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장 파일시스템(File System) 200512018 박동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프로그램이란 프로그램 생성 과정 프로젝트 생성 프로그램 실행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주어진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 – 컴퓨터에 설치 혹은 저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Advertisements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언제든지 보고 바로 편집하세요. 여러 앱을 이용할 필요 없이 MS Office, HWP, PDF, TXT 의 문서를 한 곳에서 확인하고 어디서든 쉽게 편집해 보세요 ! *PDF 문서는 ‘ 보기 모드 ’ 만 지원합니다.
운영체제 파일관리 이승언. 목차 1. 파일 시스템 1) 파일 시스템의 정의와 기능 2) 파일 읽기 / 쓰기 3) 파일 관리 2.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 1) 윈도우 파일 시스템 종류 2) 윈도우 파일 시스템 비교 3)FAT ①포맷된 디스크의 구조 ②포맷된.
컴퓨터와 인터넷.
UNIX 운영 체제의 설계 - Chapter 4. 파일의 내부 표현
인터넷의활용.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소리가 작으면 이어폰 사용 권장!.
제 5장 파일 시스템 5.1 개요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운영체제에서 가장 관찰하기 쉬운 부분으로서, 파일에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운영체제는 디스크나 CD-ROM 같은 기억용량이 큰 기억장치를 관리/운영함으로써 파일을 추상적으로 구현한다. 5.2 디스크 구조.
제14장 동적 메모리.
MS-Access의 개요 1강 MOS Access 2003 CORE 학습내용 액세스 응용 프로그램은 유용한 데이터를
4. 순차 화일.
연결리스트(linked list).
제 09 장 데이터베이스와 MySQL 학기 인터넷비즈니스과 강 환수 교수.
데이터 파일 C 데이터 파일과 스트림(Stream) 텍스트 파일 처리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테이블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요소로 같은 성격에 정보의 집합체. 레코드 : 하나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컬럼의 집합체
5장 Mysql 데이터베이스 한빛미디어(주).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17장 동적메모리와 연결리스트 C Express Slide 1 (of 13)
4장. 웹로직 서버상에서의 JDBC와 JTA의 운용
CHAPTER 02 OpenCV 개요 PART 01 영상 처리 개요 및 OpenCV 소개.
11.텍스트를 위한 화일.
SqlParameter 클래스 선문 비트 18기 발표자 : 박성한.
13 인덱스 인덱스의 개념 인덱스의 구조 인덱스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 인덱스의 종류 및 생성 방법 인덱스 실행 경로 확인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개발 트랙)                               퍼스널 오라클 9i 인스톨.
7장 인덱스된 순차 화일.
23장. 구조체와 사용자 정의 자료형 2.
자료구조: CHAP 4 리스트 (3)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하 상 호.
TCP/IP Socket Programming…
5장 Mysql 데이터베이스 한빛미디어(주).
13 인덱스 인덱스의 개념 인덱스의 구조 인덱스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 인덱스의 종류 및 생성 방법 인덱스 실행 경로 확인
1장. 데이터베이스 자료의 조직적 집합체_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이해
11.텍스트를 위한 화일.
자바 5.0 프로그래밍.
27장. 모듈화 프로그래밍.
메모리 관리 & 동적 할당.
2015학년도 PHP 기말 레포트 로그인 홈페이지 제작.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8장. 상호 배타적 집합의 처리.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Chapter6 : JVM과 메모리 6.1 JVM의 구조와 메모리 모델 6.2 프로그램 실행과 메모리 6.3 객체생성과 메모리
15장 컬렉션 프레임워크 Section 1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개요 Section 2 리스트 Section 3 셋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 베이스 DB2 관계형 데이터 모델 권준영.
CHAP 21. 전화, SMS, 주소록.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9.다중 키 화일.
Canary value 스택 가드(Stack Guard).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데이터 동적 할당 Collection class.
1과목 데이터베이스 강사 이 민 욱.
6장.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DA :: 퀵 정렬 Quick Sort 퀵 정렬은 비교방식의 정렬 중 가장 빠른 정렬방법이다.
12 그리드 시스템.
멀티미디어시스템 제 5 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개념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6. 데이터베이스의 내부적 운영.
발표자 : 이지연 Programming Systems Lab.
구조체(struct)와 공용체(union)
System Security Operating System.
동적메모리와 연결 리스트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2016년 봄학기 담당교수 : 이형원 E304호,
제 4 장 Record.
06. 디바이스의 등록과 해제 김진홍
CHAP 15. 데이터 스토리지.
 6장. SQL 쿼리.
9장 파일 시스템 이성연.
버스와 메모리 전송 버스 시스템 레지스터와 레지스터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경로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조장호.
생산성 증대 효율성 향상 측정 수행 능력.
Presentation transcript:

9장 파일시스템(File System) 200512018 박동근

파일 시스템이란 파일을 생성하고 갱신하며 검색,수정,삭제가 가능 저장장치에 저장공간을 파일에 확보해주는 기능 빈 저장 공간을 회수하여 관리해주는 기능 디렉토리 라고 하는 폴더를 관리 해주는 기능 파일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도록 해주는기능 파일의 예비(Backup)와 복구(Restore)기능 정보의 암호화와 해독기능

블록화(Blocking) 저장 할 때는 여러 개의 레코드를 기억장치에서 블록화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읽을 때에는 저장장치에 블록화 된 레코드를 읽어와 단위 레코드로 분할한다. 프로그램에서의 입출력 처리는 단위(논리적)레코드로 이루어진다. 저장장치와의 입출력작업은 블록(물리적 레코드)단위로 이루어진다.

버퍼링(Buffering) 버퍼란 입출력 전용으로만 이용하도록 설정된 특별한 기억장치의 공간이다. 백 만배 이상으로 속도가 빠른 CPU와 입출력장치사이의 속도 불균형을 줄인다. CPU작업은 입출력 장치의 작업과 무관하게 진행하게 해준다.

파일의 구조 순차파일(sequential file) 직접파일(direct file) 색인 순차파일(indexed sequential file) 다중 키파일(multi key file) 역파일(inverted file) 다중 리스트파일(multi list file)

순차파일(sequential file) 들어온 순서대로 자료가 저장된 파일 처음자료부터 읽어야 특정 자료를 찾을수 있다.

직접파일(direct file) 자료가 키 값에 의해서 지정된 곳에 저장된 파일. 즉시 특정 자료를 찾을 수 있다. 키 값을 저장장치의 물리적 주소(실린더번호,트랙번호,섹터번호 등)로 변환시켜주는 함수로, 대표적인 것으로 해싱(hashing)함수가 있다.

색인된 순차파일(indexed sequential file) 색인파일이 추가된 순차파일 색인 구역을 통해서 자료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순차파일은 레코드들이 키 값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색인은 B 트리를 개선한 트리 구조로, 자료는 선형 구조로 되어있다. 기억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접근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다중 키파일(multi key file) 여러 경로를 파일의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파일이 다중키 파일이다. 파일의 중복성이 제거되고 자료의 무결성이 유지된다.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기본이 된다.

역파일(invertedfile) 역색인(index)은 레코드의 필드와 주소 또는 필드와 기본키의 쌍으로 구성된다. 기본 키는 레코드가 저장된 주소에 직접 연관된다. 역 파일이란 여러 개의 역 색인표를 통해서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된 파일이다. 역 색인 표 만을 검색해 많은 질의에 바로 응답 할 수 있다. 역 색인 표는 트리나 테이블로 구현되고 있다. 역 색인은 직접파일이나 색인된 순차 파일 위에 만들어 질 수 있다.

다중 리스트파일(multi list file) 자료파일에서 특정 항목(필드)의 같은 자료 값들을 가진 레코드들을 포인터로 연결한 리스트 형태의 파일이다. 필드의 항목 값과 시작 포인터 쌍으로 된 색인표에서 자료탐색이 시작된다. 레코드에 포인터 필드가 추가된다. 여러 필드에 대해서 연결 리스트를 구축할 수 있다. 자료파일이 추가되는 다중리스트는 단순연결, 이중연결, 원형연결 등으로 구축된다.

파일 할당 기법 연속할당 연결할당 섹터할당 블록할당

연속할당 연속된 물리적 저장공간에 하나의 파일이 들어 갈 수 있도록 할당한다. 순차파일에 할당하면 처리속도가 매우 빠르다. 단편화가 발생해서 이들 단편(조각)들을 모아 큰 연속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연결할당 연속할당의 경우 할당된 공간이 너무 남거나 모자라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저장공간에 흩어진 크기가 일정한 섹터나 블록을 필요한 만큼 파일에 할당한다.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해 준다.

섹터할당 섹터는 보통 512 바이트 크기로 물리적 입출력의 기본 단위이다. 디스크 전체를 섹터로 보고 사용되지 않는 섹터를 파일에 할당한다. 파일에 할당된 섹터들을 연결하는 포인터 때문에 공간의 낭비가 많다.

블록할당 연속된 몇 개의 섹터를 블록단위로 묶어 블록으로 할당한다. 블록의 추가와 회수가 쉽게 이루어 진다. 자료의 접근은 디렉토리부터 포인터를 따라 다음 블록을 찾아간다. 디렉토리와 블록 사이에 파일 사상표(FAT)를 두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