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체육학과 200891123 강은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경과학 - 기초 인지과학 입문. I. 신경과학의 기초 1. 신경과학 – 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을 이해 – 신경 해부학 신경 생리학 신경 약리학 신경 분자 생물학 행동학  현재 인지 신경과학 부문이 커지는 경향.
Advertisements

신경계 신경계 신체의 내부와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여 종 합, 분석하여 기능이 상이한 수많은 세포들 의 활동을 조절, 통제 중추신경계 뇌 척수 말초신경계 12 뇌신경 31 개 척수신경 자율신경계.
어지럼증 이란 ? 어지럼증의 원인은 ? 노인에서 어지럼증이 많은 이유는 ? 어지럼증은 어떻게 진료를 받는가 ? 어지럼증의 치료는 ?
뇌와 행동. > Index 1. 신경계의 정보전달 2.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뇌 3. 뇌의 구조와 마음 4. 뇌와 마음 ( 분리 뇌 환자 연구를 중심으로 )
영화 매트릭스의 실체 뇌와 컴퓨터의 만남 영화 매트릭스의 실체 이 은 주이 은 주. 차 례차 례 영화 Matrix 를 통해 본 뇌와 컴퓨터의 만남 뇌의 구조와 신호 전달 뇌 - 컴퓨터 접속 시스템 Real or Fake?
Ⅰ. 체육의 과학적 원리 송 대 일 동 신 고 등 학 교.
생체계측 및 의료기기 (2004, 3rd quarter)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생리심리학 발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사회복지학과 김마리아.
목차 세포에서의 에너지 변환 에너지 대사 운동과 대사 에너지 기질 대사의 조절 에너지 평형 조절 Ⅰ Ⅱ Ⅲ Ⅳ Ⅴ.
신경계와 호르몬 -독서활동 적용수업 동구중학교 양 은 경.
침자극이 동공반사 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장 인체내부의 환경조절.
신경계: Nerve System in Human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퇴행성 신경질환.
신경계의 구성과 발생 신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강 민 수 PT. OT.
신경계의 구성과 발생.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기억 II – 신경과학적 기초 인지과학 입문.
강예나 서민혜 이성은.
근육계통 (muscular system)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기억 II – 신경과학적 기초 인지과학 입문.
“DC POWER SUPPLY의 소개”.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운동생리학 입문 (Introduction of exercise physiology)
2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보행에서 Central Pattern Generator (CPG)에 대한 이해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인지주의 피아제 (J. Piaget): 인지발달 이론 브루너(J. Bruner ): 효과적 학습을 위한 4가지 단계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4장. 유아 신체 및 운동발달.
전기진단검사 I.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제19장 신경계 부검 결과, 웨터한 박사의 소뇌(왼쪽)는 정상인(우측)에 비해 상당히 작아져 있었다.
내분비.
신경조직 Nervous tissue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귀의 구조와 기능(1) 두드려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의 전달 경로.
신경계 발달 Primary Neurulation 재태기간 3주부터 Neural plate 출현 → 신경관 형성
실 습 설 명 한의진단시스템 실습 2002년 11월 4일.
색체 인식과 영상 장치 빛의 합성과 색체 인식 백색광 ex) 햇빛, 형광등, 백열등
생명유지 기능과 항상성
3. 신경계의 중요 구조 Pierre Cabanis(프랑스 혁명 중 사형수 연구): 척수의 반사기능 확인.
2장. 생물학적 기초.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호르몬이란? 동물의 내분비 샘에서 분비되어, 몸 안을 순환하며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호르몬의 조절 작용(1) 항상 일정하게! 신경계와 호르몬의 조절 작용 혈당량 조절 모의 실험.
과학 10 학년 Ⅳ. 생명 > 2. 자극과 반응 > 1 / 8 자극에서 반응까지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지식회고 소장전막 내분비기관 화학 조절 미량 체액
CAS (Computer Algebra System) 소개
뇌전도 문건희.
운동 생리학 역사와 미래 Orientation.
미각, 후각,피부감각/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은?
운동 계획 및 기술 (IN 수행 기술) 경희대동서신의학병원 작업치료실 황 금 선
신경계, 뇌, 그리고 주의력 결핍 행동장애 ,중독,치매 1. 신경계 2. 뉴런. 뉴런의 구조. 뉴런의 기능 3
해부학자.
Automatic nerve system
*뇌 과학이란 무엇인가? *뇌의 구조와 거시적 미시적인 기능 *뇌 연구와 물리학
눈의 구조와 기능(1) 사람이 천냥이면 눈이 팔백냥이다. 눈의 구조와 기능 시각의 전달 경로.
자극과 반응 자극 생물에 작용하여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환경 요인
Hubel Wiesel 신경세포의 활동과 전기적 신호전달 신경세포활동의 전기생리적 측정 Na+ 이온 유입 자극 K+ 이온 유출.
Ⅱ. 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Exercise)
집적회로 프로젝트 계획서 박경순 이윤실.
홍채 부위별 기능과 영역 동공 직경 10-12mm 폭 4-5mm 두께 mm
Lesson 1 ELECTROMYOGRAPHY Ⅰ Standard and Integrated EMG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200891123 강은진

