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뇌, 그리고 주의력 결핍 행동장애 ,중독,치매 1. 신경계 2. 뉴런. 뉴런의 구조. 뉴런의 기능 3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틱장애 (TIC DISORDER) 권영신 전선옥. 목차 정의 원인 증상 경과 진단 검사 치료방법.
ADHD 학생의 이해와 지도. 주의력 결핍 장애 Attention Deficit Disorder, AD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1.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나만의 광고 만들기 - 아동 성범죄 근절 - (공익 광고)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최현민.
우리 아이들의 ‘성’ 최 경 화 맑은 성 교육 클리닉 ..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생리심리학 발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사회복지학과 김마리아.
2 장 인체내부의 환경조절.
SCHWANNOMA 신경초종 홍아람 병리학적 소견, MRI 소견.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강예나 서민혜 이성은.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2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Hydrogen Storage Alloys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제19장 신경계 부검 결과, 웨터한 박사의 소뇌(왼쪽)는 정상인(우측)에 비해 상당히 작아져 있었다.
내분비.
신경조직 Nervous tissue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귀의 구조와 기능(1) 두드려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의 전달 경로.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Loading 생명의 시작.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2장. 생물학적 기초.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Habit and Impulse Control Disorder
호르몬의 조절 작용(1) 항상 일정하게! 신경계와 호르몬의 조절 작용 혈당량 조절 모의 실험.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Progress Seminar 선석규.
Chapter 5 청소년과 약물남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뚜렛 증후군 증후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강박적 행동 적대적 반한
기술보증기금.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1-5 용해도.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Automatic nerve system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Hubel Wiesel 신경세포의 활동과 전기적 신호전달 신경세포활동의 전기생리적 측정 Na+ 이온 유입 자극 K+ 이온 유출.
Presentation transcript:

신경계, 뇌, 그리고 주의력 결핍 행동장애 ,중독,치매 1. 신경계 2. 뉴런. 뉴런의 구조. 뉴런의 기능 3 신경계, 뇌, 그리고 주의력 결핍 행동장애 ,중독,치매 1 신경계 2 뉴런 뉴런의 구조 뉴런의 기능 3 뇌: 대뇌, 소뇌, 뇌간 4  신경전달과 ADD ADD와 뇌의 구조 및 기능 환경과 ADD 리탈린 5. 중독들,치매

동영상 귀 코 목 미국 ADHD 한국ADHD 마약의 유혹 거짓말 중독 욕 중독 운동 소리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Neuron;신경세포 신경계는 뉴런(neuron;신경세포)의 집합이다. 뉴런은 신경을 구성하는 구조적, 기능적인 기본 단위 정보의 전달·처리·저장(기억)에 관계하는 세포다.

뉴런의 종류 연합 뉴런 : 감각신호를 효과기로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자극을 명령으로 바꾸는 뉴런 - 감각뉴런 : 감각 수용기의 신호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연합 뉴런 : 감각신호를 효과기로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자극을 명령으로 바꾸는 뉴런 - 운동뉴런 : 효과기로 신호를 전달한다 (근육,세포)

시냅스 (synapse) Neuron 사이의 중계 부위. 한 뉴런의 축색돌기와 다른 뉴런의 수상돌기가 만나는 곳 시냅스 소포에서 생성된 신경 전달 물질은 근처 뉴런의 신경 세포체 또는 수상돌기에 닿아 신호를 전달한다. 단 방향 전송.

