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론 제11강. 투표행태 5: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시간 짜리 소통 매너 Why 소통 매너 ? 소통 매너의 기본 동작 그 필요 이유 특히, 리더들에게 와인대사 안경환의 글로벌리더십아카데미.
Advertisements

대한응급구조사협회. 응급처치의 목적 및 필요성 핵심단어 응급처치 (First Aid) : 다친 사람이나 급성질환자에 게 현장에서 즉시 취하는 조치 응급의료체계 : 응급상황 발생시 효과적이고 신속 하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시설, 장비를 배치하는 조직 일차반응자.
- Page 1 - 약의 날 ! 기념 새로운 도약을 위한 약업인 걷기대회 계 획안 GOOD DRUG, NEW HOPE 제 17 회 약의 날 행사 추진 본부.
㈜ 금산산업 회사 소개서. 회사 소개 회사 개요 회사 연혁 공장약도 제품 소개 원료 관리 필렛 작업 염 ( 소금 ) 침지 공정 급속동결 및 진공 포장 거래처 LIST 거래처별 매출 실적 공장사진 목 차.
2007 학년도 수시 2 학기 한성대학교 인문계 구술면접 특강 상상력 CT 한성대학 교.
내 마음에 가득 채운 주 향한 찬양과 사랑 어떻게 표현 할 수 있나 수 많은 찬양들로 표현 할 수 없어 다시 고백 합니다.
보건복지부 노인수발보험제도 국민여론조사 결과 보고서
DISSOLUTION OF ‘UNIFIED PROGRESSIVE PARTY’
박 기남 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춘천여성민우회 공동대표
2015 학력신장 계획 사례발표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2015 학력 신장 계획 전주영생고등학교 권혜수.
아름다운 이들의 행복한 길음안나의 집.
건축학 개론 제작기획서 관능의 법칙 제작기획서 Introduction to Archetecture 각 본 : 이 수 아
전 세대를 아우르며 인기를 끌고 있는 메뉴 메뉴의 변신은 무죄 01. 치킨의 변천사 전기통닭 ~ 오븐에 구운 닭까지
여성,주부를 위한 열린면접마당 Diagram Drawing Game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그림처럼 그리세요. 해답 :
열린면접마당안내 Diagram Drawing Game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그림처럼 그리세요. 해답 :
시스템은 왜 중요한가? 자동차는 대략 3만 여 개의 부품으로 구성돼 있다. 부속품들을 일 열로 나열해 놓으면 시스템이 탄생되지 않는다. 이 들을 논리적 연관성을 갖도록 연결시켜 놓으면 자동차라는 시스템이 탄생된다. 자동차를 만든 사람들이 직접 발휘하는 힘은 미미하다. 그러나.
Chapter 1. 운영체제의 개요 이태호.
보라빛 소가 온다 12기 프로공감 김세영.
정당정치와 외교정책 정당정치와 외교정책의 딜레마 정당정치와 외교정책 연구의 딜레마
과제도출하기 액션러닝.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파일 서버.
국제통상이론의 진화 Evolution of International Trade Theory 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 교수
국제관계론 제10강. 국제관계의 새로운 쟁점: 테러, 인권, 환경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선거론 제7강. 투표행태 1: 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 기초생활권 발전정책 주요시책 및 계획수립방향 -
단계 샘플링 (계속) 모분산 의 추정치 : 2차 샘플링 후 개에 대한 측정오차 를 포함할 경우: 예제 9.2
한•뉴FTA수산과학자 연수 프로그램 (뉴질랜드 웰링턴, ~.21.) 연근해자원과 이정훈 외 3명
응용 분야나 기대효과 등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함
응용 분야나 기대효과 등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함
성경퀴즈 대회 출애굽기.
대학생활을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 제6강 Module 2.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파일 서버.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ERP 전용 브라우저 설치 매뉴얼 (Windows XP)
ERP 전용 브라우저 설치 매뉴얼 (Windows XP)
인성교육중심 수업강화를 위한 관리자 워크숍 강 성 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장
현대 사회와 정치 제5강. 선거와 정치참여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101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과학기술정책의 기본 쟁점
2014년 반부패 수범사례 발표 감사담당관실.
정부지원 ERP를 활용한 영업솔류션 및 활용 작성자 : 국가공인재무설계사 김 춘 수
2장.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마음을 열고 진심으로 들어주세요” 경청의 기술 1. 몸을 틀어 주세요 !! 2. 눈을 봐 주세요!!
경제성평가와 약가협상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급여실 약가개선부).
선거론 제6강. 선거와 유권자,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종 려 주 일 2017년 4월 9일.
Cyber Shopping Mall 구축 - CD New - 안소연,박지윤,박종봉,정영은.
ITIL 정리.
2d game pRogramming 1차 발표 이재남.
예수회 정신과 사회 사도직 현장의 연결 박문수 2013년11월2일 사회 사도직 확대 모임.
제 6 장 테일러 시스템과 포드시스템 과학적 관리의 역사성.
브랜드와 스토리텔링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김경중.
13 재정정책.
실험을 통하여 홀 효과(Hall effect) 관측하기
제 9장, 정치과정과 정당 정치학원론 8주차 발표 Oudone, 김기윤, 오승연, 이홍준, 정지은.
6월 1주 주간메뉴표 NEW 엄마손 조식 쉐프 삼촌 중식 참새 방앗간 석식 ◎원산지 안내 : 쌀(국내산)
Ⅲ. 남부 지방의 생활 제 4장 관광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주제1. 화산 활동으로 이루어진 섬, 따뜻한 기후.
정부규제론 제11주 강의안 제13장 사회적 규제의 특성
[297탄] 반드시 길러야 할 4가지 공부 습관 자습 습관 복습 습관 동기부여 습관 셀프 테스트 습관
전류는 자계에서 힘을 받는다 기계공학교육 박지훈 황인석 한만혁 이덕균.
데이비스의 침식윤회설 데이비스의 침식윤회설에 대하여 발표할 윤정은입니다. 지리학과 윤정은.
Ch 6. Party Systems (정당체계)
13 재정정책.
13 재정정책.
房思琪的初恋乐园 ‘팡쓰치’로 보는 문학의 힘 정은비.
13 재정정책.
오락실의 진화 신문방송학부 옥띠야.
박 현 미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창업포스터 만들며 포토샵과 친해지기 박 현 미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선거론 제9강. 투표행태 3: 합리적 선택과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프로젝트 실행 오류와 해결.
2단원. 지표의 변화 마무리 폭탄 game!!!.
Presentation transcript:

선거론 제11강. 투표행태 5: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연구 개관 1) 선거제도와 투표행태의 관계 ○ 대의민주주의제도의 딜레마: - 대의민주주의 원칙: 유권자는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투표 결정, 그 결과로 선출된 대표자가 정치과정 운영 - 그러나 모든 유권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투표하는 것은 아니다. - 즉, 군소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는 당선 가능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최선이 되는 선택을 포기하고 차선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 당면 - 이 때 유권자의 투표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도(institution) ○ 게임의 규칙(rule of game): - 모든 운동경기 규칙과 마찬가지로 대의민주주의에서 선거제도는 유권자의 선호도 (표)가 정치적 결과(의석)로 전환되는데 중요한 영향 - 대의민주주의에서 선거제도는 어떠한 형태로든 유권자 투표행태에 영향력 발휘 - 선거제도가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선거경쟁의 승자와 패자가 달라질 수 있다. - 따라서 선거제도는 정치권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반영하며, 그 결과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예제] 1987년 12월 제13대 대통령선거: 단순다수결 선거제도 - 1987년 민주화 이후 민주 대 반민주 구도와 지역주의 균열구조가 함께 작동 -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가 36.6%의 낮은 득표율로 대통령 당선 - 만약 당시 선거제도가 결선투표 방식이었고, 1차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는 상태에서 2차 결선투표가 진행되었다면, 선거 결과가 어떻게 나타났을까? - 민주화 세력인 김영삼 후보와 김대중 후보는 2차 결선투표에서 차점자로 후보 단일화가 시도되어 노태우 후보는 당선되기 어려웠을 것 2) 선거제도 연구의 변천과정 ① 구제도주의 연구(old institutionalism study): - 제1차 세계대전 전후 국가 정부기관의 공식적 구조와 법체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 진행 - 이들 연구는 정치제도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떤 도덕적·규범적 원칙을 포함 하고 있는지 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연구 - 이들 연구는 정치 현상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소홀히 하고, 제도가 정치집단이나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는 비판 초래

② 행태주의 연구(behaviorism study): - 1960년대 구제도주의를 비판하며 정치제도 자체보다 이를 운용하는 개인(또는 집단)의 행태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 등장 - 이들 연구는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동하는 개인을 전제로 이와 같은 개인의 행태가 집합적으로 수렴되어 나타난 것을 정치현상으로 인식 - 이들 연구는 정치학의 과학화를 주도하면서 정치현상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을 높이는데 기여 - 그러나 행태주의는 개인이 다른 개인들과 관계 속에서, 그리고 자신이 행동하는 제도적 맥락 속에서 존재 의미를 갖고 선호를 형성한다는 점을 간과하였다는 비판 ③ 신제도주의 연구(new institutionalism study): - 신제도주의는 행태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제도적 맥락 속에서 개인의 선호, 전략, 행태, 그리고 상호작용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전개 - 즉, 제도는 개인의 행태를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간주 - 이들 연구는 개인의 행태가 제도의 영향력을 받아 비교적 안정적이고 규칙적 특징 을 나타낸다고 주장

