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장해 衣料障害
피부자극 피부장해 알러지 광알러지 직접장해 급만성독성 독성 발암성 의료장해 최기형성 수질오염 간접장해 환경오염 연소성 재해요인 정전기재해 기타
의료장해의 개념 좁은 의미 섬유, 염료, 조제, 가공제, 세제 등에 의한 인체 자극 및 그 자극으로 인한 인체의 정상적 기능에 장해를 유발하는 것. 넓은 의미 장해 원인물질에 의한 환경오염 및 그로 인한 인체의 간접적 피해를 포함.(간접장해) 문제점 1차적 피부손상, 정도에 따라 인체 심부 영향, 피해가 여러 대에 걸쳐 나타남.
의료에 의한 피부장해 피부자극 물리적 자극 피부에 이질감을 갖는 물체의 지속적 접촉, 마찰에 의한 피부장해 유발. 의복의 易動性, 피부의 염증발생 의복과 피부 간의 마찰계수, 의복압의 크기, 접촉상태에 의함. 물리적 자극 원인물질 양모의 毛小皮(cuticle) : 연속 자극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 발생 전분처리 : 절곡부분 발진 내의류 : 홍반, 팽진
화학적 자극 섬유가공제(포르말린계 수지, 형광증백제, 유연제, 팽윤제 등)가 의료에서 유리되어 피부를 자극하는 것. 호발부위 의복의 접착, 마찰, 압박 부위, 땀이 고이기 쉬운 부위에 습진 형태의 피진 발생. 내의류의 포르말린계 수지 피부염은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5배 정도. 형광증백제 : 상완굴측부위에 피부염 발생, 구간부로 확산 및 색소침착
접촉알러지 의료에 포함된 반항원물질(hapten)이 일정량 이상 섬유에서 유리되어 피부로 이행. 항체 소유자는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발생. hapten 항체와 결합할 수 있지만, 그것 자체는 면역반응을 할 능력(면역원성)이 없는 물질.
피부 침연 수분 흡수성이 부족한 의복 때문에 발한량이 많은 여름에는 땀의 증발 차단. 피부와 의복이 밀착된 부위 땀구멍, 표피 내 땀구멍(汗管) 폐쇄. 한진(땀띠) 발생. 표피 내에 땀이 삼출하여 반응성 염증 발생
Allergy 아나필락시 의미 독일어 Allos(other)와 ergo(action)의 합성어. “바뀌어진 반응 능력”이라는 뜻. 1902년 프랑스 생리학자 리셔(Richet)가 anaphylaxis를 발견 프로필락시(예방, prophylaxis)의 반대말 개체의 방어능력을 잃은 상태라는 의미 아나필락시 말미잘 촉수의 독을 연구하다가 발견. 개에게 독을 주사한 경우 적은 양의 주사로 생명을 잃지 않았던 개가 그보다 훨씬 적은 양의 독을 주사했을 때 구토 등을 일으키다가 죽는 것을 발견.
리셔(Richet)의 연구결과 내용 항원항체반응(면역)과 모순되는 현상 전에 주사했던 동물은 새로운 동물보다도 독소에 대해서 심각할 정도로 민감하다는 것 두 번째 주사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은 처음의 주사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과는 전혀 다르며 신경계 전체의 신속한 기능 저하가 특징이라는 것. 아나필락시 상태가 되는 데는 3~4주일의 간격이 필요하다는 것. (이것을 잠복기라고 함) 민감해진 동물의 혈액을 정상적인 동물에 주사하면 그 동물이 아나플락시 상태가 됨(전염). 혈액 속의 화학물질이 이 현상의 본체임을 확인.
면역 외부 침입물질이 있으면 생체는 임파조직에서 감마글로브린(항체) 또는 침입물질에 대한 높은 감수성을 가지며 그것을 분해할 수 있는 임파구 생성(1주일~수개월). 면역이 생긴 후에는 특정물질의 침입에 대해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는 물질에 의하여 완전 저지. 생체에는 어떠한 장해도 나타나지 않음.
