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연안환경 현황 및 연안 통합 관리의 방향 2003.7.11 최중기 소장 (서해연안환경연구센터)
인천연안 역사적 배경 ·1883년 : 인구 4,700명의 국제 교류 항으로 제물포항 개항 ·1895년 : 인천부로 명칭 변경 및 도 시 기반 형성 ·1949년 : 인구 27만의 인천시로 승격 ·1965 - 75년 : 경인고속도로 건설과 4 개 공업단지 조성으로 중추 산업도시로 발전 ·1981년 : 인천직할시로 성장 ·1995년 : 지방자치제로 강화군, 옹진 군을 포함 광역시로 개편
仁川廣域市(Incheon Metropolitan City) 한반도 수도인 서울에 최인접 한 광역도시 인구 256만명, 면적 955㎢의 거대 광역도시 내륙해안선 63km, 도서 159개 의 임해연안도시 수도권의 배후산업도시, 관문 도시
항만현황 · 2000년 현재 년간 물동량 12,000만톤 · 시설확보율 70% 부두명 시설현황 하역능력 (천톤) 취급화물 내항 47선석 36,309 원목, 자동차, 잡화, 사료, 콘테이너, 고철 남항 9선석 19,630 시멘트, 벌크, 모래, 석탄 북항 7선석 - 유류, LPG 연안항 6선석 유류, 수산물, 여객 남외항 3선석 합 계 72선석 56,590 · 2000년 현재 년간 물동량 12,000만톤 · 시설확보율 70% · 물동량의 증가, 만성적인 체선, 체화, 전용화물 처리부두 부재로 경쟁력 낙후
항만건설계획 ○ 북항건설 · 접안능력 : 19선식 · 하역능력 : 년 1,670만톤 · 취급화물 : 고철, 원목, 양곡, 유류 · 사업기간 : 1995년 ∼ 2011년 ○ 남항건설 · 접안능력 : 10선식 · 하역능력 : 년 465만톤 · 기간 : 1997년 ∼ 2002년 ○ 수도권 신항만건설 · 접안능력 : 77선식 · 하역능력 : 년 6,144만톤 · 사업기간 : 2002년 ∼ 2020년
주요 도시개발 현황 ○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 및 주변개발 · 1992년 ∼ 2010년 · 영종도, 용유도 일원 ○ 용유, 무의 관광지 조성계획 · 사업기간 : 2002년 ∼ 2012년 · 사업면적 : 6.9㎢ · 시설 : 국제적 종합 리조트 건설 ○ 경인운하건설 계획 · 위치 : 인천시 서구 경서동, 서울 강서구 개화동 · 규모 : 연장 18km · 사업기간 : 2000년 - 2006년
○ 송도신도시 건설사업 · 사업면적 : 1단계 17.7㎢, 2단계 16㎢ · 사업기간 : 1994년 ∼ 2011년
인천 갯벌 매립의 역사 ·1899년 : 일본인 거류지 전면 해안에 대한 4000평을 최초로 매립 ·1899년- 1931년 : 5개소 15만 8천평 매립 ·1958년- 1979년 : 항만시설, 공장부지 조성목적으로 600만평 매립 ·1980년- 1999년 : 총 28개 지구에 59.03㎢ 매립 · 남동국가 공단 조성사업 (2.6 ㎢) · 인천공항건설을 위한 영종-용유 매립 (46.52 ㎢) · LNG 인수기지 (1.183 ㎢) · 동아매립지 (499만평) · 율도 매립지 (163 만평)
현재 진행중인 매립지 송도신도시 매립 : 1차 581 만평 2차 680 만평 3차 송도 신항 건설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1989년- 2016년, 592 만평 (7.88 ㎢) 영흥화력 발전소 : 1995년- 2003년, 66만 6천평 (2.2 ㎢) 북항 준설토 투기장 : (1.6 ㎢)
인천해안 공유수면 매립 현황 인천연안갯벌 면적 685㎢, 전국갯벌 면적의 28.6% 합 계 인 천 광 역 시 강화군 옹진군 중구 서구 연수구 685.0 339.5 148.0 150.8 2.6 44.1 인천연안공유수면 매립, 1883년∼1999년 동안 113.4㎢ 면적 매립 (인천발전연구원 자료), 총 14.2% 매립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인천연안갯벌 197.5㎢, 지난 20년간 92.83㎢ 매립으로 갯벌의 32% 육지화 현재 매립중인 갯벌 포함 향후 44.1㎢ 추가 매립시 인천연안 갯벌의 55.3%가 육지화
