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 Capacitor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선초등학교 2 학년 4 반 김 우혁. 을왕리해수욕장은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동에 위치하였고, 늘 목 또는 얼항으로도 불리며 1986 년 국민 관광지로 지정되 었다. 백사장 길이는 약 700m, 평균 수심은 1.5m 로 비교적 규 모가 큰 편이다. 울창한 송림과 해수욕장.
Advertisements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 연구원 * 아침에는 오랫동안 줄을 서는 경우가 있으므로, 시간을 넉넉하게 잡으시기 바랍니다. * 낙성대역을 오가시는 편이 가장 편하십니다 ( 버스가 자주 있음 ) * 내리실 곳을 잘 모르실 경우에는 서울대 구내 신소재연구소 에서 하차한다고.
한국교육 일제고사, 자사고, 입학사정관 … 그리고 교육감 선거. MB 교육철학과 정책 교육은 경쟁인가 협력인가 - 미국식 모델과 핀란드 모델 핀란드 모델 -3 주체 전부 경쟁 -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도 주요변인 학교만족 두 배, 사교육비 절반.
29 기 신입생 OT 및 재학생 MT | 총학생회 2009 년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한국기계공업협동조합 연합회 산업단지 [ 산업형 제 2 종지구단위계획 사업추진방안 ( 제안 )]
도로 ( 터널 ) 개설 제안서 제안자 : 구 효 서 연락처 : ( 대 ) (fax)
사랑과 기쁨으로 연합하는 제 2 회 전교인 한마음 운동회 제 2 회 전교인 한마음 운동회 설명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자 양 교 회 1.
2011 년도 하계휴양소 운영 한전산업개발노동조합 태안 발전지회 기간 : 7 월 15 일 ~ 8 월 19 일.
1, 묵상 : 하나님을 알아가는 시작입니다. 다윗의 삶 : 삼상 30:1-6 도의 지도력 동역자 가족 양, 현지인 1, 왕이 되기 전의 일이다. 2,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다윗 자신이다. 3,6 절 여호와를 힘입고 용기를 얻었더라. ( 마음속에 깊이.
구월 아시아드 선수촌 상업지구 인천의 중심 상권을 노려라 !! 행정의 중심 구월 선수촌 상권은 인근의 인천시청, 남인천세무서, 남동경찰서, 남동소방서, 인천지방노동, 인천 교육청 각종 관공서 밀집지역 교통의 중심 인천터미널, 인천터미널역, 예술회관역 등 인천지하철 1.
원격검침 / 고조파필터 모니터링 시스템 사용 설명서
전기와 전도 옴의 법칙 저항 저항의 식별 저항의 수열 가변 저항 단락과 개방 접지 전력 정전기 저항성 소자 용량성 소자
1월 월간업무보고 경 리 부.
CONTENTS Ⅰ. 사업 개요 Ⅱ . 사업추진 현황 Ⅲ. 사업타당성 검토 Ⅳ. 향후 추진계획 당진 정미지구 산업단지 개발사업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 연구원 4번 출구에서 주유소 옆 2번 마을버스 타고
PGS 후기 헛 !.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2013년 회원권 시세동향 우리들 회원권 김 경 태 팀장 TEL 02) H.P 010)
전 자 회 로 (제1절 전자회로 기초) 한국발전교육원 기술교수실 신 종 채.
제 목 : [LG U+] `14년 상반기 신입 영업전문인재 채용 학교초청 채용설명회 재학생 참석 협조요청
원정초등학교 5학년1반 48번 윤민정.
*노동문제 * -비정규직 유효림 박지희 전향숙 황연두.
저항 저항기(Resistance)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흐름을 곤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청하시기 전에 꼭 읽어 주세요! 기준인원 40명으로 짜여진 단가입니다. 기준미달 시 1인 단가가 상승합니다.
다가구 신축공사 사업계획서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동 49-15번지
제 3 장 부품의 특성 1. 저항기 (Resistance) 1) 저항의 사용용도 2) 저항의 정격전력
5장 회로망의 정리 및 해석법 5.1 회로망의 용어 5.2 직·병렬 회로망 5.3 사다리회로망 5.4 분압기의 부하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17.전위 Dept. of Physics, CBNU.
항공전자 (Avionics = Aviation + Electronics)
에너지 운동량 방법: 일과 에너지법칙 1. 상자들이 초기속도 vo로 컨베이어 벨트로 운반되어 A에서 미끄러져서 B에서 떨어진다. μk= 0.40이고, 상자가 2.4m/s로 B점에서 떨어질 때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구하라.
센서 10. Acceleration Sensor (가속도 센서)
전기전자기초 Week 1. Introduction
소속 : 집적회로 연구실 이름 : 장형식 PSPICE 8.0 사용법 소속 : 집적회로 연구실 이름 : 장형식 전자회로 2 PSPICE 사용법.
작업장에서 불의의사고로 절단사고가 발생했다면
Copyright Prof. Byeong June MIN
정규화-정규화 과정.
축전기 Capacitors.
chapter2 전자기학에 필요한 도구 2-1 차원과 단위 2-2 SI 접두어와 기호 2-3 스칼라와 벡터 2-4 직교좌표계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2).
Kirchhoff의 법칙.
개∙폐회식 통제구간 주경기장 통제시간 : 14:00~01:00 <11시간>
- 출 연 - 엔젤스 중창단 글로리아 앙상블 유니스 중창단 다드림 몸찬양단 - 특별 출연 - 충주시장로중창단.
2015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 양성사업 변경사항 안내
실감SW 산업인재 양성사업단 2017 해커톤 캠프(2차) - 개발톤 주제
21st 스쿠터 스핀 138,000108,000M 대호토이즈 아우디 유아전동차 398,000319,000M    오토트랜스봇
직무 관리 글로벌 레볼루션 - 점수에 의한 직무평가 인문학부 정형준 김재한 김진경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은지지구 생태전원마을 입주예정자 모집 공고 입주예정자 모집 공고 위 치 도 광역위치도
재생기술 regeneration technique
타워크레인 설치 · 해체시 작업안전 한국산업안전공단.
Condenser를 이용한 Coulomb’s law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안내.
2016 하계 현장실습 매뉴얼 ≫≫ 학생용.
여러가지운동 신나는 과학 이원숙.
Ⅰ. 전기와 자기 옴의 법칙.
비정규직법의 이해 노 동 부.
(생각열기) 횡파와 종파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답 : 진동하는 방법의 차이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 영종하늘도시 개발사업
영산대학교 교양컴퓨터 사이버 강의용 – 엑셀2002 담당교수 : 이 창 조
< 전자과학탐구대회 초등부 과학탐구력 문제>
예수님이 좋 - 은 - 걸 어 떡 합 - 니 까 - E C#m F#m7 B7 1. 예수님이 좋은 걸 2. 예수님이 좋은 걸
사람들의 용인 -에버랜드 옆- 힐링랜드(전대리)타운하우스 [9,918m2<3,000.2py>(26필지)〕
*컴퓨터 구조 4장 연습문제 천재성.
물리 Ⅰ- 인문반 넷째시간, Ⅰ. 시공간과 우주 – 시간, 공간, 운동.
제21강 교류회로와 전자기파 21.1 교류 회로에서의 저항 저항기: 전류와 전압이 같은 시간에 최대값 → 동일한 위상
알루미늄 투명형 방음벽.
MT 사이트 메인 및 기사면 내부 컨텐츠 트래픽 분석을 위한 파라메터 설정 요청드립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회로이론 Capacitors