Allergy에서는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함. 항원 면역반응이 나타나게 하는 침입물질. Allergy에서는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함. 완전항원 항원 부착체 불완전항원 半부착체 완전항원 큰 단백질분자, 단백질과 결합한 다당류(세균, 바이러스) 항원의 기능을 완전히 갖는 것. 1) 생체 내에선 항체 생산을 유발(생체내 항원성) 2) 시험관 속에서도 항체와 반응(시험관내 항원성)
불완전항원 완전항원의 두 가지 특성 중 어느 것을 갖지 못한 것. 부착체 단독으로는 생체 내에 항체를 만들지 않음. (자체 면역반응은 하지 못함) 항체와 항원항체반응(결합)은 일으킴 일반적으로는 부착체(hapten)이라고 함. 반부착체 단독으로는 생체 내에 항체를 만들지 않음. 항체와 항원항체반응은 일으키지 않음.
항체 antibody 생체에 침입한 항원 때문에 생기는, 항원과 특이한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체액성 항체, 세포성 항체가 있음. 항원항체반응 형식에 따라 항독소, 침강소, 응집소, 용해소 등이 있음. 면역 항원항체반응에 의해 항원의 독성이 중화되는 경우 allergy 항원항체반응에 의해 새로운 화학물질이 생겨 건강 이상을 유발하는 경우
알러지 반응의 분류 즉시형반응 항원항체반응의 결과 조직장해가 빨리 나타나는 것. 예) 항원액의 피내 주사 후 10~20분 이내에 주사부위에 발적, 종창이 나타남. 지연형반응 항원항체반응에 의한 조직장해가 24~28시간 후에 극대화 하는 것. 예) 투베르크린반응.
화학물질의 완전 항원화에 빛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 광Allergy 화학물질의 완전 항원화에 빛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 화학물질이 접촉할 때는 hapten성이 낮지만, 빛 에너지에 의해 광산화되고, 단백질과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어 hapten성을 얻는 경우. 빛에너지에 의한 hapten라는 것만 아니라면 접촉 allergy와 동일한 개념. 빛에너지 화학물질 화학물질 항원항체반응 생체 생체 생체 생체 장해발생 없음 항체 생성 잠복기 항체량 증가 화학물질의 재접촉 피부장해 발생
의료피부염 원인물질 섬유 천연섬유보다 인조섬유에서 피부염 발생이 높음. 양모 섬유 큐티클에 의한 물리적 자극으로 아토피 피부염 발생 예. 염색가공 공정 중 첨가물질(중크롬산염), 염료 등에 의한 allergy반응. 견 접촉 담마진(두드러기), 건조성 아토피 피부염. 세리신이 견의 항원물질이라는 보고도 있음. 면 섬유에 처리된 전분, 교질수지 등에 의한 피부염 발생.
