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환경문제 1 물부족 문제 현안 및 대처방안
지구촌의 물부족 문제 환경과 인간 1
세계의 물 분쟁 사례 환경과 인간 2
우리나라의 장래 물 수급 전망 구 분 2006년 2011년 2016년 2020년 고수요 기준수요 저수요 환경과 인간 3 (단위: 백만m3/년) 고수요 구 분 2006년 2011년 2016년 2020년 계획부족량 866 952 1,437 1,494 수요관리량 1,831 2,334 2,995 4,090 예상부족량 2,697 3,286 4,432 5,584 기준수요 계획부족량 846 797 975 925 수요관리량 1,933 2,412 3,015 3,982 예상부족량 2,779 3,209 3,990 4,906 저수요 계획부족량 814 685 623 559 수요관리량 2,079 2,557 3,123 3,935 예상부족량 2,893 3,242 3,746 4,494 환경과 인간 3
<연평균 강수량> <1인당 강수량> 환경과 인간 4 우리나라 1,245mm (세계평균의 1.4배) 세계 19,635톤/년 우리나라 2,591톤/년 (세계평균의 1/8) <연평균 강수량> <1인당 강수량> 환경과 인간 4
2002년 2025년 2050년 우리나라 연간 1인당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 (단위 ㎥) 환경과 인간 5
우리나라의 물 분쟁 사례 환경과 인간 6
물 사용량 증가의 원인 1) 인구증가 2) 경제성장 인구증가로 인한 물 사용량 증가 산업시설의 확충 : 공업용수 사용량 증가 (각종 생활용수의 사용량 증가) 2) 경제성장 산업시설의 확충 : 공업용수 사용량 증가 (공장이나 발전소 냉각수, 공정용수 등) 농업생산성 변화 : 농업관개용수 사용량 증가 환경과 인간 7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1 농업용 관개의 효율성 개선 2 용수의 재이용 확대 세계적으로 물 사용량의 약 70% 정도가 농업용으로 사용됨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용수사용량의 47% 차지 ) 새로운 관개 기술의 개발· 보급 ex) 드립기술(drip technology) : 작물의 뿌리부분에 직접 물을 주는 기술 농민들의 농업용수 사용 습관 개선 2 용수의 재이용 확대 중수도 시스템 확대 중수도 : 한번 사용한 물을 생활용수, 공업용수로 다시 쓸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설 하수처리장 방류수, 오수처리시설 방류수, 폐수처리시설 방류수 등을 직접사용 또는 다시 처리하여 재이용 사용처 : 화장실 용수, 냉각용수, 청소용수, 조경용수, 공정용수 등 환경과 인간 8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3 생산설비 생산공정의 변화 4 해수의 담수화 용수 다소비 설비 지양 용수를 적게 소비하는 공정으로 생산공정 변경 4 해수의 담수화 환경과 인간 9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환경과 인간 10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5 빗물이용 확대 6 물 사용에 대한 인식 전환 및 물 절약 참여확대 빗물 저류(저장)시설을 이용하여 빗물을 모아 각종 용수로 활용 화장실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등 6 물 사용에 대한 인식 전환 및 물 절약 참여확대 경제적인 유인정책 보조금 지원 규제 및 홍보정책 중수도 시설 설치 의무화, 물 절약 캠페인 환경과 인간 11
국내환경문제 2 수돗물의 안전성
정수처리의 역사 B.C. 2000 이집트, 목탄여과에 대한 기록 B.C. 1450 이집트, 사이폰을 이용한 침전장치 사용 응집제, 완속여과법 사용 - 1742, 프랑스, 최초로 여과시설 이용 정수처리 19C 급속모래여과법 개발 - 1832, Scotland Pasiley 최초의 정수처리장 - 1884, 미국 Summerville 급속여과공정 도입 20C 염소소독 실시 - 1902, 벨기에 Middelkerke 정수장에서 최초 이용 - 1908, 국내 최초의 정수장 : 뚝도 정수장 (완속여과방식) 환경과 인간 12
