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안정적 문화 반응적 문화 예측적 문화 탐험적 문화 창조적 문화 과정을 중시 하는 문화 회사의 운명 을 거는 문화 열심히 일하고 잘 노는 문화 강인하고 억센 문화 생산적 문화 관료적 문화전문적 문화 내 부 적 차 원내 부 적 차 원 안정적.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1 [1] 문학의 수용 01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방법.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Entity Relationship Diagram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7. 대화주의와 문화형식 Theories of Cultural Tourism.
제5장 사회재건·변혁중심 교육과정 : 교과활동(III) – 사회변혁과 교육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창의공학설계 4주차 강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Professor C. K . KIM.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Multi Intelligence Theor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2 안누 팔라쿤나투 매튜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6조> 이연지 이정선 이제민 이종수 이진우 이태희 임진백 장세희 장수현 장진규
제 7 강 디자인의 윤리성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문 찬
合作, 听的文学 박병현.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K. Marx 역사론.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문화의 장 이론 문화관광론.
Historical Materialism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사료.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0. 서평의 시대가 도래했다 징후 : 서평집의 범람+서평은 장르가 되었다 방향 : 서평의 소비를 넘어서 서평의 작성으로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Net FrameWork for Web2.0 한석수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제1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제5판).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나의 꿈 발표 6학년3반 이서은.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뮨화의 기능 환경에의 적응 사회와 집단의 유지 지식의 제공과 축적 뮨화의 구성요소 물질문화 비물질문화 제도, 규범문화 관념문화.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목차 맥락과 문화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문화유물론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감정의 구조: 맥락화 문제 I.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III. 문화유물론 IV.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V. 감정의 구조: 맥락화 문제

I. 맥락과 문화 0. 맥락 1) context: 어떤 일이나 사물이 서로 연관되어 이루는 줄거리 2) 맥락 이해의 기능: 시간 속에서 대상의 이면의 흐름을 파악 3) 맥락의 실체: 사건의 배경, 원인, 전개 등의 흐름

I. 맥락과 문화 1. 기존 문화의 이론화 2. 그 후의 문화의 이론화 -문화의 연구 초점: 문화가 사회변동, 사회화, 일상생활에서의 역할 2. 그 후의 문화의 이론화 1)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문화형식(예술, 문학 등)과 문화간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미학적 문제에 기반한 문화이론 제기 2) 그람시(마르크스주의자), 베버, 짐멜, 파슨스(사회학자) : 문화의 자율성 증대와 이 문제를 다룰 분석적 개념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데 깊은 관심을 가짐

I. 맥락과 문화 3. 문화의 자율성과 그것의 토대가 되는 사회적 맥락간의 연관관계 추적 실패 -모호하게 철학적으로 이론화 -문화산업이나 핵심적 가치체계와 같은 균질화를 특징으로 하는 개념에 동화됨 *결과: 문화와 사회간 역사적 관계, 능동적 인간행위자 관련 개념 제거 4. 문화의 이론화 -Who, What, relation(행위자와 문화적 전통 및 특정 사회구성체와의 관계) *문화의 생산과 재생산을 통제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사회집단의 미시적 수준과 전체 사회의 거시적 수준간의 연관관계 성격? -문화의 외적 구성요소와 내적 구성요소? *문화 구성요소: 기술, 상징, 언어, 예술, 가치, 규범

I. 맥락과 문화 5. 문화의 구성요소 물질문화 생활에 필요한 재화(의식주 관련)과 기술 -요소: 음식, 의복, 주택, 기술, 무기 등 비물질 문화 제도 구성원의 행위를 규제하거나 규정하는 규범 ㄸ 원리 -요소: 가족, 친족, 혼인, 정치, 경제, 법률, 교육 등 제도 관념 개인이나 집단이 가지는 의미나 가치(행위의 방향을 제시) -요소: 신화, 전설, 철학, 언어, 문화, 예술 등 Baldridge, J. V 의 문화분류 1) 경험적 문화: 주어진 자연 및 사회적 환경에서 얻은 기술과 지식의 축적 2) 심미적 문화: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 기준을 제시 3) 규범적 문화: 행동의 가치를 제시하고 판단 기준을 제공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1.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연구 1) 예술가의 사회적 배경과 예술형식의 상응유형 탐구 -아도르노: 종래의 방법을 mediation through the social whole 로 대체 *미적 내용과 사회적 맥락의 관계는 변증법적인 것임 *음악연구를 통해 외적인 사회적 힘들(사회적 맥락)이 음악구조에 어떻게 진입하여 그것의 내적인 형식적 속성들을 틀 짓는지의 문제를 제기  음악은 사회의 ‘생애과정’을 간접적으로 거의 무의식적으로 묘사하며, 현실을 표현하고, 해석하고, 비판한다고 주장 왜? 음악형식은 사회의 이율배반을 내화하고 있고, 음악의 언어는 현존 사회의 모순과 결합을 ‘묘사하기’ 때문  사회적 모순은 음악형식 속으로 ‘침전’되고 음악은 이런 방식으로 긴장들과 대립하고 또 그것을 극복할 필요성을 표현한다.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1.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연구  음악은 그 자신의 내적 동학을 통해, 즉 단순화된 의사소통 양식을 거부하고 또 시장원리에의 순응을 거부하는 것을 통해 ‘주체의 해방’을 확인함 음악형식 내의 ‘균열’과 ‘분열’은 ‘문화의 약속’ 즉 자유의 약속, 다시 말해 유토피아를 위한 투쟁을 선포함 고전음악 (베토벤) 속에서 -역동적 긴장: 사회문제를 상징 -교향곡의 재현부의 ‘긍정적 제스처’ 속에서 인간해방에 대한 찬양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1.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연구 2) 후기 고전음악 작곡 -실용적으로 자본주의 소비시장에 순응하며, 좀 더 ‘편파적이고’, 덜 자율적이고, ‘퇴락한’ 음악을 생산 이제 음악은 사회를 ‘역동적인 전체로서’ 표현하지 못하고 오히려 ‘열련의 상황’으로 묘사함 3) 예술의 구분: 아도르노 (1) 진보적 예술: 소비주의 문화의 수용을 거부하는 예술 (2) 반동적 예술: 자본주의적 합리성에 굴복한 예술 4) 예술작품과 맥락 -예술작품이 자신의 자율적인 영역 내에 존재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사회에, 즉 특정한 생산양식과 그것이 수반하는 사회구조에 의존성

