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전기공학부 09년 12월 11일 고상욱 이용욱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8. 고분자 연료전지 (PEMFC) 스택 고성능화 및 저가화 - 고출력, 고내구성 MEA 구조설계 및 제어 기술 개발 - 고내구성, 저가 백금촉매 및 장수명 비과불화탄소계 전해질막.
Advertisements

사례분석 ( 초전용성 200kw 태양광발전소 건립 ) 교과명 : 에너지 환경론 제 4 조 학 번 : 성 명 : 장 은 호 강 석 호 최 정 관.
Renewable Energy 제 1 장 재생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Renewable Energy) 제 1 장 재생에너지 (Renewable Energy)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정 용 성 설계Ⅸ. 지열에너지란 ? 태양, 풍력, 바이오매스, 지열, 폐기물 에너지를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 은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들 신재생 에너지 중 지열은 다른 재생 에너지와 달리 일중 또는 계절에.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전기 그리고 발전원리 학 년 : 3 학년 단 원 : Ⅲ. 전기전자기술 교 사 : 장병화 생각하고, 만들고, 신나는 기술.
고창군 배수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 개발계획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서울대학교
신 재생 에너지로 건축물을 설계하라! 와이즈만 영재교육 와이즈만 영재교육.
화석에너지와 신재생에너지.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II. 감축량 산정.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LED 광고탑 도입 검토 결과 AAA 팀.
08. EDLC를 포함하는 백투백 컨버터 및 이를 적용한 풍력발 전 시스템
보 고 순 서 I 목 적 II 추진배경 III 현 황 IV 중점 추진 방향 V 기대효과.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신재생 에너지의 정의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사용하거나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서 이용하는 11개 에너지 분야”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초소형 계통연계 인버터 보드>
태양광 시스템 및 기술 전망
25W급 RF에너지 전송 설계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광 저장 장치 (Compact Disk) 화공생명공학과 표면나노공정 연구실 김용관.
(회사CI) □ 회사소개 □ 기업현황 □ 제품 및 연구개발현황 AP시스템㈜
INNO SAVER (주차장 자동 절전시스템).
태양전지와 연료전지 태양전지(solar cell) :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
발전의 미래.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Hydrogen Storage Alloys
친환경 Hybrid system.
5-3. 화석 연료의 이용 세계 에너지 소비량
광주시 신재생 에너지 정책 제언 In Su. Cha
Solar Tracking Parasol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태양광발전 PHOTOVOLTAIC 자연과학부 조병훈.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1-1.우리 생활과 전기 전자 (1).전기 전자의 뜻 *전기-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는 에너지 발전소서 만든전기는- 전기.전자기기 종류에 따라 빛, 열, 동력, 전자파등 다양하게 이용 *전기- 자유 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 *전자- 물질을.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A.E.L 대체에너지연구실 신&재생에너지 신에너지 수소 연료전지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태양열 태양광 (소)수력 풍력 해양 지열
지구온난화 보고서.
폐목재와 폐PE을 이용한 목질계 연료개발 발표자 : 김시형 강명희.
In-situ Reaction Raman 의 소개 및 응용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태양 전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5 Gbps 버스트모드 수신 IC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청정 에너지 프로젝트 분석 소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분석 과정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쇠퇴한 탄광도시, 내가 살릴 수 있을까? (1차시).
Electric Vehicle.
신 재생 에 너지 방 예 인.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태양광”,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북스힐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Contents. Ⅰ. 시작하면서 Ⅱ. 본론 1. 시민햇빛발전소란? 2. 답사일정 3. UCC 감상 Ⅲ. 결론.
태양전지와 연료전지 태양전지(solar cell) :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
걸리버의 첫 번째 지도 S T E A M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TEAM 연구회-
Ⅸ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과 전력 수송 미래를 위한 에너지 지구의 에너지 원천, 태양 에너지
RF-CARD(multi user type only)
국제통신공업㈜.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과학 탐구 토론 대회 3학년 11반 송정아, 이보라, 임미선.
FBAR capping wafer 제작 기술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전기공학부 09년 12월 11일 20012067 고상욱 20022086 이용욱 20061869 노재일

INDEX 신재생 에너지 정의 태양광발전시스템 원리 태양광발전시스템 장단점 태양광발전시스템 운영방법 태양광발전시스템 이용현황 태양광발전시스템 효율개선