매립지 용도 전체 매립지 용도 개항기 : 도시용지 60년대 : 공업용지 70년대 : 항만용지 80년대 : 농업 및 쓰레기 매립지 90년대 : 신도시, 공항, 항만, 관광지 전체 매립지 용도 도시용지 : 27.8% 쓰레기매립지 : 20% 농업용지 : 18% 공업용지 :17.5% 항만시설용지 : 13% 발전용지 : 3.7%
인천연안에 대한 육상 오염 기여도 · 배수구역별로 볼때 일번적으로 유량 및 오염부하 기여도는 한강 및 굴포천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이 시화호 배수갑문 이었다. · 인천광역시 내로 유입되는 하천에서는 가좌 배수구역이 가장 높은 오염부하를 보였다. · T-N의 경우 : 한강 및 굴포천 241.333kg/day (81.6%) 시화하수처리장 12.954kg/day , 안산하수처리장 9,012kg/day, 침출수처리장 5,749kg/day 등의 높은 부하량을 보였다. · T-P의 경우 : 한강 및 굴포천 12.160kg/day (78.8%) 승기배수구역1,032kg/day , 시화호 배수갑문 803kg/day
· COD의 경우 : 한강 및 굴포천 241.333kg/day (81.6%) 시화하수처리장 12.954kg/day , 안산하수처리장 9,012kg/day, 침출수처리장 5,749kg/day 등의 높은 부하량을 보였다. · 한강-굴포천 수계 (75.5% – 86.3%) 인천광역시 수계 (4.6% – 12.5%) 시화호 배수갑문 수계 (2.3% – 10.8%) 시흥시 수계 (3% – 4.7%) 안산시 수계 (3%이하 – 3%)
인천연안에 대한 오염부하(T-N) · 한강 및 굴포천 : 241.333 kg/day (81.6%) 송도신도시 개발 인천국제공항 시화호 주물공단 중공업지역 남동공단 김포매립지 · 한강 및 굴포천 : 241.333 kg/day (81.6%) · 인 천 광 역 시 : 24.843 kg/day (8.4%) · 시 흥 시 : 13.900 kg/day (4.7%) · 안 산 시 : 8.872 kg/day (3.0%) · 시화배수갑문 : 7.98 kg/day (2.3%)
인천연안 해역의 수질현황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인천시의 가좌하수처리장의 방출수가 유입되고 지리적인 반폐쇄해역인 북항-만석부두 안쪽 해역이 5-13㎎/ℓ로 가장 오염되어 있다. 그다음으로 김포쓰레기 매립장 침출수가 유입되는 장도-일도해역, 소래해역, 월미도 해역, 인천항-남항 해역, 송도해역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수질등급은 송도앞바다의 Ⅱ등급(1-2 ㎎/ℓ)해역을 제외하고 거의 전 연안이 Ⅲ등급(2 ㎎/ℓ이상)을 보이고 있다.
총 무기질소 및 무기인 총 무기질소와 무기인은 가좌 하수처리장의 방출수가 유입되고 지리적으로 반폐쇄 해역인 만석부두내 해역이 1 ㎎/ℓ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어도 해역과 염하수도도 한강수위 영향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소래해역은 LNG인수기지 건설로 조류 유통이 안되고 시화, 안산 하수처리장의 배출수 유입으로 영양염류가 총 무기질소 중 암모니아는 만석부두 해역, 소래해역이 특히 높게 나타나 이 해역의 오염정도가 심화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수질등급은 팔미도 해역을 제외하고 전 연안해역이 질소, 인 Ⅲ등급 (질소 0.1㎎/ℓ이상, 인 0.015㎎/ℓ이상)을 보이고 있다.