나일론 흡수성 부족에 의한 다한증 인의 경우 소양감, 땀띠 발생. 피지 축적에 의한 습진 나일론 자체에 의한 피부염 원인은 6-아미노카프론산 및 그것의 젖산염이라는 보고가 있음. H2N-CH2-CH2-CH2-CH2-CH2-COOH 6-amino Caproic Acid 스판덱스 머캅토벤조티아졸에 의한 알러지성 접촉 피부염 발생 보고. mercaptobenzothiazole
머캅토벤조티아졸에 의한 알러지성 접촉 피부염
염료 염색물에서 유출된 염료가 피부로 이행하여 피부염 발생. 염색견뢰성이 매우 중요함.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NH2 파라페닐렌디아민(PPDA) 머리 염색약의 주성분 미국 접촉성 피부염학회에서 2006년 Allergen of the Year으로 선정 과산화수소와 반응하여 발암성 물질인 PPDA중간체 형성 아조계 염료와 교차반응하여 피부염 발생 NH2 교차반응 면역반응에서 항체가 그에 대한 항원과 반응함과 동시에 유사한 항원이나 일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항원과 반응하는 것
원인물질 양모 염색물 : 크롬화합물 면 염색물 : 초산니켈(매염제), 황산구리(고착제) 인조섬유 염색물 : 디클로로벤젠(팽윤제)
가공제 최근 의료피부염 원인물질로 크게 주목 받음. 의복의 성능, 외관, 착용감 증진을 위해 처리. 부적절한 사용으로 피부장해, 생체 악영향 유발. 방축, 방추가공제 유리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접촉 피부염 유연가공제 음이온계 : 황산에스테르형(셀룰로오스섬유) 양이온계 : 아민형, 제4급암모니아형(아크릴) 구간부 습진 등을 유발
형광증백제 크라린계, 스틸벤계에서 단파장 자외선의 발암성을 높인다고 보고. 의류, 종이, 세제 중의 형광증백제에 의한 접촉피부염, 광접촉피부염, 색소침착 유발. 위생가공제 유기수은, 유기주석, 페놀화합물, 유기인 : 기저귀, 양말, 기저귀커버 등에 사용. 유기주석 : 위출혈, 부종, 간, 비장, 췌장 위축 유발 유기인 : 골수기능 저하, 생긱계 기능감퇴, 장관점막 손상
방충가공제 딜드린(dieldrin), 오일란(eulan), 미틴(mitin) 등. 딜드린 : 양모 방충가공제로 다용. 방충효과가 높고 독성이 강함. 인체 흡수 시 간질, 신경계통 장해 유발. 체내 잔류. 오일란 : 플루오르화알루미늄암모늄
미틴 : 염색욕의 온도를 40~50℃로 하고, 고농도의 미틴 FF 1%를 가한 다음 양모제품을 넣고 5~10분 젓는다. 이어서 산을 가하여 액을 끓인 뒤 양모제품을 꺼내어 물로 씻는다. 벌레는 양모를 기피하게 되고 만일 먹으면 중독되어 죽는다
금속, 고무, 가죽 세제, 드라이클리닝제 전분 훅, 지퍼와 접촉하는 부위에 태선화 습진 발생 태선(lichen, 苔癬) : 충실성의 소구진(小丘疹)이 무수히 밀생 또는 산재하고, 비교적 장기간 같은 상태가 계속되는 피부병 세제, 드라이클리닝제 내의류에 잔존하는 세제 성분에 의한 습진. 전분 소매 부분에 처리된 전분에 의하여 손목 부위에 물리적 자극
의료피부염 호발부위 의료와 접촉, 마찰, 압박을 받는 부분, 땀이 고이는 부분 등 의료 피부염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를 말함. 액와 및 그 주변, 주와(肘窩), 목, 상구간부, 서혜, 대퇴내면 등 내의 피부염 스타킹 피부염
의료에 의한 독성 독물 피부나 호흡기, 소화관의 점막 등에 접촉하거나 부착하여 그곳의 세포 또는 조직에 영향을 주어 형태와 기능의 변화, 장해를 유발하는 물질 독성 독물의 성질 독성작용 국소작용 접촉 또는 부착된 국소부위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 흡수작용 독물이 테내로 흡수되어 혈액이나 임파액에 섞여 전신을 순환하는 동안 특정 장기에 영향을 주는 것