가지돌기 시냅스단추 시냅스단추 수백 개의 다른 뉴런에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수초 세포체 축삭 시냅스단추

뉴런의 작동

시냅스의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아미노산 : 아스파테이트, 그루타메이트, 글리신, GABA 펩티드 : substance P, 엔도르핀 용해성 기체 : 산화질소

사람의 신경계 신경계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자율신경계 체성신경계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운동신경계 감각신경계 몸의 각 부분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신경 뇌, 척수 자율신경계 체성신경계 의식이 관여하는 신경충격을 전달 체내에서 일어나는 무의식적인 반응에 관여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운동신경계 감각신경계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일어나는 많은 조절작용에 관여 운동뉴런 근육을 움직이고 실행기를 활성 시키는 운동뉴런 감각기관으로부터 신경충격을 뇌와 척수로 전달하는 감각뉴런

Human’s Nervous System

두개골, 3겹의 질긴 보호막(뇌척수막), 뇌척수액(압력과 충격을 흡수) 신경계의 최고 중추 휴식상태에서,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의 15% 공급됨 몸이 섭취하는 포도당의 75%를 소비(인체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16%를 사용) 무게 : 약 1.4 kg 체중의 2% 부피 : 약 1300 ~ 1500 ㎤ 1000 억 개 이상의 신경세포 약 1조 개의 신경교세포 젤라틴과 같은 물질을 보호하기 위해서 두개골, 3겹의 질긴 보호막(뇌척수막), 뇌척수액(압력과 충격을 흡수) 신경계의 최고 중추

뇌 기능(Brain) 생명유지 활동의 조절과 통제기능. 신체 활동에 대한 정보를 각 부분으로 연락 역할. 신체 활동에 대한 정보를 각 부분으로 연락 역할. 학습, 기억의 저장, 언어 사용능력 모든 의도적인 행동의 출발점 정보의 입력(input). 정보처리(central processing). 운동신호의 출력(output)이 뇌를 중심으로 한 신경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감각입력 통합 감각수용기 운동출력 뇌, 척수 효과기 말초신경계 (PNS) 중추신경계 (CNS)

체간 및 사지를 지배하는 31대의 척수신경이 출입한다. 척추관(vertebral canal) 내에 보호됨. 척수(spinal cord) 척수는 연수에 연결되어 있다 뇌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역할 자극이나 명령을 전달하는 통로 체간 및 사지를 지배하는 31대의 척수신경이 출입한다. 척추관(vertebral canal) 내에 보호됨. 세 겹의 수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수막 안쪽에 뇌척수액이 있어 완충 작용을 함. 앗 뜨거 할 때의 자극을 뇌로 전달하면 피해라 하는 명령을 내린다.

1 감각수용기(피부) 2 감각뉴런 뇌 신경절 3 운동뉴런 척수 넙다리 네갈래근 4 사이 뉴런 중추신경계 신경 굴근 말초신경계

척수에 손상이 오면 중추신경계와 나머지 신체 사이의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등 쪽의 외상은 하반신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목 외쪽의 외상은 목 하부의 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약물중독의 원리 신경전달 물질중에 도파민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사람에게 행복감과 만족감을 주는 물질이다. 원래 도파민이 적정량 이상이면 환각을 일으키므로 자동제거 되나, 중독약물들은 도파민의 분비를 자극하고, 제거 과정을 억제한다. 그래서 환각증상이 일어나고, 약물공급이 중단되면 줄어든 도파민의 양을 견디지 못하고 또 약물을 하고 싶게 된다.

흥분제(stimulant, 자극제, 각성제) 흥분, 기민함, 기분 고양, 피로 감소, 때때로 운동 활동성 증가 도파민 D2, D3, D4 수용기의 활동 증가 암페타민(amphetamine) 도파민 방출 증가  도파민 재흡수를 차단, 도파민 방출을 억제하는 시냅스를 차단 코카인(cocaine)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재흡수 차단

흥분제 사용이 일으킬 수 있는 문제 코카인 장기복용시 엑스터시(MDMA) 뇌 대사와 혈류에 변화  뇌줄중, 간질, 기억장애 위험성 증가 엑스터시(MDMA) 저용량에선 도파민 방출을 자극 고용량에선 세로토닌 시냅스도 자극하여 환각 효과 도파민 & 세로토닌 축색을 파괴  우울증, 파킨슨병의 가능성 증가. 기억장애 가능성