정수처리과정 응집제 염 소(Cl2) 1. 취수장 2. 착수정 3. 혼화지 4. 응집지 5. 침전지 6. 여과지 7. 소독 8. 정수지 응집제 염 소(Cl2) 환경과 인간 13
먹는 물 수질 기준의 변화 현 재 ppb ppm 먹는 물 수질 기준의 강화화 더불어 정수처리기술도 발전 과 거 지표 미생물 (대장균, 일반세균) 심미적인 물질 (탁도, 색도) 중금속 (Pb, Cd, Hg, Cu..) ppm 현 재 유기화학물질(TCE, PCE..) 소독부산물질(THMs) 미량 유해물질(Dioxins) 농약류 등 ppb 먹는 물 수질 기준의 강화화 더불어 정수처리기술도 발전 환경과 인간 14
먹는 물 수질 기준 먹는 물 수질기준은 어떻게 정하나? 우리나라의 먹는 물 수질기준은 세계보건기구(WHO) 가 정한 “음용수 수질 가이드라인” 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선정함. 성인이 매일 2L씩 70년간 물을 마시는 경우를 전제로 함 - 동물 실험을 거친 후, 인체에 해로운 점이 발생될 확률을 1/1,000로 줄여서 이상이 없다는 평가를 하고 나서 기준을 정함 - 특히, 발암성에 대해서는 그 확률을 1/100,000로 더욱 줄임 우리나라의 수돗물은 이보다 더 낮은 100만명 당 1명이 인체에 유해를 입을 수 있는 최대 허용량을 수질기준으로 설정함 미생물,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심미적 영향물질 등 총 57항목 ※ 수질검사항목 : 한국수자원공사(250항목), 미국(102항목), 일본(118항목), WHO(151항목) 환경과 인간 15
수돗물에 대한 불신 ’ 89. 수돗물 중금속 검출사건 ’90. 발암성물질인 THMs(Trihalomethane)검출 ’91. 낙동강 페놀사건 ’92. 서울시 수돗물에서 대장균과 일반세균 과다검출 ’97. 수돗물의 바이러스 검출 문제 제기 ’02. 국회에서 서울시 수돗물의 바이러스 검출관련 문제 제기 환경과 인간 16
수돗물에 대한 불신 환경과 인간 17
우리나라 수돗물의 수질은? 환경과 인간 18
수돗물 불신의 원인 1 상수원의 수질 문제 2 노후 배관 및 물탱크 관리 소홀문제 3 소독부산물 생성 문제 4 상수원 수질악화에 대한 우려 상수원에 유입되는 하천오염이 문제 2 노후 배관 및 물탱크 관리 소홀문제 노후배관으로 인한 수돗물의 오염, 녹물발생 등 아파트, 단독주택의 물탱크 관리(청소,소독) 소홀로 인한 수돗물 수질저하 3 소독부산물 생성 문제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의 과다 투입으로 인한 소독부산물(THMs) 생성 적정 염소 투입 및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으로 해결 가능 4 수돗물의 바이러스 오염 가능성 ’97년 이후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됨 바이러스에 대한 수질검사방법 및 수질검사 강화 환경과 인간 19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대책 양질의 상수원 확보 정수시설의 개선 및 현대화 상수관망 유지관리 1 2 3 상수원 및 주변 하천의 수질보호 및 수질개선 대책 추진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민들의 노력 필요 수질오염물질 검사항목 확대 및 상시 감시체계 구축 2 정수시설의 개선 및 현대화 노후된 정수처리시설의 개선 및 자동화 고도정수처리공정의 도입 미량유해물질 제거, 소독능력 향상 고도처리시설 설치 현황(’06년 기준) : 21개 (한강수계 3개, 낙동강수계 15개, 금강수계 2개) 3 상수관망 유지관리 노후된 배수관의 지속적인 교체 저수조(물탱크), 옥내배관의 청소 및 보호기술 개발·보급 환경과 인간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