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태양계 행성들의 특징. 수성 (Mercury) 첫번째 행성 지구의 1/3 크기 수성의 1 년 - 88 일 하루 - 59 일 수많은 분화구로 덮여있음 밤낮의 기온차 큼.
Advertisements

 과학  10 학년  Ⅴ. 지구 > 3. 태양계와 은하 > 4 / 9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1. 지구가 둥근 증거는 무엇일까 ? 지구가 둥근 증거 ( 고대 그리스 ) – 월식 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가 둥글다. – 먼 바다에서 들어오는 배는 윗부분부터 보 인다. – 북극성의 고도 변화 지구가 둥근 가장 확실한 증거 – 지구의 인공위성 사진 – 마젤란의 세계.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2011 학년도 1 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8 행성의 대기 두 사진의 차이점을 생각해 보자. 달 탐사를 대비하여 훈련 중인 우주인 달 탐사를 실제로 수행 중인 우주인 지구와 달에서 바라본 하늘의 모습을 살펴보자. 어떤 차이가 있는가 ? 그 이유는 무엇일까 ? 도입.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태양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 태양 - - 크기 ( 반지름 ) : 약 69 만 5000km - 질량 : 지구의 약 33 만 3 천배 - 구성 물질 : 수소, 헬륨 등 - 자전 속도 : 약 7400km/h ( 만약 태양이 지구같은 크기였다면.
목차  1. 태양계 구성요소  2. 태양계의 의미 태양 지름은 지구보다 109 배, 질량은 약 33 만 배로 태양계 질량에 99% 를 차지하며 2 억년 주기로 은하계 중심을 공전하는 항성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과 열은 생명체에게 도움을 주어서 옛날엔 신 ( 아폴론,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풍선의 팽창 도플러 (Doppler) 효과 – 기차의 경적, 빛의 색 변화 우주팽창 (E XPANSION O F U NIVERSITY )
By 5 학년 2 반 전유주 년 5 월 1 일 ( 음력 3 일 ) 눈썹 모양의 초승달을 관찰했다.
1.3.1 원의 방정식. 생각해봅시다. SK 텔레콤에서는 중화동에 기지국을 세우려고 한다. 이 기지국은 중화고, 중화우체국, 뚝방에 모두 전파를 보내야 한다. 기지국은 어디에 세워야 할까 ? 중화동의 지도는 다음과 같다 원의 방정식.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4 케플러의 법칙.
과학 행성의 운동.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학습 목표>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 원리에 대해 안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float radius; // 원의 반지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일(Work)과 역학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Register, Capacitor.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탄생.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들 1 학년 2 학기 과학 지구>01.태양계는 어떤 천체들로 구성되어 있을까?(1/7) 수업계획
SCIENCE 블랙홀 조원 : 박세현, 명수지, 심민호 11월 7일 수요일~11월 8일 목요일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별의 일생(Star Lives) 발표조: 9조.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 H-R도 : Herrzsprung-Russell Diagram ]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종말.
Habitable Zone 으로 알아보는 외계 생명의 거주 가능 범위
과학 10 학년 Ⅴ. 지구 > 3. 태양계와 은하 > 6 / 9 별, 성단 그리고 성운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순환 학습 모형을 적용한 “별의 성질” 지구과학교육과 우 수 연.
P 직선상에서 속력이 일정한 운동.
3-5. 태양계와 행성(2).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천문학 개론 별(항성)과 태양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 H-R도 ].
우주의 진화 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과학 1 학년 2 학기 지구>03.별의 특징은 무엇인가?(4/7) 별의 특징 수업계획 수업활동.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Ch.2. 핵융합반응(Nucleosynthesis): 태양계 내 원소의 양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3-2. 지구의 크기.
Ⅸ. 별과 우주 9-3 별까지의 거리.
Ⅸ. 별과 우주 9-3 별까지의 거리.
3-7. 별의 밝기와 등급(1).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생각열기)별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답 : 별의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항성의 핵융합반응 과정 및 원리와 핵융합 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고찰
서산여고 김광욱  VI. 지 구  태양계 탐사와 별 끝.
3-8. 성단과 성운.
케플러 법칙.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Presentation transcript: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주계열성 수소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광도가 크므로 질량이 크다(질량-광도 관계가 성립). 주계열성에서는 질량이 크므로 반지름이 크다. 광도가 클수록 별의 크기가 크고, 표면온도가 높지만, 밀도가 작다. 질량이 큰 별일수록 진화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수명이 짧다. 적색거성 표면온도는 낮으나, 반지름이 태양의 수십배로 크기 때문에 광도가 큰 붉은 별. 적색거성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갖는 별이 태양 반지름의 수십배로 커졌기 때문에 밀도가 작다. 초거성 반지름이 태양의 수 백 배로 큰 별. 초거성의 밀도는 적색거성보다 훨씬 작다.

백색왜성 표면의 온도는 높으나, 태양의 수십 배로 작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별. 백색왜성은 주로 중력 수축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밀도는 주계열성에 비해 훨씬 크다. 천문단위(AU : Astronomical Unit)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1AU)를 기준으로 하며, 주로 태양계내의 천체들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 1AU=1.5x108km 광년(LY : Light Year : 광년)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1LY)를 기준 1LY=약 9.5x1012 파섹(pc : parsec) -연주시차 1"가 되는 거리(1pc)를 기준 1pc=206265AU=3.26LY

연주 시차 :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지구 공전 궤도 양 끝에서 어떤 별과 이루는 각의 절반. 시차와 거리 : 거리(r)와 시차(p″)는 반비례하며 시차가 1″일 때의 거리를 1 파아섹(pc)이라 함. →r (pc) = 1/p″ 거리의 단위   1) 천문 단위 (AU) : 지구-태양까지 평균거리   2) 광년 (LY) : 빛이 1년 동안 진행한 거리   3) 파아섹 (pc) : 연주 기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3.26 LY = 206,265 AU 천문단위(AU : Astronomical Unit)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1AU)를 기준으로 하며, 주로 태양계내의 천체들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 1AU=1.5x108km 광년(LY : Light Year : 광년)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1LY)를 기준 1LY=약 9.5x1012 파섹(pc : parsec) -연주시차 1"가 되는 거리(1pc)를 기준 1pc=206265AU=3.26LY

연주시차 :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별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는데 그림에서 보듯, 6개월만에 별이 이동한 각도의 절반이다. 이것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연주 시차 :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지구 공전 궤도 양 끝에서 어떤 별과 이루는 각의 절반. 시차와 거리 : 거리(r)와 시차(p″)는 반비례하며 시차가 1″일 때의 거리를 1 파아섹(pc)이라 한다.       ∴ r (pc) = 1/p″ 거리의 단위   1) 천문 단위 (AU) : 지구-태양까지 평균거리   2) 광년 (LY) : 빛이 1년 동안 진행한 거리   3) 파아섹 (pc) : 연주 기차가 1″인 별까지의 거리       1pc = 3.26 LY = 206,265 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