 11.예수 권능의 주 예수 19.그 누구도 그 누구도 21.It's all about you.
ISO 9000:2000 이해와 필요성.
제12장 홍콩경찰 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김 순석 교수.
전환교육 (3/19)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기술경영학 박사과정 곽규태 사회학과 석사과정 권애정
사례관리의 이해.
야고보서.
코칭론 강원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건강의 개념.
목재 공예 이치훈 주성우.
경찰학 세미나 제 5 강 경찰관직무집행법 2조 5호의 의미 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김순석.
11월 고등부 공과설교 업드림? 업드림! 갈라디아서 6:9-10.
Presentation transcript:

Crime, Criminology & Criminal Law 범죄 ,범죄학, 형법 Chapter 1 Crime, Criminology & Criminal Law 범죄 ,범죄학, 형법

Crime vs Deviance (p. 5) Crime : 형법을 위반하는 행위나 의도 Behaviors or Intentions that violate Criminal Law Deviance: 사회적 규범에 벗어난 행위 - Deviance refers to the study of behavior that departs from social norms. Included within the broad spectrum of deviant acts are behaviors ranging from violent crimes to joining the nudist colony. Not all crimes are deviant or unusual acts and not all deviants act s are illegal. 모든 범죄가 일탈은 아니며 모든 일탈이 범법은 아님 (미성년자 흡연 vs 장애인 화장실 설치)

Criminology? (p.4) Scientific Approach to studying criminal behavior. 범죄 행동을 연구하는 과학적 접근 “ Criminology is the body of knowledge regarding crime as a social phenomenon. It includes within its scope the processes of making laws… The objective of criminology is the development of body of general and verified principles and of other types of knowledge regarding this process of law, crime, and treatment. (Sutherland & Cressesy)”

3 Criminal Justice System 형사사법 체계 Policing 경찰 -> Court 법원 –> Correction 교정 교정 correction (광의의 교정) 시설 내 처우 (institutional correction): 구치소 (jail), 교도소 (prison) 사회 내 처우 (community correction): 보호관찰(probation), 사회봉사(community service), 벌금 (fine) 교정본부: 시설 내 처우 관할 (소년교도소 포함) 범죄예방정책국: 사회 내 처우 & 소년사법 (juvenile justice )

Views of Criminology 범죄학의 시각들 (p.12) 고전적/선택적 시각 (classical & choice), 개인적 요인 상황적 힘, 범죄는 자유의지를 가진 개인적의 선택. 처벌이 범죄를 억 제할 수 있음 생물학적/심리학적 시각 (biological, psychological,)개인적 요인 내적인 힘, 화학적, 신경학적, 유전적 특성, 인성, 지능 등 정신적 특성 이 범죄의 원인 구조적 시각 (structure), 사회적 요인 생태학적 힘, 삶의 환경, 조건, 문화적 힘, 규범 갈등 과정적 시각 (process), 사회적 요인 사회화의 힘, 양육, 학습, 통제가 영향을 줌. 또래, 부모, 교사가 영향을 줌 갈등적 시각 (conflict), 정치경제적 요인 한정된 자원을 위한 경쟁과 권력, 계급갈등이 범죄를 초래함 발달적 시각 (developmental), 복합적 요인 복합적 힘, 위의 모든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범죄가 발생

A Brief History of Criminology p 6~13 1.고전 범죄학 Classical Criminology - 18세기. 벤담 “공리주의” 득과 실을 저울질 - 베카리아 “범죄에 관하여” (On Crimes and Punishment) “Severe, Certain, Swift Punishment” 2. 실증주의 범죄학 Positivist Criminology - 19세기 과학적 방법에 기반, 추측이나 신념이 아닌 직접관찰에 의한 지식의 획득 - 롬브로소 :생물학적 실증주의, 타고난 범죄자 (born criminals) - 케틀레, 뒤르카임: 사회실증주의 3. 시카고 학파 Chicago School , Social Ecology - 20세기 도시지역에서 작용하는 사회적 힘이 범죄의 자연지역을 형성 4. 사회심리학적 범죄학 Social-Psychological Criminology - 1930,1940년대 사회화가 범죄를 이해하는 열쇠 5. 갈등과 범죄 Conflict Criminology - 계급갈등과 범죄를 조장하는 사회적 조건 분석, 경제제도가 높은 범죄율을 초래하는 조건 6. 발달범죄학 Developmental Criminology - 모든 원인론을 통합. 범죄경력의 생애과정 검토, 왜 범죄를 시작, 강화, 중단 하는지 7. 현대범죄학 Contemporary Criminology - 위의 여섯 가지 이론들이 현대적으로 해석되며 계승 발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