독성의 작용형식 독성의 강도 독성의 표시 부식독(접촉독), 신경독, 형액독, 대사독, 효소독, 발암성, 최기형성 초극독성, 극독성, 강독성, 중등독성, 약독성, 무독성 독성의 표시 반수치사량(LD50, Median Lethal Dose) 반수치사농도(LC50, Median Lethal Concentration) 반수유효량(ED50, Median Effective Dose) 발증율로 측정 섬유가공제 등에 적용
섬유가공제 독성실험 주로 경피(經皮) 시험을 하고 있음. 피부자극시험 알러지시험 광독성시험 광알러지시험경 경피발암시험 결과의 표시 : LD50으로 함. 가공제의 안전성 평가는 안전역(R, safety margin)으로 표시. 안전역(R) = LD50/ED50 여기서 ED50은 50% 치료효과 용량임. 안전역의 값이 클수록 안정성이 큰 물질
세제에 의한 독성 세제의 안전성 물질과 작용량의 관계 작용물질 무작용량 중독량 치사량 식품첨가물 합성세제 사용가능 사용불가 의약품 약효량 때로 사용가능 세제의 안전성 직접장해 : 인체의 피해 간접장해 : 환경의 피해
직접장해 Direct impediment 급만성 독성 계면활성제의 종류, 연구자에 따라 결과가 다양함. 음이온계면활성제의 독성은 비누의 5~10배. 사료 중 ABS를 2.5% 혼합하여 흰쥐에게 경구투여 : 12~21주에 50%가 지연성 하리를 나타낸 후 사망(일본 국립위생시험소) ABS용액을 생쥐에게 자유급수 : 발육장해(일본 노동과학연구소)
태아 독성 주방용 세제 미량을 경구 또는 경피투여한 결과 생쥐의 기형발생이 높았다. 기형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 상반된 결과 광독성, 알러지성 독성 비누, 계면활성제보다 향료, 착색료, 살균제 등 첨가제가 피부염 발생의 원인. 안점막 자극 0.5% 이상의 농도에서 안점막 자극
피부손상 세정액에 장시간 접촉 시 피부의 연화, 팽윤이 일어나고 세정액의 침투가 쉬워져 피부가 거칠어 짐. 세탁비누, 합성세제 중에 포함된 알칼리제 중 유리 알칼리가 피부 거칠어짐 현상을 촉진. 과도한 세정액에 의한 피지의 안전 제거. 계면활성제 흡착으로 피부 단백질 변성, 수분 및 수용액 성분 유출로 피부 손상
간접장해 indirect impediment 수질오염 세제가 물에 배출되어 물을 오염시키고, 오염된 물에 의해 인간이 피해를 입는 것을 말함.
+ 생분해성 물속에서 생물의 복잡한 작용에 의해 화학물질의 분자가 분해하는 것. 초기분해 본래의 화합물이 없어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분해 생분해성 구극분해 화합물이 물, 이산화탄소, 기타 무기물로 완전히 변하는 것 계면활성제의 초기분해 측정 음이온계 : 메틸렌블루 활성물질법 + 메틸렌블루 알킬벤젠슬폰산염(ABS) 착화합물 비이온계 : 코발트 티오시아네이트 활성물질법, CTAS법 등
계면활성제의 구극분해성 측정 생물화학적 산소소비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시험법 어떤 화합물이 완전히 산화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소비량(TOD)은 일정하므로, 조성이 알려진 화합물의 BOD/TOD를 측정하여 생분해성을 평가. 다이 어웨이(Die Away, DA)시험법 계면활성제의 경시적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저하(Die Away라고 함)로 나타내는 것 AS(alkyl sulfate)계가 음이온계 중 가장 양호한 생분해성을 나타냄 AOS(α-olefin sulfonate)는 자연환경에서 쉽게 생분해.
어류 독성 LAS : LC50 0.5~10mg/L 생분해 속도가 빨라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음. 단, 치사량 이하의 농도에서 유영능력, 환수능력, 아가미운동 능력 감퇴가 확인. 수원의 부영양화 세제 중의 트리폴리인산나트륨에 의한 수중 질소 및 인의 함유량 증가에 의해 수생식물, 미생물의 이상번식. 오수의 정체가 심한 호수, 내만, 내해 등에서 이 현상이 다발. (적조, 녹조) 산소결핍에 의해 어패류 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