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기록학 제1장. 의무기록/정보와 보건정보관리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정선병원 간호팀 1 의사 order 시행지침 정선병원 2 병동 수간호사 송 만 자. 정선병원 간호팀 2 차례 1. 목적 2. 정의 3. 구두지시 적용 기준 4. 구두지시 수행 기준.
Advertisement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취업대비 학과별 지도계획 [ 생명화공과 ] 강사 : 문창준 Consultant ( 연락처 : ,
영남대학교의료원 기획조정실 의료정보팀 ( 금 ) 기획조정실 의료정보팀 장 준 이.
미디어 생태계 파괴자, 종편. 요구내용 관련 법안 의사결정구조현재진행상황 KBS 수신료 인상 ( 광고 폐지 ) 방송법 - KBS 이사회 의결 - 방통위 의결 - 국회 승인 방통위 의결 임박 채널 재배치 - 없음 - 방통위 정책 결정 및 PP, SO 사업자간 계약 - 사업.
훈련생 수강평가 훈련과정을 이수한 훈련생이 해당 훈련과정 에 대한 평가를 통해, 훈련기관은 다양한 의견 수렴의 용도로 활용되며, 훈련희망자 는 수강 전 기초 자료로 활용 훈련기관에 대한 정부의 지원 보조 자료로 활용 더 좋은 훈련과정 발굴 및 정책개발.
정보보안 담당자 교육 자료 일시 : (금) 장소 : 광주교육정보원 대강당 발표자 : 백창범.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국제 임상화학회 학술대회 및 당화혈색소 네트워크 연례정기회의 참석-
학 과 : 토목공학과 담당교수 : 김 수 용 분반,조 : 301분반,4조 조 이 름 : 다 크 호 스
교회운영위원회가 생기면 교회가 어떻게 달라지나?
의료경영학과 졸업 요건 Glocal 사회인이 되기 위한 자격.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국내 말 임상 분야 소개 한국말임상수의사회.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P O C T 현황 진단검사의학과 응급검사파트 유 내정.
허가사항 초과 약제 비급여 사용 승인 근거 :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 호 ( )
제1장 병원 경영의 이해 및 병원 환경의 변화.
(GlucometerPOCT) 개발시험계 응급검사 원 영 철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현장실습(Co-Operation) 소감 발표
수술 환자의 안전사고 예방활동 수술전 점검표 개선과 수술부위의 확인체계 수립 수술환자 안전사고 예방팀: 예경아
ISO 14001: 2015 개정전.후 차이점 비교표 ■ ISO 개정표준의 조항 구조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 사용방법(의료기관)
2018 YTN ∙ HUFS 학생영어토론대회 - 대회규정 준수 및 심사결과 동의서
동영상 제작과정 (홍보용 CF) Lee Sunghoon 1.
원가 관리 규칙 개정이력 개정일자 개정번호 ㈜합동전자 페 이 지 HDC /3 개정번호 개정일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1. 이의신청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기 마이페이지 ▶계약이행능력평가 ▶이의신청관리 ▶물품분류명 ▶신청 No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2012년 8월 2차 QI 활동 방법 지표 관리 회의록 작성법
개인설정.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외과병동에서 시행되는 Wound dressing시 처치/재료 입력 누락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보 안 규 정 제1장  총  칙 제1조【목  적】 이 규정은 주식회사(이하 "회사"라고 한다)의 기업비밀을 보호하고 보안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반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규정은 회사에 근무하는 전 임직원 에게 적용한다.     단,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Problem-Based Learning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Part 3 호텔 연회장 경영 Ch 01 호텔 연회의 개요 Ch 02 호텔 연회 서비스와 예약업무 Ch 03 연회서비스 실무.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2018학년도 2학기 상담심리대학원 학위청구논문 진행 절차
의료급여 정신과 수가체계 개선 보건복지가족부 기초의료보장과.
연구학교 운영 절차 및 평가 단계별 협의회 운영 절차 협의록 처리 절차 과정 평가 절차.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4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정보환경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사)은행법학회 특별세미나 사내변호사와 이노베이션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박 훤 일.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TrustNet 전자 협조전 사용설명서 목 차 작성,수정,삭제 결재함 처리현황 발송대장,접수대장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2019 환자안전 예방지도사 자격과정 ■ 주 관 |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프로그램 일정 |
제1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제5판).
WISE DQ.
보건의료정보학 -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바라본 의료정보관리의 사례 및 중요성 -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및 인플루엔자 사업 참여 매뉴얼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의무기록학 제1장. 의무기록/정보와 보건정보관리자