축전기의 충전과정 두 개의 금속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시켜 놓은 상태에서 배터리를 연결하면 배터리의 +극이 연결된 위의 금속판의 전자들이 금속판을 떠나서 배터리의 +극으로 들어가고 같은 시각에 전자들은 배터리의 –극을 통하여 배출되어 –극이 연결된 아래의 금속판으로 축적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위의 금속은 전자를 잃고 양의 전하로 대전되고 아래의 금속판은 전자를 얻어서 음의 전하로 대전된다. 그 결과 두 금속판 사이의 전위차가 증가한다. 두 금속판의 전위차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자의 이동률이 점차 감소한다. 두 금속판의 전위차가 배터리의 전위차와 같게 되면 더 이상의 전자의 이동은 없어지고 두 금속판은 배터리와 같은 전압을 갖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기용량( C ) 축전기에 저장될 수 있는 전하량을 축전기의 전기용량(Capacitance)이라고 하고 단위는 Farad(F)를 사용한다. 1V의 전압을 가하여 1Coulomb의 전하를 저장하는 축전기의 용량을 1Farad라고 정의한다. 실제로 사용하는 축전기의 용량은 μF, pF 단위이다. 즉, 전압과 전기용량의 곱으로 해당 축전기에 충전될 수 있는 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제] a) 60V의 전압을 가했을 때 82.4 x 104 개의 전자가 축전기의 음극판에 저장되었다면 축전기의 전기 용량은 얼마인가? b) 40V의 전압이 470μF의 축전기에 인가되었다면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은 얼마인가? a) b)