3. 신경계의 분류 4.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5.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제4장. 신경계 3. 신경계의 분류 4.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5.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3.신경계의 분류 @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가 있다. 1. 중추신경계 : 뇌, 척수로 구성 @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가 있다. 1. 중추신경계 : 뇌, 척수로 구성 (1000억 개의 신경원을 가지고 있다.) 2. 말초신경계 : 중추신경계를 제외한 신경세포로 구성 - 감각기관: 수용기→중추신경계로 신경자극을 수송 - 운동기관: 중추신경계→말초의 근으로 자극을 전도 @ 뇌는 대뇌, 간뇌, 소뇌, 뇌간으로 구분

< 신경계의 해부학적 분류 >

4.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1. 대뇌 - 좌우 반구로 구성(소통이 가능하도록 뇌량에 의해 연결) - ‘대뇌피질’은 800만 개 이상의 신경원을 가지고 있다. → 복잡한 운동의 조직화, 학습된 경험의 저장, 지각정보의 수용 등의 중요한 운동행위 기능을 수행 대뇌

- 대뇌피질 부분은 운동피질 → 피질하의 구조에서 정보를 받고, 모든 정보가 마지막 연결지점 @운동피질이 최종움직임 설정 → 척수로 운동명령 →피질하와 척수중추에 의해 수정

2. 소뇌 - 뇌간과 연수 되에 위치 -고유 수용기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반응 →움직임 조절을 도움, 운동을 조절 -움직임의 동작제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 @기능이 손상 → 움직임 미숙, 근육의 떨림 심함 똑바로 걷지 못함 소뇌

- 대사의 조절, 심폐기능 조절 및 복잡한 반사작용 조절, 상위 뇌 중추(골격근 활동 조절)와 함께 작용 3. 뇌간 -중뇌, 교, 연수로 구성 . 척수와 뇌를 연결 - 대사의 조절, 심폐기능 조절 및 복잡한 반사작용 조절, 상위 뇌 중추(골격근 활동 조절)와 함께 작용 - 신경회로: 안구운동의 조절, 근육의 긴장상태, 균형감각, 신체조절, 반사작용 뇌간

4. 간뇌 - 주요한 부분은 시상과 시상하부 - 지각정보는 시상 → 대뇌피질의 적절한 부위 @ 시상 : 근 운동의 제어를 담당 @ 시상하부 : 체내의 환경을 유지, 내장의 작용 조절하는 최고의 중추부위, 심박수, 체온, 수분대사, 수면, 각성주기등을 제어 간뇌

< 뇌의 주요 부위와 역할 담당 >

5.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역할 1. 자율신경계 - 신체의 내부환경을 일정하게 유지 - 심근, 내분비 선, 평활 근의 활동, 호흡 or 혈압조절 등 제어 - 필요에 따라 근육과 내분비선의 활동을 조절 (스포츠 활동시에 심박수, 혈압, 호흡, 혈액공급에 작용) @ 자율신경계: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 각 기관에서의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역할> < 각 기관에서의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역할>

2. 체성신경 - 체성이란? 몸의 바깥부분(의식적인 활동) - 수의운동을 제어, 골격근과 연결되는 신경 @골격근을 지배하는 신경 = 운동신경 or 운동뉴런 @ 원심성신경 운동 뉴런처럼 중추→말초로 임펄스(흥분)를 전달 하는 것 @ 구심성신경 지각신경 등에서 말초→중추 임펄스가 보내지는 것

< 말초신경과 척수 신경 >

END 200891123강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