○ 듀베르제(Morris Duverger, 1954):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사이의 관계 에 대한 선도적 연구 발표 - 단순다수결 소선거구제를 채택하는 국가들에서 양당제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으며, 비례식 대표제를 채택하는 국가들에서 다당제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 이 연구는 선거제도가 유권자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제를 입증하여 법칙 (듀베르제의 법칙)으로 인정받았고, 향후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대한 다양한 연구 활성화 2. 선거제도의 유형과 유권자 투표행태 ○ 선거제도의 구분 - 비례적 선거제도(proportional system): 유권자의 정치적 선호도를 왜곡하지 않고 최대한 정치적 결과로 반영하는 것이 주요 목적 - 다수결 선거제도(majoritarian system): 유권자의 정치적 선호도가 정치적 결과로 정확히 반영되지 않지만, 책임정치와 정치적 안정성 추구가 주요 목적 - 혼합형 선거제도(mixed system): 1인 2표제를 통해 다수결 선거제도의 대표적 선거제도인 단순다수 소선거구제(후보자 투표)와 비례적 선거제도의 대표적 선거 제도인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정당투표)를 병행하여 실시

○ 단순다수 소선거구제(FPTP: First-Past-The-Post)와 투표행태 <표 1> 가상적 선거결과 전체 유권자수 투표자수 Ⅰ (보수) Ⅱ (진보) Ⅲ (중도 진보) Ⅳ (급진 진보) 200 100 42 38 16 4 1) 다수결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 단순다수 소선거구제(FPTP: First-Past-The-Post)와 투표행태 - 단순다수 소선거구제도는 다수결 선거제도의 가장 대표적 선거제도 - 이 제도는 말 그대로 의원 한 명을 뽑는 소선거구에서 유권자들이 후보자에 대한 투표를 진행, 후보자들 중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득표를 한 명의 후보자가 당선 - 실례로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보자 Ⅰ가 가장 많은 득표율(42%)로 당선 결정 - 단순다수 소선거구제는 득표율이 가장 높은 단 한 명의 후보자만이 당선 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거대정당에게 유리한 선거제도

○ 장치적 효과(mechanical effect)와 심리적 효과(psychological effect) - 장치적 효과: 선거제도의 투표구조, 선거구 크기, 의석배분 방식 등으로 인해 거대 정당에게 유리하도록 작용하는 선거제도의 효과 - 심리적 효과: 단순다수 소선거구제의 장치적 효과에 대한 유권자의 인지와 학습 경험으로 인해 유권자의 투표결정 변화를 유도하는 효과(전략적 투표) 예] 사표방지(死票防止) 심리: <표 1>에서 소수정당 Ⅲ와 Ⅳ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경우 다음 선거부터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혹은 정치적 노선이 다른) Ⅰ정당을 견제할 수 있는 Ⅱ정당 후보에게 투표 ※ 듀베르제(Duverger)가 일찍이 단순다수 소선거구제에서 양당제가 형성될 가능성 이 높다고 주장한 것은 바로 이러한 장치적 효과와 심리적 효과를 인식했기 때문 ○ 결선투표제(Two-Round System)와 투표행태 - 결선투표제는 한 선거구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기본으로 채택, 1차 투표에서 어느 후보도 50% 이상 절대다수의 지지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2차 투표(결선투표)를 진행 - 이 때 2차 결선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은 국가별로 다소간 차이, 정당들 사이 사전 협상이나 제도적 규정에 따라 대부분 최고 득표 2인이 결선투표 진출 - 유권자들은 1차 투표의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후보가 결선투표에 진입하도록 진성 투표(sincere voting), 2차 결선투표에서는 전략투표(strategic voting) 실시 예] <표 1>에서 1차 투표는 Ⅰ와 Ⅱ 후보가 결선투표 진출, 당선 가능성은 1차 투표와 달리 Ⅱ 후보가 당선될 수도 있다.