의무기록/정보의 정의 및 용도 1. 의무기록/정보의 용도 - 일관성, 연계성 있는 치료 제공을 위한 근거자료 - 치료자들 사이의 의사전달 도구 - 임상자료(의학연구 및 교육) - 법적 증거자료 - 의료의 질 검토 및 평가의 기본자료 - 병원통계 제공 자료 - 진료비 산정의 근거자료

의무기록/정보의 이용 1. 개인적 자료로서의 이용 - 의무기록의 내용과 ( )이 함께 이용되는 경우 - 의무기록의 내용과 ( )이 함께 이용되는 경우 - 대부분 ( )와 ( )의 승낙이 필요 2. 비개인적 자료로서의 이용 - 환자의 이름과 관계없이 ( )만 이용되는 경우 - 대부분 환자의 동의나 주치의의 승낙 불필요 3. 환자의 동의(승낙서)가 필요한 경우 - 법적 문제로 환자, 가족 또는 변호사가 이용 - ( ) - 기타 환자의 이름이 같이 사용되는 경우 - 재입원, 재진료시에 과거병력을 파악하고 진단과 치료의 방향 설정

의무기록/정보의 이용 4. 환자의 동의가 필요없는 경우 - 재입원, 재진료시에 과거병력을 파악하고 진단과 치료의 방향 설정시 의식없거나 응급 환자인경우 - ( ) - 환자 본인의 요구 - 비개인적 자료로서의 이용 <의무기록부서의 업무처리(통계, 질병분류)> <의학연구> <집담회용 증례보고서 자료> <의료의 질 평가를 위한 위원회 활동>

의무기록/정보의 가치 1. 환자의 입장 - 일관성 있는 양질의 의료제공 - 재원기간 단축 및 반복검사 차단 - ( ) - ( ) 2. 의사의 입장 - 양질의 의료제공 - - 다른 환자 진료 시 증례 자료

의무기록/정보의 가치 3. 병원의 입장 - 적정진료위원회 또는 진료평가위원회의 평 가자료 - ( ) - 전공의 교육자료 - 적정진료위원회 또는 진료평가위원회의 평 가자료 - ( ) - 전공의 교육자료 - 진료비 산정의 근거자료 - 진료통계자료의 원천 4. 의학연구 측면 - ( ) 방법의 신뢰성 있는 자료

의무기록/정보관리자(Health Information Manager, HIM)의 역할 1. 의무기록정보관리자의 역할 - 의무기록의 체계적 보관관리 - - 의무기록의 신속 정확한 작성을 위해 의사 지원 - 의무기록 부서는 의료정보센터의 역할 2. 의무기록부서 책임자의 역할 - 병원행정팀의 요원 - 병원 신임평가, 의료기관 평가, 의료보험, 암등록 등 여러 업무 관여

의무기록/정보관리자(Health Information Manager, HIM)의 역할 3. EMR 도입에 따른 의무기록부서의 업무변환 - 의료정보 관리 체제 : 부서 중심적 → ( ) - 관리 업무 : 물리적 관리 → ( ) - 자료 수집 및 제공 업무 : 지식 자료원 공유, 전자적 검색, 통계 및 모델링 - 종이차트 서식 고안 → ( ) - 의무기록의 ( ) : 사생활 보호와 보안을 위한 예방과 통제조직 강구

AHIMA(미국 의무기록협회)의 Vision 2006(★★★) 1. 의료(보건)정보관리자의 새로운 역할 1) Health information manager(건강정보관리자) 2) Clinical data specialist(임상자료전문가) 3) ( ) 4) Data quality manager(데이터질관리자) 5) Document and repository manager(문서 및 저장소관리자) 6) Research and decision support analyst(연구 및 의사결정지원분석가) 7)

보건정보행정가(의무기록행정가 Health Information Administrator)의 역할 1. 의사와 관련업무 - 병원행정이나 의학연구에 필요한 주요 정보제공 - 의무기록 작성 보조 - 의료의 질 관리 활동에 참여하여 자료의 검색과 분석 2. 의무기록 자체에 관한 업무 - 의무기록서식이나 분석체계 등에 대한 평가 - 안전관리 규정 확립 - 수집, 분석, 색인, 통계업무 -

보건정보기사(Health Information Technician)의 역할 - 과거 의무기록행정가들이 수행하던 기술적 기본 실무 수행 1. 대형 병원 - 의무기록행정가(부서장)의 지도하에 ( ) 등의 업무 - 계장 또는 파트장 2. 소형 병원 - 과장 또는 실장으로서 ( )와 유사한 역할