해양수질분포 현황 연안 COD 1~13 ㎎/ℓ 대부분 2~3등급 T-N 1.0 ㎎/ℓ 이상 3등급 이상 T-P 0.09 ㎎/ℓ 이상 외해역 0.98~2.78 ㎎/ℓ 1~3등급 0.090~0.299 ㎎/ℓ 1등급 0.003~0.035 ㎎/ℓ 1~2등급 2000. 8 해양수산부 인천, 시화 연안해역을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 분포 – 수역의 부영양 상태를 반영 (1990-2000) 인천연안 해역 식물플랑크톤 분포현황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 분포 – 수역의 부영양 상태를 반영 (1990-2000) 동계 : 260,075cell/ℓ - 15,422,915 cell/ℓ (평균 4,654,672 cell/ℓ ) 고잔앞바다, 소래해역>송도해역>인천항>세어도 해역 춘계 : 340,478cell/ℓ - 10,721,597 cell/ℓ (평균 2,371,793 cell/ℓ ) 소래해역>인천항>세어도 해역>송도해역 하계 : 165,075cell/ℓ - 1,514,595 cell/ℓ (평균 789,487 cell/ℓ ) 소래해역>고잔앞바다>송도해역>인천항 추계 : 104,655cell/ℓ - 2,441,735 cell/ℓ (평균 514,317 cell/ℓ ) 송도해역>소래해역>인천항, 율도, 세어도 ※ 100만 cell/ℓ 이상이면 적조 (대증식) : 년중 적조 발생 잠재 ※ 소래고잔 앞해역 : 가을철을 제외한 전 계절에 대량 출현 - 안산시, 시화하수처리장 배출 오수 영향 ※ 인천연안 해수 : 외해수와의 원활한 교환이 안 일어남 (매립등이 원인) 시화호해수방류 – 송도앞해역 및 인근 해역에 큰 영향
인천연안 저서동물 분포현황 조간대 상부 – 염생식물 (칠면초, 나물재, 해홍나물,통통마디, 사초류, 갈대등) 1) 소래연안 갯골 조간대 상부 – 염생식물 (칠면초, 나물재, 해홍나물,통통마디, 사초류, 갈대등) 2) 고잔연안 오염지표종 출현 – 갯지렁이 류 증가 3) 송도연안 · 매립으로 종수와 개체수 감소 · 하부지역 – 맛조개, 동족 4) 월미도 연안 · 가시닻 해삼에 의한 높은 생체량 · 종수와 개체수 비교적 높음 –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 다양성 5) 북항 권역 · 만석부두 안쪽 일부지역 – 무생물 구역 · 빈약한 생물상 6) 일도연안 · 낮은 종수와 개체수 · 김포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영향 7) 염하수도 담수의 영향으로 빈약한 생물상
인천도시 발전계획 목표 및 개발전략 ○ 발전계획 목표 국제교류 및 첨단산업,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 부각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환경을 보유한 국제도시 ○ 개발전략 가. 국제교류 거점도시로 발전 · 국제적 port 기능 강화 (airport, harbor, teleport) · 국제적 업무, 유통기반 구축 나. 서해안 개발축의 중핵도시로 발전 · 교통망 확충, 종합통신망 구축 · 대학, 연구시설 확충
다. 첨단산업, 정보도시 실현 · 중공업 중심에서 첨단 정보 산업, 생물산업 육성 · 정보단지 건설 라. 관광, 문화도시 건설 · 해양 및 임해 관광자원 개발 · 역사 유적 보호 및 전통 문화 계승 발전 마. 자립도시 실현 · 도시 공간 구조의 개편 · 유통 및 서비스 산업 강화 · 중추 관리 기능 강화 바. 쾌적한 정주도시 실현 · 주거 환경 개선 · 녹지 여가 공간 확보 · 복지시설 확보
