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6).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Advertisements

소명의식 기본심리욕구 소명실행 1) 삶의 만족 2) 심리적 안 녕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일 가치감 일 목적지향 천직의식 기여와 헌신동기 이타행동 가설 1.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5장 단일사례조사설계 경북대학교 황성동 C.
제 5 장 단일사례조사설계 서유미.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제12주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Multi Intelligences Theory
Multi Intelligence Theory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Multi Intelligence Theor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제8장 사회복지실천과정 사회복지실천론(이종복외)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제15장 평가.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 경영학부 최은지 경영학부 이창현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조사론(7) 2006학년도 2학기.
외과병동에서 시행되는 Wound dressing시 처치/재료 입력 누락방지를 위한 개선활동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제3절 강점관점 1. 강점관점의 개념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교재명 : 사회복지실천론 저자명 : 양정남, 최선령 출판사 : 양서원 2007년
제17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전남련외)
기술보증기금.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3장 사회복지조사의 과정 경북대학교 황성동 C.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제 7장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기록방법 사회복지실천론(이종복외)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사회복지조사와 조사 연구 방법 제3장.
자녀의 심리적 안정도에 미치는 부모요인 분석.
사회복지실천론 제11장 종결 및 평가과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제1-1주차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2.문제사정 3. 계획의 수립.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사회복지실천론.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4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정보환경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11장 2차적 자료 수집과 내용 분석 경북대학교 황성동 C.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Ch 07. 조사 도구 개발 조사 도구 개발 과정 조사주제 •가설 정의 개념화•조작화 척도 질문지 구성-원칙과 양식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피쉬본을 이용한 문제분석 참여자 프로그램 운영내용 낮은 완성률 프로그램운영자 진행자 1인이 주4회 운영 동기부족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졸업프로젝트.
Presentation transcript:

사회복지실천기술론(6)

사회복지실천기록과 평가 기록의 목적과 용도 기록의 방법과 유형 평가의 중요성 평가의 유형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방법 프로그램 평가

기록의 목적과 용도 1) 책임성:기관, 클라이언트, 지역사회에 법적 · 윤리적 책임 2) 정보제공:CT와 그 가족, 대리인,고용주,실천가,지도감독관, 자문,그리고 기관 내의 다른 전문가에게 정보제공(치료 목적 활용) 3) 개입이나 서비스의 과정 점검 및 평가(효과성 개입 평가) 4)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 증진(CT욕구파악,CT자신의 이해, CT와 사회복지사간의 의사소통) 5) 지도감독 및 교육 활성화: 실천가들을 교육및 감독 이용, 사회복지사들의 자신의 이해, 수퍼바이저가 지도감독활용) 6) 근거자료: 기관및 사회정책의 증명, 연구자료 활용, 재정및 기금마련 근거자료, 서비스의 질 관리조사 이용)

7) 효과적인 사례관리: 클라이언트 서비스 연결, 서비스의 중복및 누락방지 8) 타 전문직과의 의사소통: 전문직간 협력을 원활 9) 자료화: 사회복지실천활동이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을 자료로 남김

★ 기록에 포함되는 기본적인 내용 ㉠ 클라이언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나이, 연령, 성별, 직업, 교육수준 등 ㉡ 클라이언트의 사회력(가족력, 심리적.정서적기능,대인관계,중요한 타자와의 관계, 최근 서비스 이용 현황) ㉢ 개입의 필요성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 ㉣ 사회복지사의 면접 및 사정 내용 ㉤ 서비스 제공 목적 및 계획 ㉥ 서비스 과정 ㉦ 종결 및 평가에 대한 내용 ㉧ 사후관리 등

2. 기록의 방법과 유형 1) 원장과 서사기록 자원배분 기록, 기록의 책임성에 대한 서사적 보고 2) 과정기록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있었던 일을 그대로 기록 -슈퍼비전이나 교육적 목적 -시간/비용 많이 소모 -정보가 불완전하며 왜곡될 가능성 (실제로 일어났던 일에 대한 완벽하게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

3) 이야기체기록(narative recording)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이야기하듯이 서술 -이야기하듯 서술 -면담 내용 혹은 서비스 제공과정 내용이 정리되어(재구성) 서술 -이야기체기록은 일정한 틀이나 양식이 있지 않아 중요한 정보는 기재 그렇지 않은 것은 배제 할 수 있는 융통성 -기록의 양이 많아지면 원하는 정보를 하위 제목으로 조직화 -기록자의 문장력에 의존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작성하므로 원래대로 정보를 복구하기어려움