유전체를 통한 전기용량의 증가 축전기의 양극판의 전위차가 증가함에 따라서 두 금속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도 증가한다. 전기장의 크기는 전위차에 비례하고 두 금속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유전체는 부도체 이므로 부도체의 전자는 원자를 쉽게 떠날 수 없다. 그러나 유전체를 축전기의 대전된 금속판 사이에 넣으면 유전체 원자의 전자는 한쪽으로 끌리면서 원자의 극성이 분리도어 아래의 왼쪽 그림과 같은 배열을 이룬다. 이 배열 중간의 극성은 서로 상쇄되고 결과적으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이 결과 서로 다른 전하의 간격이 더 좁아져서 전기장의 크기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같은 조건에서 더 많은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유전체의 종류 유전체가 전기장을 유도하는 크기를 진공을 기준으로 하여(1.0) 상대적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의 오른쪽의 값을 상대 유전률이라고 한다. 기준이 되는 진공(공기)의 유전률을 ε0으로 나타내고 크기는 8.85 X 10-12 F/m이다.

전기용량의 결정 전기 용량은 아래의 식과 같이 금속판의 면적에 비례하고 금속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유전률 상수 는 로서 공기의 유전률 X 상대유전률로 계산되는 값이다. 따라서, 특정 유전체를 사용하는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공기를 사용하는(유전체를 사용하지 않는) 축전기의 전기용량에 앞 페이지의 표에 있는 상대 유전률을 곱한 값으로 계산 된다.

[예제] 아래의 그림 a, b, c, d 에서 왼쪽 축전기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 축전기의 값을 계산하라. (a) (b)

[예제] 오른쪽 그림의 유전체로 공기를 사용하는 축전기에 대하여 전기용량을 구하라. (b) 금속판에 48V의 전압이 인가되면 저장되는 전하의 량을 계산하라. (c) 두 금속판 사이에 상대유전률 250의 유전체를 사용하였다면 전기용량은 얼마가 되겠는가? (a) 금속판 사이의 거리 d는 금속판의 면적 A는 에 의하여 (b) (c)

축전기의 종류 및 구성 같은 종류라면 전기용량이 클 수록 크기도 커진다. 그러나 사용되는 유전체에 의해서 크기가 작아도 용량은 더 클 수 있다. 작은 크기를 유지하면서 전기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축전기의 내부저항 및 누전 모든 축전기는 접합부위에서 발생하는 약간의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다. 이 저항은 축전기에 모든 축전기는 접합부위에서 발생하는 약간의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다. 이 저항은 축전기에 직렬로 연결된 아주 작은 값의 저항의 형태로 모델링 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 사이가 완전이 절연되지 않으므로 충전된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방전이 된다. 이러한 방전은 축전기에 병렬로 연결된 매우 큰 값의 저항으로 나타낼 수 있다. 누전 저항 값은 비교적 누전이 빠른 전해 축전기에서는 0.5MΩ 세라믹이나 탄탈륨 축전기와 같이 누전률이 작은 축전기에서는 1000MΩ 정도이다.