가. 연안개발에 의한 연안환경 훼손 심각 ○ 영종신공항 건설. 송도 신도시 건설 등 대규모 갯벌 매립에 따른 갯벌 훼손 및 오염 정화 기능 저하 ○ 항만 확장, 산업지대 확장, 연안 개발 등 개발 요구 증대 ○ 김포 쓰레기 매립지, 경인운하 걸설, 남동공단, 시화공단 등 대규모 오 염원으로부터 오염 물질 유입 증가 나. 연안 보존과 이용 행위 간 의견 상충 ○ 갯벌 보존과 매립 수요와의 의견 상충 ○ 연안개발 계획과 환경 보전 정책간 의견 상충 다. 연안개발이 개별적이고 무계획적, 무질서 혼재 ○ 송도신도시 개발 인접 지역 LNG 인수기지 건설 발전소, 소각로 건설 ○ 남항, 항만 배후에 대규모 주거단지 건설
라. 시민들의 해안 접근권 보호 필요 ○ 군사시설, 항만, 공업단지, 발전소가 해안에 위치하여 시민들의 접근권 제약 ○ 인천 내륙 연안 63㎞에서 시민들의 바다 접근 가능 해안 3㎞ 미만 ○ 해변 밀집 음식점의 방류 오폐수로 해변 이용 괘적성 부재 마. 수도권에 인접한 해양 문화 공간 필요 바. 연안경관 우수지역과 자연 생태계 우수지역 보호 필요 사. 정부의 연안 통합 관리법 제정 및 시행에 따른 지역 연안 통합관리 계획 수립 필요(연안관리법 제 8조)
해양수산부의 권역별 연안 관리방안 인천광역시를 서해중부 I 권역으로 구분
서해중부 I 권역 해당행정구역 인천광역시 : 서구, 중구, 경 기 도 : 김포시, 시흥시, 충 청 남 도 : 아산시, 당진군 남구, 연수구, 남동구,강화군, 옹진군 경 기 도 : 김포시, 시흥시, 안산시, 화성군, 평택시 충 청 남 도 : 아산시, 당진군 해당행정구역
인천 연안 통합관리 목표 육상 기인 오염을 적정하게 관리하여 연안생태계 보전 육상 기인 오염을 적정하게 관리하여 연안생태계 보전 전통해양문화와 첨단산업이 공존할수 있는 다목적 해양 공간조성 인천을 쾌적한 국제 해양문화도시로 발전 시킬 수 있게 내륙 연안을 조화롭게 관리
추진전략 · 갯벌매립의 최소화,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저감, 해상사고 방지 · 철새서식지 보호, 자연해안 보전 등으로 생물 다양성 유지 · 연안휴식 공간 및 해양문화 시설 조성 · 지역별로 특화된 해양문화 공간과 연계 교통망 구축 · 연안개발로 해체된 연안지역 전통문화 복원 · 지역사회구성원의 참여와 협력으로 쾌적한 해안생태도시 정착
인천 내륙 연안 통합 관리 정책 방향 1. 보호지역 지정을 통한 연안 생태계 집중 관리 2. 연안오염 부하 적정 관리 갯벌 매립 억제, 갯벌 복원 철새도래지 보호 지역주민의 갯벌보전과 철새보호에 참여시킴 1. 보호지역 지정을 통한 연안 생태계 집중 관리 2. 연안오염 부하 적정 관리 인천연안해역을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 해역환경 개선 사업 육상기인 오염원 차단 지속적인 연안 환경 모니터링, 감시활동
3. 친수 연안 공간 조성 4. 해양 관광 해양 스포츠 시설 월미도, 송도 신도시등에 연안 문화 공간 조성 해안에 해변 친수 공간 조성 해양 생태 공원 조성 철새 조망대 조성 3. 친수 연안 공간 조성 4. 해양 관광 해양 스포츠 시설 수족관, 선박 박물관, 개항 박물관 조성 마리나 시설 국제 수준의 관광식당가, 상가 조성 해양 테마 파크 조성
5. 연안 경관 보호 6. 환경 용량을 고려한 연안 개발 계획 조정 해안 시설 제한 , 해안 인근 고도 제한 실시 인접 해안 도로 건설 금지 해안 조망권 우선 실시 5. 연안 경관 보호 6. 환경 용량을 고려한 연안 개발 계획 조정 공유수면, 매립 기본 계획 검토 조정 연안 개발 계획 검토 조정
인천 연안환경 통합관리 목표 연안환경 특별관리를 통한 환경 생태연안으로 조화롭게 발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