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빅 데이터의 정의와 특징 빅 데이터의 이용사례 빅 데이터의 문제점 or 한계점 빅 데이터의 전망.
Advertisements

R 프로그래밍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2010 서 희 명 ) 시스템 아키텍처 감리 - 강의계획서 -
미래정보통신기술 박 흠 성심관 1329 호 (055) 메일 : 홈페이지 :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1.
-국제 임상화학회 학술대회 및 당화혈색소 네트워크 연례정기회의 참석-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학 과 : 토목공학과 담당교수 : 김 수 용 분반,조 : 301분반,4조 조 이 름 : 다 크 호 스
글로벌경영학과 배인영 법학과 주정미 역사문화학과 허수한
로봇 소프트웨어.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근관치료학 개요.
Self Leadership Course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소비자 감성과 사용성을 고려한 인간공학적 의자설계 및 디자인 인터페이스 개발 한양 대학교 산업공학과 김정룡 외 4명
자연과학의 이해 (화학) 개념으로 엮은 자연과학개론 (화학)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오리엔테이션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워싱턴센터(The Washington Center) 인턴십 설명회 안내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대구한의대학교 노인교육론 제3장 노인에 대한 이해 한국커뮤니티센터 대표 우 룡.
HRCATS PRODUCT GUIDE ㅣ 02 HRCATS PRODUCT GUIDE ㅣ 03.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상담심리 Counseling Psychology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미국 음악교육자협의회 (MEN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보건교육방법론 1주.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과목명 : 중학교 사회 3학년 단원명 : Ⅵ. 인구 성장과 도시 발달 3. 인구 및 도시 문제 (교과서 p )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멀티미디어 활용 -플래시 CS3 류 정 남.
제1강의 Orientation 지방자치의 이해.
오리엔테이션 생물학개론 1주차 강의 It is difficult to come up with a single definition of life.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주관 : (사)한국사회복지심리사협회, 강남전문학교 공동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급변하는 사회에서의 노년기 생애지침 한 경 혜 이 정 화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가족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장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1주 1강.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이선자

오 리 엔 테 이 션 오리엔테이션 학 습 목 표 본 강의를 통해 노인과 노인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 노인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실천토대가 되는 이론적 지식과 방법론을 이해 함으로서 노인문제를 비롯한 제반 사회문제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갖도록 한다.

오 리 엔 테 이 션 교과진행방법 평가방법 교재소개 사회복지실무 - 오리엔테이션 중간고사 30% 교재명 : 노인복지학 학습 목표 내용 학습 요점 정리 Q/A 퀴즈 평가방법 교재소개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출 석 10% 과 제 10% 퀴 즈 10% 상호작용(평소점수) 10% 교재명 : 노인복지학 저 자 : 박석돈 공저 년 도 : 2006년 출 판 : 삼우사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주 차 별 강 의 계 획 주차별 강의계획서 기 간 강 의 요 목 강 의 내 용 1주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노인복지학의 개념 2주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2 현대 사회의 노인문제 3주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3 노인문제의 분석과 노인문제의 실상 4주 노인복지 실천의 기반 1 노인복지정책과 행정 5주 노인복지 실천의 기반 2 노인복지시설 6주 노인복지 실천 방법론 1 전통적인 실천 모형 7주 노인복지 실천 방법론 2 최근 실천 모형과 사례 8주 중 간 고 사 중간고사 9주 노인복지 실천방법론 3 노인사례관리 10주 노인복지의 쟁점들 1 고령화 사회와 실버산업 11주 노인복지의 쟁점들 2 장기 보호 12주 노인복지의 쟁점들 3 노인치매 13주 노인복지의 쟁점들 4 노인상담 14주 노인복지의 쟁점들 5 노인의 여가 및 교육 15주 기 말 시 험 기말시험