전기용량의 표시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축전기 몸체에 표시되는데 비교적 큰 축전기의 경우 직접 Farad값이 숫자로 표기된다. 그러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특정 표기법이 사용된다. (a) 와 같이 두 개의 숫자만 있는 경우에 단위는 Pico Farad이다. (a)의 경우 20pF 의 용량을 나타낸다. 밑에 있는 K는 103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 10%의 오차범위를 나타낸다. (b)와 같이 세 개의 숫자의 뒤에 소문자 n, u, p등이 있는 경우에는 세 개의 숫자는 용량을 나타내고 영문 소문자는 nano, micro, pico등의 단위를 직접 나타낸다. (b)의 경우 200nF의 크기를 나타내고 밑의 대문자 J는 +/-5%의 오차범위를 나타낸다. (c)와 같이 세 개의 숫자의 뒤에 하나의 대문자만 오는 경우에는 처음 두 숫자는 크기이고 세 번째 숫자는 뒤에 붙는 0의 개수를 나타낸다. 단위는 암묵적으로 pico Farad이다. 따라서 (c)의 경우 22000pF = 0.022μF를 나타낸다.

축전기의 충전과정 오른쪽의 그림과 같은 회로의 스위치를 닫은 순간 만약 축전기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라면 축전기의 전압은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처음에 0인 상태에서 빠르게 증가하다가 이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증가율이 떨어질 것이다. 위와 같은 축전기의 전압이 증가하는 모양은 오른쪽과 같은 그래프 모양을 갖는 지수함수를 사용하여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앞의 그래프에서 ( 1 – e-t/τ ) 는 충전 중인 축전기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기본 모양이다. 그래프는 인가된 전압 만큼 증가하므로 아래의 식은 특정 시간에 축전기의 전압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τ 는 시간상수(time constant)로서 저항과 전기용량을 곱한 값이고 단위는 t(시간)이다..

아래 그래프는 시간 t가 τ의 배수가 되는 시점에서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t = 0 일 때: t = τ 일 때: t = 2τ 일 때: t = 5τ 일 때: 위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축전기에 전압이 인가되고 시간이 시간상수 τ의 다섯 배가 되면 축전기의 전압이 인가된 전압과 거의 같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다르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축전기의 충전과정은 RC로 계산되는 시간상수 τ 의 다섯 배의 시간 안에 거의 끝난다.

충전 과정에서의 전류의 변화 축전기의 충전과정에서 전류의 변화도 같은 지수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는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역시 시간상수 τ 단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t = 0 일 때: t = 1τ 일 때: 축전기의 충전과정에서의 전류는 RC로 계산되는 시간상수 τ 의 다섯 배의 시간 이 지나면 거의 0이 된다.

또한 축전기의 충전과정에서 대부분의 변화는 첫 번째 시간 상수(τ) 안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완전히 방전된 축전기에 경우에 처음 스위치를 연결하면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는 오른 쪽과 같이 축전기를 단락 시킨 상태와 같다. 축전기가 완전이 충전되면 더 이상의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되고 오른쪽 회로와 같이 축전기를 개방한 상태와 같아진다. 회로에서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더라고 축전기 내부의 저항이 아주 조금이라도 존재하기 때문에 5 τ의 시간은 현실적으로 절대 0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축전기 내부의 전압은 절대로 순간적으로 변화할 수 없다.