III. 문화유물론 문화적 마르크스주의 1) 개념: 총체성, 매개, 실천, 문화의 물질성과 같은 개념을 통해 토대-상부구조 모델을 재평가하는 목적의 시각 2) 그람시 (1) 기여: 문화가 근대사회의 경제구조와 정치구조로부터 찾는 대표적인 자율성을 강조  사회변동과 사회통합에서 문화가 수행하는 역할 규명 (2) 강조: 문화의 규범적 요소-능동적 행위자는 가치를 성찰적 으로 내면화하기 때문 3) 프랑크푸르트학파 -문화산업: 일반 대중의 의식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로서 사회 위에 군림하여 하향식으로 작동 2. 정통 마르크스주의 문화이론 1) 접근: 문화생산을 계급이해와 직접적으로 일치시킴 2) 이론가: 루카치, 앙탈, 하우저

III. 문화유물론 3. 문화유물론 1) 개념: 맥락화 이론으로 비판이론의 내재적 비판과 그람시의 객관적이고 역사에 기반한 분석간의 다리 놓음 2) 윌리엄스 -문화유물론 과제: 작품이 만들어지고 처분되는 구체적 관계를 분석 -문화: 생산적 실천 그 자체의 양식 -문화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간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경제적 생산과 문화적 생산 모두 복잡한 형태의 행위들을 수반하는 실천의 양식들로 파악

IV.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문화의 의미에 대한 논쟁: 영국 1) Arnold, Mathew & Ruskin, John: 19ㅅ 작가 (1) 문화: 이상적 가치 영역(목적의 숭고함, 형식의 아름다움) (2) 비문화: 기계적, 탈인간화된 산업사회의 비문화 2) 리비스 -Mass civilization and minority culture(1930) -연구중점: 문화를 특정한 사회-역사적 구조 내에서 맥락화 시도 -문화: 민중적 전통의 측면에서 진정한 가치의 기반으로 간주된 보통 사람들의 삶이 어우러지는 공동체 및 장소와 관련된 인식으로 정의 -근대문화: 적극적 규범적 역할을 할 수 없다고 주장 파편화되고 원자화된 문화는 문학의 진정한 ‘살아 있 는 전통’을 쇠퇴시키고 명석하고 교육받은 유력한 독자층을 붕괴시킨다고 봄

IV.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문화의 의미에 대한 논쟁: 영국 3) T. S. Eliot The idea of a Christian society(1939), Notes towards a definition of culture(1948) 문화: 상이한 사회집단과 세대들을 특징짓는 ‘감정과 행위의 양식’으로 정의; 문화를 지속성과 전통과 연계시킴 -문화가치: 관료제적, 회일적인 대중사회의 발전 속에서 창조적인 문화적 가치가 경력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봄 4) Williams Culture and society(1955), The long revolution(1961) 기계론적 토대-상부구조모델 거부 문화: 의사소통 관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배후에 위치한다고 암시 문화개념을 획일적, 응집적이기 때문에 문화적 차원, 제도, 형식 등을 둘러싼 투쟁을 주변화함

V. 감정의 구조: 맥락화의 문제 1. 감정구조와 문화 1) Williams (1) 감정구조: 모든 실제 공동체들 속에서 공동체를 사로잡고 있는 매우 심원하고 광범위한 감정 -기능: 물질적 힘(사회구조, 사회제도)를 자유롭게 넘나들면 시대를 분석함 -효과: 상이한 사회집단들이 활동하는 사회공간을 평준화 (2) 문화: 하나의 물질적 생산과정, 즉 사회질서가 ‘소통되고 재생산되고 경험되고 탐구되는 하나의 의미체계’ (3) 헤게모니: 문화주의적 측면에서 실천, 가치, 욕구를 축으로 구축된 살아있는 과정으로 정의

V. 감정의 구조: 맥락화의 문제 1. 감정구조와 문화 1) Williams (4) 문화적 생산의 3 수준 -잔여문화 수준: 과거문화들로 구성되어 현재 삶을 인도 -신생문화 수준: 지배문화에 대립 또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롭게 발전하는 관행, 의미, 가치들 -지배문화 수준: 대안적이고 대립적인 가치들을 통합하고자 하는 많은 관행과 경험들 속에 확산된 문화 (5) 비판 -맥락화의 문제 부적절? -사회집단간의 사회적 투쟁이 갖는 문제를 다루지 않음? -계급과 집단이 문화와 문화형식의 창조에서 수행하는 역할? -개념의 추상성? * 제도, 이데올로기, 행위자(수동성, 능동성),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