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환경문제 1 물부족 문제 현안 및 대처방안.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함세영 (Se-Yeong Hamm)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교수. 3 “ 물 ” 이란 ? 물 (H 2 O) 은 분자량 g/mol, 밀도 g/cm³ (20 °C 액체상태 ), 0.92 g/cm³ ( 고체상태 ) 임 물의 녹는점은 0°C,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경제 개발 계획 발표자 : 김지혜 교과서 119 쪽. 차례 경제 개발 계획 추진 목적 경제 개발 5 개년 계획 추진 경제 개발 추진 결과 산업 구조 개편 퀴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회 사 소 개회 사 소 개회 사 소 개회 사 소 개 CLEAN WATER CO., LTD. 주식회사 크린워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번지 시화공단 4 마 205 호 T : , F :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 해안 우리나라 근해의 면적 및 수심.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현황 수자원 이용현황 (2006, 건설교통부 )
‘환경은 국민의 협조와 노력 없이는 절대 좋아질 수 없다.’ ‘수질오염의 책임부여를 위한 제도의 계몽 필요’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소독부산물 저감을 위한 기존정수장 이산화염소(ClO2) 시범도입 사례 연구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물, 똑똑하게 사용하려면? 비인초등학교.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우리는 어떻게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나무가 드리는 소중한 선물 자료근거 제61회 식목일 나무심기 자료집 (2006, 산림청) 국립환경연구원 (1988)
국가별 물부족 상태 세계자원연구소 (WRI : the World Resources Institute / 1982년 설립) 년 12월 12일 (현지시각) 공개 수요 대비 공급 비율 높은 stress 매우 높은 stress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Operation & Maintenance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2014 Academy Water Prize 최종발표회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쌀의 생산 및 수급 (1) 우리나라의 쌀 생산 현황 ○ 쌀 생산 및 소비 추이.
역세척 후 초기 탁질 저감방안 한국수자원공사 창원관관리단 정수과 황 상 철.
HP: 사업 제안서 거울이 부착된 안약용기 HP:
6장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안전하고,맛있는 물 전남보건환경연구원 수질분석과장 양 수 인.
회 사 소 개 서 선 경 워 텍 ㈜.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소규모 멤브레인 시스템을 이용한 농촌 음용수 수질개선 연구
3장 정수장 설치.
대한의사협회, 환경운동연합, 국회환경경제연구회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정수처리공정(Purification of Water Process) 개선 사례
Vacuum Evaporation System
Ch.4. 화석 연료로 인한 기타 환경 문제들 도시 오존 Urban ozone 분진 기타.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수력에너지.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국민여가 캠핑장(숙박촌)계획 설계설명회 2008년 7월 7일 ㈜평화ENG. & 창우건축사사무소.
Ⅰ. 서 설 □ 상수도 보급률 88.7% (약 4,302만명), 시설용량 2,856만 톤/일 (’ 현재)
공정표준 준수를 위한 설비 개선 항목 주물생산부 공정 구분 라인명 문제점 개선 방안 비고 사처리 1, 3, 5라인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환경보건학 개론 제3장 아래용어를 꼭 이해하시고, 서술해 보세요!!! 학습기간: 상하수도 관리 part 1. 상수관리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먹는 물 중 규제대상 항목 발생원인 및 제거방법 (주요 부적합 항목을 대상으로)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위험도 인식 Munch - The scream.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대기오염자 대기오염의 원인: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일반 가정의 연료소비 등 사람들의 생활이나 활동에 따라 생기는 인위적인 것이다. 대기오염의 영향 대기오염 농도가 증가하면서 기관지 및 호흡기에 악영향을.
생물막 (Biofilm).
ECOZONE Clean Water Healthier Life ㈜ 에 코 바 이 오 친환경 절수형 소변기 정화장치
우리나라 매립지 메탄가스 처리방법 9조 강택원 연주상 오명석.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2014 아카데미 워터 프라이즈 물 환경 정책 포럼 & 공모전
이산화염소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인체 질병 및 치사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예
멜라민 이란? 서울특별시 식품안전추진단 ( Q) 멜라민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고효율 전구체 생산 모듈시스템 개발 및 플랫폼기술 개발 대량생산용 인공지능 전구체 합성세포공장 개발
하ㆍ폐수처리시설 기본배출부과금 수질총량관리과 / 이 승 현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염색/피혁가공공정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및 공정수 재활용 기술의 개발
Presentation transcript:

국내환경문제 1 물부족 문제 현안 및 대처방안

지구촌의 물부족 문제 환경과 인간 1

세계의 물 분쟁 사례 환경과 인간 2

우리나라의 장래 물 수급 전망 구 분 2006년 2011년 2016년 2020년 고수요 기준수요 저수요 환경과 인간 3 (단위: 백만m3/년) 고수요 구 분 2006년 2011년 2016년 2020년 계획부족량 866 952 1,437 1,494 수요관리량 1,831 2,334 2,995 4,090 예상부족량 2,697 3,286 4,432 5,584 기준수요 계획부족량 846 797 975 925 수요관리량 1,933 2,412 3,015 3,982 예상부족량 2,779 3,209 3,990 4,906 저수요 계획부족량 814 685 623 559 수요관리량 2,079 2,557 3,123 3,935 예상부족량 2,893 3,242 3,746 4,494 환경과 인간 3

<연평균 강수량> <1인당 강수량> 환경과 인간 4 우리나라 1,245mm (세계평균의 1.4배) 세계 19,635톤/년 우리나라 2,591톤/년 (세계평균의 1/8) <연평균 강수량> <1인당 강수량> 환경과 인간 4

2002년 2025년 2050년 우리나라 연간 1인당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 (단위 ㎥) 환경과 인간 5

우리나라의 물 분쟁 사례 환경과 인간 6

물 사용량 증가의 원인 1) 인구증가 2) 경제성장 인구증가로 인한 물 사용량 증가 산업시설의 확충 : 공업용수 사용량 증가 (각종 생활용수의 사용량 증가) 2) 경제성장 산업시설의 확충 : 공업용수 사용량 증가 (공장이나 발전소 냉각수, 공정용수 등) 농업생산성 변화 : 농업관개용수 사용량 증가 환경과 인간 7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1 농업용 관개의 효율성 개선 2 용수의 재이용 확대 세계적으로 물 사용량의 약 70% 정도가 농업용으로 사용됨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용수사용량의 47% 차지 ) 새로운 관개 기술의 개발· 보급 ex) 드립기술(drip technology) : 작물의 뿌리부분에 직접 물을 주는 기술 농민들의 농업용수 사용 습관 개선 2 용수의 재이용 확대 중수도 시스템 확대 중수도 : 한번 사용한 물을 생활용수, 공업용수로 다시 쓸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설 하수처리장 방류수, 오수처리시설 방류수, 폐수처리시설 방류수 등을 직접사용 또는 다시 처리하여 재이용 사용처 : 화장실 용수, 냉각용수, 청소용수, 조경용수, 공정용수 등 환경과 인간 8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3 생산설비 생산공정의 변화 4 해수의 담수화 용수 다소비 설비 지양 용수를 적게 소비하는 공정으로 생산공정 변경 4 해수의 담수화 환경과 인간 9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환경과 인간 10

물부족 문제 해결방안 5 빗물이용 확대 6 물 사용에 대한 인식 전환 및 물 절약 참여확대 빗물 저류(저장)시설을 이용하여 빗물을 모아 각종 용수로 활용 화장실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등 6 물 사용에 대한 인식 전환 및 물 절약 참여확대 경제적인 유인정책 보조금 지원 규제 및 홍보정책 중수도 시설 설치 의무화, 물 절약 캠페인 환경과 인간 11

국내환경문제 2 수돗물의 안전성

정수처리의 역사 B.C. 2000 이집트, 목탄여과에 대한 기록 B.C. 1450 이집트, 사이폰을 이용한 침전장치 사용 응집제, 완속여과법 사용 - 1742, 프랑스, 최초로 여과시설 이용 정수처리 19C 급속모래여과법 개발 - 1832, Scotland Pasiley 최초의 정수처리장 - 1884, 미국 Summerville 급속여과공정 도입 20C 염소소독 실시 - 1902, 벨기에 Middelkerke 정수장에서 최초 이용 - 1908, 국내 최초의 정수장 : 뚝도 정수장 (완속여과방식) 환경과 인간 12