노인복지론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학의개념 노인복지학의 개념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이선자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 1주차 강의계획 1주 차 강의제목 ►노인복지학의 개념 1강. 노령화의 개념 2강. 노인의 개념 3강. 사회복지학과 노인복지학 (학습내용) 노인복지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노인복지를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노령화와 함께 노인 개념에 대한 전문적 분석과 이해가 요구되므로 노령화와 노인의 개념을 중심 으로 한 이해와 사회복지학의 전반적 이해 속에서 노인복지학의 개념을 정의하도록 한다.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1.노화(Aging)의 개념 ▶ 사전적 의미 : 나이를 먹음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쇠약해짐 ▶ 일반적 의미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간 유기체 전체에 보편적이며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변화의 과정 이러한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활문제와 욕구의 불충족 상태를 해결 함으로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려는 데에서 노령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노화(Aging)의 특징 ▶ 인간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과정 중의 한 부분 / 전체의 한 부분 ▶ 생물학적 노화, 심리적 노화, 사회적 노화의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 ▶ 개인 간 및 개인 내에서도 차이가 있음. (Birren, 1959) 1) 생물학적 노화(bio-logical aging) 신체의 기관과 체계의 구조 및 기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 2) 심리적 노화(psychological aging) 축적된 경험에 의한 행동, 감각, 지각기능, 자아에 대한 인식 등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 3) 사회적 노화(sociological aging) 생활주기를 통하여 일어나는 규범, 기대, 사회적 지위 및 역할의 변화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노화와 노인복지학의 개념 노화와 노인복지학의 개념 노인복지학은 한 개인이나 가족 또는 사회가 노화 과정에 있는 사람, 특히 노인들에게 사회 내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제반 사회서비스를 공급하는 활동과 관련된 사회적 노력에 관한 연구와 실천. 즉 노인복지학의 일차적인 대상은 현재 노령화의 과정으로 인하여 사회적, 가족적, 개인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중심으로 하고, 더 나아가 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그 가족까지 확대되고 있다.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노화에 대한 연구배경 노화에 대한 연구배경 ◦ 노인문제의 사회문제 대두 → 유럽은 19세기 말, 미국은 1930년대부터 (Maddox & Wiley,1976) ◦ 노인문제의 해결책을 보다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마련하려는 움직임에 부응하여 노화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관심 본격화 : 1940년대 ◦ 이에 따라 의학, 생물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등의 학문분야가 이론적 및 실천적차원에서 관심을 가지고 노화 및 노인에 관련된 제반 현상에 대한 연구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노년학의 의미 노년학의 의미 ◦ 노년학(gerontology) = 희랍어 geros(노령) + logos(무엇에 대한 연구나 서술) 즉 “ 노령을 연구하는 학문” (Read, 1996.) ◦ 인간 노화의 원인과 결과에 관하여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Atchley,1980)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노년학의 분야 노년학의 분야 1) 노년 생물학(biolocal gerontology) : 노화의 신체적 및 생리적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분야 2) 노년 심리학(psychological gerontology) : 연령증가에 따른 감각, 지각, 정신기능, 감정, 성격의 변화 및 이에 관련된 행동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분야 3) 노년 사회학 (social gerontology) : 연령증가에 따른 발달적 및 집단행동과 노인 인구의 존재로 인하여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에 관한 연구분야(Tibbitts, 1964) 4) 노년 의학(geriatrics) : 노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 질병의 원인 및 그 치료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임상적 활동 연구분야 5) 노년 사회복지학(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 노인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개인의 적응문제와 발전적 욕구의 해결에 필요한 정책적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관련되는 연구분야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한국 노년학 연구 한국 노년학 연구 1) 1968년 한국노인병학회 창설로 노년학 연구 시작 2) 1975년 한국 최초로 노인문제 연구의 전담 기구인 한국노인문제연구소가 설립되어 노인문제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정책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노년학 연구에 많은 기초자료 제공 3) 1976년 한국사회사업대학(현 대구대학교 전신) 부설 노인복지연구소 설립 4) 1978년 한국성인병학회 및 한국노년학회 설립 : 한국노년학회에서는 1980년에 학회지<한국노년학>을 창간하여 한국 노년학의 귀중한 연구자료 제공 5) 1979년 동덕 여대 부설 가정보건복지연소 설립 : 노인보건 및 건강실태에 관한 연구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한국 노년학 연구 한국 노년학 연구 6) 1980년대의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대우재단,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의 후원 하에 학술세미나가 개최되고 노년학 연구 더욱 활성화 :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의 학술세미나 보고서인<현대사회와 노인복지>와 노화와 노인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노인복지편람>을 발간하여 노년학 연구에 많은 기여 7) 1989년 한국노화학회 창립 8) 1993년 한국노년학회, 한국노인병학회, 한국노화학회가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결성;노년학 연구의 학제간 협력과 국제회의 참여 및 유치의 기틀 마련 9) 1999년 제6차 국제노년학회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노년학회 한국 개최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노년학 연구의 의의 노년학 연구의 의의 1) 노화현상 및 노년기 생활에 대한 연구자 자신의 통찰력을 키울 수 있어 개인적으로 자신의 노화현상을 이해하고 노년기를 잘 준비하여 긍정적으로 맞이할 수 있게 도움이 된다. 2) 노화 및 노인문제에 대하여 타인을 이해하고 돕는 데 기여한다. 노화에 대한 지식은 자신을 이해할 뿐 아니라 개인적인 차원에서 가족, 친구, 이웃 및 사회일반의 노인들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유용한 것이 될 수 있는 것이다. 3) 노화 및 이에 관련된 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노년학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하다.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노인복지론 노인복지론 1주 / 노인복지의 이론적 기초1 / 노인복지학의 개념 / 노화의 개념 학습요약 학습요약 노인복지학은 한 개인이나 가족 또는 사회가 노령화 과정에 있는 사람, 특히 노인들에게 사회 내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제반 사회서비스를 공급하는 활동과 관련된 사회적 노력에 관한 연구와 실천. 즉 노인복지학의 일차적인 대상은 현재 노령화의 과정으로 인하여 사회적, 가족적, 개인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중심으로 하고, 더 나아가 노인을 부양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가족을 지원하는데 까지 확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