4) 요약기록(summary recording) - 중요한 정보의 요약 - 일정한 간격에 따라, 혹은 그때그때 마다 필요할 때 작성 - 서비스나 개입내용 요약, 클라이언트와 변화에 초점 - 장기 사례에 유용하다. - 클라이언트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의 전달이 미흡 5) 문제중심(문제지향적)기록(problem-oriented recording) - SOAP(S: 주관적 정보,O:객관적 정보, A:사정-전문가의개념화와 결론, P: 계획-문제를 제기하거나 해결하는 방법 - 전문직간 의사소통 원활, 협력 증진, 책무성 향상, 환경과의 상호작용적 관점 결여

★ ‘SOAP’식 구성 - S(Subjective Information): 클라이언트나 가족으로부터 얻는 주관적 정보, 기본적인 자료, 클라이언트가 느끼는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인식과 감정 등 - O(Objective Information): 검사와 관찰로부터 얻은 객관적 정보, 전문가의 관찰, 검사 결과, 체계적 정보 등 - A(Assessment): 사정, 주관적 정보와 객관적 정보를 검토해서 추론된 전문가의 해석이나 결론 - P(Plans): 계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나 계획

3. 평가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측정: 목표달성 여부 사회복지실천의 효율성 측정: 비용대비 효과 자원의 사용에 대한 책임성 입증: 재정적 지원의 근거 클라이언트에 대한 책임성 이행: 사례진행 정도 실천과정에 대한 모니터: 클라이언트의 변화 측정 사회복지사의 능력 제고: 사회복지사의 실천 내용 점검

4. 평가의 유형 1) 평가차원에 따른 분류 - 성과평가: 목표에 비추어 성취된 결과를 평가 - 과정평가: 개입과정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을 평가 - 사회복지사평가: 사회복지사의 행동, 태도, 속성 등이 개입에 미친 영향을 평가 2) 평가목적(혹은 시점)에 따른 분류 - 형성평가: 개입과정에 대한 평가, 실천 과정에 초점을 두고 주기적으로 진전 상황을 평가한다. - 총괄평가: 실천 종결 시 목적 달성여부와 관련하여 그 요인을 분석, 개입이 목표로 하는 바를 얼마나 잘 성취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효율성과 효과성을 평가한다.

3) 평가대상에 따른 분류 - 사회복지실천평가: 개인,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실천활동에 대한 평가 -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등을 평가

5.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방법 1) 집단설계 - 실험연구 - 실험집단, 통제집단 설정 - 가설검증(목적) - 이론형성 - 윤리적 문제 야기 가능성(통제집단에 의도적 개입하지 않는다는 점) 2) 단일사례연구설계(single case study design) - 목적은 가설검증이 아닌 개입의 효과성 분석(표적행동에 대한 개입의 효과성 분석)

- 표본의 크기=1, 분석단위-1, N-1: 단일한 대상사례, 개인이나 집단 - 반복적 관찰 : 경향와 변화정도 알 수 있도록 반복적 관찰 - 즉각적인 환류: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자료 수집, 개입으로 조사 대상 변화를 주기적 파악, 진행도중 정보 환류 - 통제집단 없음 - 개입전후 비교(실험집단과 통제집단과 같은 비교 효과)

★ 단일사례연구설계의 유형 - AB설계: 기본단일설계(기초선⇒ 개입단계) 개입이 표적행동에 미치는 효과의 신뢰도가 낮다 - ABA설계: 기초선 ⇒ 개입단계 ⇒ 제2기초선 개입효과 측정으로 개입중단하는 것은 윤리적인 문제 초래, 결과의 인과관계가 불명확함. - ABAB설계: 기초선 ⇒ 개입단계 ⇒ 제2기초선 ⇒ 개입국면 개입, 철회를 반복함으로써 결과의 인과관계가 명확함, 개입철회에서 윤리적인 문제 초래 - BAB설계: 개입단계 ⇒ 기초선 단계⇒ 개입단계 기초선 측정 없이 바로 개입할 때 사용 - 다중요소설계: 기초선 단계 ⇒서로 다른 개입방법 사용 ABCD, ABAC 등 - 복수기초선(multiple baseling): 하나 이상의 기초선을 사용하는 것

6. 프로그램 평가 -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 적절성, 만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평가 - 사회복지서비스가 필요한지, 서비스가 제대로 수행되는지, 그리고 서비스가 목적한 바대로 사람들의 욕구나 문제에 효과적이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 평가의대상은 프로그램의 효과성, 운영과정, 효율성,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운영자의 전문성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