충전 과정에서 저항 양단의 전압(vR)의 변화 위의 회로에서 저항과 축전기는 직렬관계이므로 저항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충전과정에서 축전기에서 나가는 전류와 같다. 따라서 RC회로에서 저항 양단의 전압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아래는 저항 양단의 전압을 시간상수 τ의 단위로 계산하여 그린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모양과 계수가 앞 페이지의 전류의 그래프와 같다. 다만 계수 값이 전체 인가전압에 곱해지는 점이 다르다.

[예제] 오른쪽 회로에 대하여: a) 축전기의 충전과정에 나타나는 vC, iC, vR, 의 수학적인 표현식을 구하라. b) 시간상수에 대한 vC의 그래프를 그려라 c) t = 20ms에서의 vC의 값은 얼마인가? d) 현실적으로 어느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충전과정이 끝났다고 볼 수 있는가?

축전기의 방전과정 위의 왼쪽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가 1에 연결되어 충전이 완료된 후 스위치를 2의 위치로 연결하면 오른쪽 회로와 같게 되어 축전기의 전하는 저항을 통하여 상대방 금속판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충전과 방전과정에서 축전기의 전압의 변화를 하나의 그래프로 그린 것이 아래의 왼쪽 그래프이다. 오른쪽은 전류의 그래프로서 충전과 0이 되었던 전류는 방전이 되면서 방향이 바뀌면서 큰 전류가 흐르다가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밑의 그래프는 저항 양단의 전압으로서 역시 전류와 마찬가지로 양단의 전압의 차이가 0이었던 상황에서 전압의 극이 바뀌면서 커진 후 다시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이다.

[예제] 앞 페이지의 그래프의 모습에 따라 지수함수의 식을 세워보면 방전과정에서의 vC, iC, vR의 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예제] 아래 회로에서 스위치를 시간상수의 5배의 시간 간격으로 1과 2로 번갈아 연결했을 때의 vC, iC의 그래프를 그려라. 1 2

τ 값의 변화에 따른 변화 앞의 예제의 회로에서 축전기의 용량을 1μF로 줄이면 τ = R.C의 값은 8ms가 되어서 그래프의 모양은 아래와 주기가 증가한 형태로 촘촘히 그려질 것이다. 다음은 축전기 용량의 크기에 따른 그래프의 모양을 비교한 것이다.

[예제] 오른쪽과 같은 회로에서 t = 0에서 스위치를 1의 위치에 연결 했을 때 축전기 전압의 변화를 수식으로 나타내시오 (b) t = 1τ에서 스위치를 2의 위치에 연결 했을 때 축전기 전압의 변화를 수식으로 나타내시오 (c) (a)와 (b)의 과정을 연결하여 그래프로 그리시오. (b) t= 1τ 에서의 축전기의 전압은: (a) 회로의 전류원을 전압원으로 아래와 같이 바꾼 후 따라서 다음의 회로와 같아진다. 따라서

[예제] 계속 (c) 그래프

축전기에 전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충전 축전기가 충전될 때 이제까지는 축전기에 전하가 전혀 없는 것으로 간주 했었다. 그러나 초기 충전 시 축전기에 전하가 조금 이라도 남아 있는 상태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축전기에 대한 수식들의 일반 형태는 조금 달라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왼쪽의 회로에서 스위치를 닫았을 때 축전기의 전압이 0이 아니라 이미 Vi 였다면 최종 전압 Vf (전원의 전압)과의 전위차는 (Vf – Vi)일 것이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는: 따라서 일반적인 형태의 식은:

[예제] 오른쪽 그림에서 스위치를 닫아서 충전을 시작할 때 축전기의 전압이 이미 4V 였다면: 이 후 시간에 대한 축전기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수식을 기술하라. b) 시간에 대한 전류의 양을 표현하는 수식을 기술하라. a) 먼저 시간상수 τ 는: 따라서 축전기의 전압은: b) 초기 전위차에 의한 전류는: 따라서 이 시간 이후의 전류의 수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