비상근 의무기록 감독자(Medical record supervision) - 상근 의무기록 담당자의 능력이 부족할 경우 지원 및 교육 - 상근감독자가 필요 없는 경우 시간제로 ( )

의무기록자문가(Medical record consultant) - 의무기록부서 신설 - 새업무 시작 - 운영상태 평가 - 새로운 정보체계 확립 - ( )

의무기록에 대한 책임 이사회의 책임 1. 병원 운영과 관리에 대한 ( ) 2. 병원장 위임 사항 1. 병원 운영과 관리에 대한 ( ) 2. 병원장 위임 사항 - 유능한 의료진과 관리자 채용 - 양질의 의료 제공 3. 의료의 질에 대한 법적 도의적 최종 책임 4. 의무기록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 없음

의무기록에 대한 책임 병원장의 책임 1. 의무기록부서장 위임 사항 - 환자 진료에 관한 정보의 부당 노출, 분실, 변조 방지를 위한 관리 책임 2. 의무기록부서의 운영방침, 의무기록 관리규정 등의 기본 방향 설정 3. 의무기록부서의 인원과 장비, 시설, 공간 지원 4. 의무기록 열람, 기록 정리를 위한 공간 제공 5. 최단시간 내에 기록을 완성할 수 있는 시설 등 지원 6. 직원 채용, 기술 및 지식 도입 등 효율적 운영 지원

의무기록에 대한 책임 주치의사의 책임 1. ( ) 2. 전공의사들의 기록을 검토, 수정, 보완 3. 전공의사들을 지도 교육

의무기록에 대한 책임 의무기록 부서장의 책임 - 정보의 발생 또는 작성, 수집 또는 전달, 분석 및 전달, 이용 과정 등에 관여 - 양질의 기록 작성, 유지를 위한 실무적 제도 마련 및 시행 - 의사들에게 양질의 기록 작성을 위한 홍보, 상호 협조적 관계 형성 -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검토 및 의무기록위원회 또는 병원장에 건의 - EMR 구축 시 정보 및 자료수집, 제시

의무기록에 대한 책임 의무기록사의 책임 및 역할 1) 의무기록의 분석 및 정보의 적합성 검토 - 정량분석, 정질분석 2) 신속한 기록 작성 지원 3) 환자 정보의 효율적 관리와 검색 및 활용 지원 - 정확한 질병 수술분류 4) ( ) 5) 병원 내 각 위원회 업무보조

의무기록에 대한 책임 의무기록위원회의 책임 1. 의무기록에 관련된 여러 가지 중요 기능(서식, 관리규정, 내용 평가, 보존, 보관 및 이용 등) 수행 2. 의무기록부서장이 간사로 활동

의무기록위원회의 구성, 역할 및 운영 의무기록위원회의 구성 1) 위촉위원 : 임상 각과 대표의사 2) 당연직 위원 : 3) 위촉위원 임기 : ( )년( 반수 이내에서 교체) 4) 위원장 : 병원장이 임명 5) 간사 또는 서기 : ( )

의무기록위원회의 역할 - 자문역할 1) 의무기록 서식의 제정 또는 개정의 심의 - 서식의 일관성 유지 - 서식의 중복 및 누락 방지 - 전자서식의 제정 및 개정에 대한 심의 2) 의무기록 관리규정의 제정, 개정 및 폐지에 관한 심의 - 의무기록위원회에 관한 제반사항 - 의무기록 필수서식 및 기재항목 등 작성에 관한 사항 - 의무기록 관리에 관한 사항 등에 관한 규정 제공

의무기록위원회의 역할 3) 의무기록 분석 및 평가 -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평가 - 평가대상 기록의 추출방법 : 과별, 주제별(환자의 상황 등), 진단명, 수술명, 주치의사별 - 절차 : ( ) → 의무기록위원회 검토,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법 실시 - 미비기록, 완성시한을 넘긴 의사에 대한 규제 권한 부여 4) 의무기록의 보존, 보관 및 이용에 관한 사항 심의 - 영상시스템, 전자의무기록 도입 등 의무기록관리와 이용에 관한 사항 심의 5) 기타 의무기록에 관한 중요한 사항의 심의

의무기록위원회의 운영 간사의 역할 - 안건이 기재된 회의 개최 알림장(개최 1주일 전) 및 관련자료 배부 - 회의록 작성 및 인준 - 회의록 보관 - 회의록 사본과 결정사항을 병원장에게 보고 - 관련부서에 공문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