니코틴(nicotine) 아세틸콜린 수용기 중 한 종류를 자극 = 니코틴성 수용기 이 수용기는 측핵의 도파민성 축색 주위에 분포하여 도파민 방출을 증가시킴 코카인이 영향 미치는 그 동일한 세포에서 도파민 방출을 증가시킴 쥐를 니코틴에 반복 노출시킨 후 중단  측핵의 세포가 정상 이하로 활동  니코틴뿐 아니라 다른 많은 사건들의 강화력 감소를 의미

아편제(opiate drugs) 양귀비에서 추출: 모르핀, 헤로인, 메타돈 효과: 이완, 통증 민감성 감소, 현실세계의 문제에 대한 주의 감소 등 중독성이 높으나, 의학적 지침대로 진통제로 사용시 남용 우려 없음 식물에서 뽑아낸 물질이 어떻게 사람에게 강력한 효과를 내는 거야?  아편제 수용기를 뇌에서 발견  그 수용기에 작용하는 내인성 물질도 발견: 엔도르핀(endorphin)

마리화나(marijuana) 대마 잎에 있는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및 그 관련 카나비노이드가 주성분 의료적 용도: 통증이나 멀미를 완화시킴, 녹내장 제거 심리적 효과: 감각경험의 증폭, 시간감각의 왜곡, 인지장애(기억장애) 특징: 지용성이라서 사용 후 오랫동안 체내에 남아있음. 금단증후 거의 없음.

환각제 지각을 왜곡하는 약물 LSD: 세로토닌과 비슷해서 그 수용기에 작용. 왜 환각이 경험되는지는 모름.

약물, 시냅스에 미치는 효과 약물은 그 주요 작용에 따라 구분 별로 체계적이지 않음 작용은 다르지만 거의 모든 향정신성 약물(psychoactive drug)은 도파민 시냅스의 활동에 영향을 준다.

알코올의 생리적 효과 나트륨의 세포막 투과 억제  뉴런이 흥분하기 힘들게 됨 세포막의 표면 확장 GABAA 수용기의 반응 촉진 도파민 활동 증가

중독의 종류 약물: 욕 소리 운동 거짓말 성형 음식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미국 청소년 문제 ADH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이해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란? 학령 전기 및 학령기 아동들에게서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정신과적 장애로서, 지속적인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충동성 등의 증상을 보이며, 아동의 정상적인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장애이다. ADHD는 의학적인 질환으로 인식된지 100년도 넘는 질환이며 의학적인 치료의 역사는 60년이 넘는 질환이다. 하지만 그 역사에 비해 아직까지도 진단과 치료율이 낮은 질환이기도 하다.

소아기에 발병 후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 많음 ADHD의 이해 ADHD의 현황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3~8% 한 학급당 적어도 1-2명 제대로 치료받는 아동은 10%에도 미치지 못함 소아기에 발병 후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 많음 ADHD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한 상황

ADHD 는 왜 생기는가? ADHD의 이해 생물학적 원인 환경적 원인 집중력, 충동 조절하는 뇌의 기능 관장하는 뇌의 전전두엽 기능 저하 -‘도파민’ 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남 임신시 태아의 상태가 ADHD에 영향 줄수있음 과거에 비해 변화하고 자극적인 환경에 의해 ADHD 유발된다는 가설

ADHD의 이해 ADHD의 증상과 진단 주의력결핍 ADHD의 특징 -ADHD 진단의 핵심적인 요소 과잉행동 충동성

ADHD의 이해 ADHD의 동반 질환 학습 장애 품행 장애 우울증 ADHD 틱(Tics)장애 양극성 장애 수면 장애

치료제:리탈린=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코카인과 비슷한 약: 도파민 재흡수를 차단 의사의 지시대로 복용하면 뇌에서의 농도가 천천히 증가(반감기 1.5시간)  코카인처럼 흥분, 금단효과, 중독을 일으키지 않음

식품첨가물 훼인 골드 박사의 임상경험 미국 캘리포니아 카이젤 퍼마먼트 메디칼 센터 제일 중요한 것이 음식이었다고 보고. 식품첨가물이 들어 있는 인스탄트 식품들때문에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ADHD(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가 창궐하기 시작했다.