정수처리과정 응집제 염 소(Cl2) 1. 취수장 2. 착수정 3. 혼화지 4. 응집지 5. 침전지 6. 여과지 7. 소독 8. 정수지 응집제 염 소(Cl2) 환경과 인간 13

먹는 물 수질 기준의 변화 현 재 ppb ppm 먹는 물 수질 기준의 강화화 더불어 정수처리기술도 발전 과 거 지표 미생물 (대장균, 일반세균) 심미적인 물질 (탁도, 색도) 중금속 (Pb, Cd, Hg, Cu..) ppm 현 재 유기화학물질(TCE, PCE..) 소독부산물질(THMs) 미량 유해물질(Dioxins) 농약류 등 ppb 먹는 물 수질 기준의 강화화 더불어 정수처리기술도 발전 환경과 인간 14

먹는 물 수질 기준 먹는 물 수질기준은 어떻게 정하나? 우리나라의 먹는 물 수질기준은 세계보건기구(WHO) 가 정한 “음용수 수질 가이드라인” 을 기준으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선정함. 성인이 매일 2L씩 70년간 물을 마시는 경우를 전제로 함 - 동물 실험을 거친 후, 인체에 해로운 점이 발생될 확률을 1/1,000로 줄여서 이상이 없다는 평가를 하고 나서 기준을 정함 - 특히, 발암성에 대해서는 그 확률을 1/100,000로 더욱 줄임 우리나라의 수돗물은 이보다 더 낮은 100만명 당 1명이 인체에 유해를 입을 수 있는 최대 허용량을 수질기준으로 설정함 미생물,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심미적 영향물질 등 총 57항목 ※ 수질검사항목 : 한국수자원공사(250항목), 미국(102항목), 일본(118항목), WHO(151항목) 환경과 인간 15

수돗물에 대한 불신 ’ 89. 수돗물 중금속 검출사건 ’90. 발암성물질인 THMs(Trihalomethane)검출 ’91. 낙동강 페놀사건 ’92. 서울시 수돗물에서 대장균과 일반세균 과다검출 ’97. 수돗물의 바이러스 검출 문제 제기 ’02. 국회에서 서울시 수돗물의 바이러스 검출관련 문제 제기 환경과 인간 16

수돗물에 대한 불신 환경과 인간 17

우리나라 수돗물의 수질은? 환경과 인간 18

수돗물 불신의 원인 1 상수원의 수질 문제 2 노후 배관 및 물탱크 관리 소홀문제 3 소독부산물 생성 문제 4 상수원 수질악화에 대한 우려 상수원에 유입되는 하천오염이 문제 2 노후 배관 및 물탱크 관리 소홀문제 노후배관으로 인한 수돗물의 오염, 녹물발생 등 아파트, 단독주택의 물탱크 관리(청소,소독) 소홀로 인한 수돗물 수질저하 3 소독부산물 생성 문제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의 과다 투입으로 인한 소독부산물(THMs) 생성 적정 염소 투입 및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으로 해결 가능 4 수돗물의 바이러스 오염 가능성 ’97년 이후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됨 바이러스에 대한 수질검사방법 및 수질검사 강화 환경과 인간 19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대책 양질의 상수원 확보 정수시설의 개선 및 현대화 상수관망 유지관리 1 2 3 상수원 및 주변 하천의 수질보호 및 수질개선 대책 추진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민들의 노력 필요 수질오염물질 검사항목 확대 및 상시 감시체계 구축 2 정수시설의 개선 및 현대화 노후된 정수처리시설의 개선 및 자동화 고도정수처리공정의 도입 미량유해물질 제거, 소독능력 향상 고도처리시설 설치 현황(’06년 기준) : 21개 (한강수계 3개, 낙동강수계 15개, 금강수계 2개) 3 상수관망 유지관리 노후된 배수관의 지속적인 교체 저수조(물탱크), 옥내배관의 청소 및 보호기술 개발·보급 환경과 인간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