2) 비례적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와 투표행태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는 비례적 선거제도의 가장 보편적인 선거제도 - 이 선거제도는 유권자의 선호도(표)가 그대로 정치적 결과(의석)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목적 - 따라서 이 선거제도에서 유권자들은 자신의 표가 사표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여 전략적으로 투표를 할 가능성이 낮고, 순수한 자신의 선호도를 투표로 표명하여 선거결과 다당제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경우 각 국가들마다 봉쇄조항(threshold)이 존재, 이것은 정당이 의석을 배분받기 위해 제도적으로 요구되는 득표 기준으로서 군소정당의 난립과 정국 불안정을 막기 위한 일종의 제도적 조치 ○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STV: Single Transferable Vote)와 투표행태 -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는 보통 3명에서 5명 정도를 선출하는 중선거구에서 유권자가 후보자에 대한 선호 순위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투표제도 - 이 제도는 두룹(Droop) 방식으로 설정된 당선기수를 산출하여 이를 초과한 후보자들을 우선적으로 당선시키고, 당선기수를 초과한 당선자의 표를 차순위 선호에 따라 이양하여 득표수의 당선기수 여부에 따라 순서대로 당선자 결정

예] 두룹 방식은 해당 선거구 의석수에 1을 더한 수로 전체 유효투표수를 나눈 후 다시 1을 더해 당선기수를 산출 -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와 달리 유권자들이 후보자에게 투표를 한다. - 이 제도는 유권자의 표가 사표가 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로든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후보자의 당선가능성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투표하는 행태 를 보일 가능성이 낮다. 3) 혼합형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 혼합형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 혼합형 선거제도는 1인 2표를 기본으로 하여 후보자 투표는 단순다수 소선거구 제로, 정당투표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로 진행 - 이 제도를 통해 유권자는 후보자 투표의 경우 전략적으로 투표할 가능성이 높고, 정당투표의 경우 자신의 선호를 순수하게 표명할 가능성이 높다. V 드룹 쿼타(Droop Quota): DQ = + 1 M+1

3. 한국의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 분할투표(ticket-split vote)와 일관투표(straight vote) - 혼합형 선거제도의 경우 유권자에게 2 표를 주고, 후보자 투표와 정당 투표의 의석배분방식이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분할투표와 일관투표 문제 발생 - 군소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는 후보자 투표에서 전략투표를, 정당투표에서 진성 투표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3. 한국의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 한국의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취약 - 그 동안 한국의 선거제도 연구는 외국의 선거제도를 소개하고, 한국의 선거제도 문제점을 지적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 - 1945년 해방 이후 선거제도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1987년 민주화 이전까지 선거제도의 의미 자체가 커다란 영향력을 지니지 못하였다. ○ 한국의 선거제도 변화과정 - 한국의 선거제도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동, 1987년 민주화 이후 현재까지 대통령직선제와 단원제 국회의원선거의 골격 형성

<표 2>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 선거제도의 투표방식과 대표제 형식도 다양한 제도적 변화, 5년 단임제의 단순다 수제에 입각한 대통령 직선제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4년 임기의 단원제 국회의원선거 제도화 <표 2>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역 대 선거일 선거구제 의원정수 투표방식 및 의석배분 제13대 1988.04.26 소선거구+전국구 299명 1인 1표: 지역구 224명+전국구 비례대표 75명 제14대 1992.03.24 1인 2표: 지역구 237명+전국구 비례대표 62명 제15대 1996.04.11 전국구 253명+전국구 비례대표: 46명 제16대 2000.04.13 273명 지역구 227명+전국구 비례대표 46명 제17대 2004.04.15 소선거구+정당명부 지역구 243명+정당명부 비례대표 56명 제18대 2008.04.09 지역구 245명+정당명부 비례대표 54명 출처: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Http://www.nec.go.kr (Accessed on April 4, 2008).

-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국회의원선거는 1선거구 2인 선출의 중선거구제를 폐지,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 지역구제를 중심으로 하되, 비례대 표제를 가미한 선거제도 운영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선거부터 전국구 비례대표제를 정당명부에 입각한 비례 대표제로 전환하여 1인 1투표제를 1인 2투표제로 변경 ○ 한국의 선거제도에 따른 투표행태 연구 사례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선거부터 1인 2표 병립제가 도입됨에 따라 분할투표를 통해 군소정당인 민주노동당이 제도권 진입 - 단,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선거부터 1인 2표 병립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선거제도의 비례성과 정당체계의 변화는 크게 일어나지 않았다(정당명부식 비례 대표의원 숫자가 미미하기 때문).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선거부터 1인 2표 병립제에 기인하여 군소정당을 지지 하는 유권자들의 분할투표와 전략투표 발견

[토론주제] 주제 1. 대의민주주의에서 어떠한 선거제도가 유권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가장 이상적인 선거제도인가? 주제 2. 한국에서 유권자 개인의 투표행태는 선거제도의 영향력을 고려한 투표 행태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국회의원선거나 지방선거에서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