자살과 우울증 우울증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70%에서 자살사고를 갖거나 자살을 시도 우울증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70%에서 자살사고를 갖거나 자살을 시도 우울증을 가진 10대의 36%에서 자살을 기도 예전에 시도했던 경험이 있는 아이는 더 많이 시도

기분장애 주요우울장애 양극성 장애 계절성 정동장애

주요우울장애 주요우울증(major depression) 가능한 원인들 증상유병율: 미국 성인의 약 5%. 여성이 남성의 2배 유전, 생활사건, 호르몬, 반구 우세성의 이상, 바이러스 등 치료법: 항우울제, 심리치료, 전기경련요법, 수면패턴의 변경

유전 생활사건 가족력 존재, 입양아는 생부모를 더 닮음 우울증의 유형에 따라 다름: 가까운 친척 중 심한 초기 발병성 우울증을 가진 여성이 있는 사람은 특히 위험성이 높다. 유전적 요인은 분명히 있지만 어느 하나의 ‘우울증’ 유전자 찾기는 실패 생활사건 생물학적 소질 + 재난 등의 외상적 경험

호르몬: 우울증의 촉발 요인 중 하나 스트레스 호르몬 성호르몬 모든 문화권에서 우울증은 여성 > 남성 장기적 스트레스  코르티졸 방출  신체 에너지 고갈, 수면 & 면역계 장애, 우울증 유발 성호르몬 산후우울증: 임산부 중 약 20%  이들은 대개 여러 차례 우울증에 빠졌던 사람들 폐경 중인 여성  에스트라디올 보충  우울증 완화 모든 문화권에서 우울증은 여성 > 남성 그러나 우울증 발병 확률과 호르몬 수준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 없음

반구 우세성의 이상 정상인: 행복한 기분과 좌측 전전두피질의 활동성 증가가 상관됨 우울증인 사람: 우측 전전두피질의 활동 증가 좌반구 손상  심한 우울증 발병 우반구 손상  조증 환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항우울제: 네 가지 범주 삼환계 약물: 시냅스전 뉴런에서 방출된 카테콜아민이나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모노아민을 불활성화시키는 MAO의 작용을 차단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 비전형적 항우울제: 위의 약물들이 갖는 여러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항우울 효과를 냄 이 범주의 약물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작용

항우울제는 어떻게 작용하나? 위의 약물들은 기본적으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것  우울증의 모노아민 가설: 모노아민의 작용 감소가 원인 이 가설의 문제점: 약물이 시냅스에 미치는 효과와 행동적 효과의 시간 차이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에 쓰이는 메틸페니데이트: 시냅스와 행동에 효과가 나는 시간이 일치 그러나 항우울제는 2-3주 복용해야 행동적 효과  시냅스에서의 장기적 변화를 암시

치매의 종류 알쯔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기타치매 60

치료 가능한 치매 1. 우울증(가성치매) 2. 갑상선 기능저하 3. 비타민 결핍 4. 약물에 의함 5. 양성뇌종양 6. 정상압 수두증 61

알쯔하이머 병 대뇌피질 신경세포의 퇴행성병변 콜린계 활성의 감소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 62

치매의 사례 – 로널드 레이건 -전직 미국 대통령 -1989년 퇴임 -1993년 건망증 악화 -1994년 치매로 진단 -‘부인과 자녀만 알아보고 친구나 방문객은 모른다’ 로널드 레이건은 대통령 재임시부터 건망증이 심하여 이미 미국 코미디언들이 방송에서 레이건의 건망증을 농담거리로 삼을 정도였다. 퇴임후 자신이 알쯔하이머병에 걸렸음을 전국민에게 알리는 연설을 하였고, 이것이 미국내에 치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더욱 활발하게 치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63 63

64

노인 인구의 증가 65

치매가 얼마나 흔한가요?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연령이 5 세 증가할 때마다 약 2 배씩 치매가 증가합니다. 65 – 74세 사이는 2 –4%로 낮은 편이지만 75세 이후에는 기하급수적으로 치매가 증가합니다. 66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