INDEX 각 사례 따른 분석 일사량 변화에 따른 제어 흐름도 제어방식에 따른 발전량 냉각 시스템 실험 및 분석 우주 태양광발전시스템 결 론

신재생 에너지 정의 신재생 에너지 정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이용, 개발, 보급 촉진법 제2조 」에 의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수소에너지 바이오매스 태양광발전 해양에너지 석탄액화가스 신에너지 (3개 분야) 재생에너지(8개 분야) 폐기물에너지 연료전지 지열 풍력 소수력 태양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원리 ① 태양전지 ② 전력 조정장치 ③ 인버터 ④ 축전지 & 보조발전기 Cell Module Array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장단점 장점 단점 설치가 간단 설치 공간 큼 유지관리 용이 초기 투자비용 과대 우수한 내구성 기상의 영향 받음 환경 친화적 에너지 밀도 작음 연료비 없어 경제적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운영방법 태양광발전시스템 독립형 계통연계형 한전 계통에 직접연결 축전지 無 축전지 有 복합형 가정용 계통을 통하여 한전계통으로 연결 전기제품 풍력발전기 有 소형용기기 열병합발전기 有 AC 독립형 디젤발전기 有 DC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기술개발 계획 1단계(2003~2006) 2단계(2006~2009) 3단계(2009~2012) 주택보급형 3kW급, 상업용 10kW급 시스템 개발. 태양전지 저가화, 고신뢰성 제품 및 양산체제 확립에 주력 1단계(2003~2006) 보급촉진형 기술개발 주 결정질 초박형 태양전지와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기술 개발. 태양전지 발전시스템 보급형 유니트화 계획 2단계(2006~2009) 다량보급형 기술개발 결정질 초박형 태양전지 상용화 기술과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상품화의 기술 개발. 태양광발전시스템 보급형 패키지 상품화 개발 목표 3단계(2009~2012) 저가상품화 기술개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국외현황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국외현황 DOE(Department of Energy)주도로 국가차원의 National Photovoltaic Program를 지속 추진 중. 최근 차세대를 겨냥한 Photovoltaic Beyond the Horizon 사업으로서 다양한 태양전지 소재 및 공정을 광범위하게 연구 중. 미국 정부주도하에 상용화 기술개발과 보급촉진, 수출시장 확대 를 추진하고 있으며 태양전지 원료의 저가화 및 신형 태양전지개발을 위해 연구 중. 3kW 주택용 태양광발전시스템 보급사업 등 2006년도 까지 1708MW 보급을 목표 일본 분야별 컨소시엄 또는 EC를 통한 기술개발 및 실증시험 등을 공동수행 중. 복합기능 태양전지 시스템의 실증시험 및 규격화 등 국가별, 공동체별 사업을 수행 중. 유럽

태양광발전시스템 효율개선 태양광발전시스템 효율개선 발전규모 및 전력생산량 분석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국내외의 사례를 알아보고 연간전력생산량(kWh/년) 과 태양광 발전용량(kW)을 알아본 후 그 나눔으로 발전용량 1kW당 생산 전력량을 알아보도록 한다.

•연간 전력생산량은 대체적으로 태양전지의 규모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사례가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각 사례에 따른 태양광 발전 규모 및 연간 생산량 각 사례에 따른 태양광 발전 규모 및 연간 생산량 •연간 전력생산량은 대체적으로 태양전지의 규모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사례가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 태양전지 1kW당 전력생산량을 통해 지붕이 가장 좋은 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각 사례를 연간전력생산량(kWh/년)을 태양광발전용량(kW)으로 나누어 발전용량 1kW당 생산한 전력량을 분석. • 태양전지 1kW당 전력생산량을 통해 지붕이 가장 좋은 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일사량 변화에 따른 제어 흐름도 일사량 변화에 따른 제어 흐름도 • 현재의 방위각 및 고도일사량의 변수를 이용하여 일사량이 추적 장치의 제어 가능한 범위에서 태양의 방위각 및 고도 각에 따라 설정된 일사량의 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설정된 위치로 추적 장치가 강제로 이동 후 정지하게 된다. Start yes 비상 종료 no yes 정 지 강제 명령 no 태양광 >설정값 yes no no 유효 시간 유효 시간 yes yes 자연 추적 정상 추적 Stop

제어방식에 따른 발전량 제어방식에 따른 발전량 • 일사량일 경우 추적 장치가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경우보다 현재의 태양의 방위각 및 고도 각을 기준으로 추적 장치를 강제로 특정 위치로 제어하는 방법이 발전량 증가함을 알 수 있다. • 5.7%의 발전효율 증가

• 냉각시스템 정지 : 오후 12시50분~ 오후 2시. • 발전량 약11[%]가 감소. 냉각 시스템 정지 시 발전량 변화

• 냉각 시스템 구현한 것으로 이 냉각 시스템은 모듈온도와 대기온도가 10[℃] 차 이상이 되는 낮시간에 동작

• 비 냉각시스템의 발전량과 냉각시스템의 발전량 차이를 나타내면 냉각시스템과 비 냉각 시스템 발전량 비교 냉각시스템과 비 냉각 시스템 발전량 비교 • 비 냉각시스템의 발전량과 냉각시스템의 발전량 차이를 나타내면 즉, 9.71%의 효율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우주 태양광발전시스템 우주 태양광발전시스템 최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형태 녹지공간 침식 및 경관 훼손 등의 단점을 극복하며,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상도> 우주 태양광발전시스템 우주 태양광발전시스템 우주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우주공간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에 의해 생성된 DC 전압을 지구로 송전하기 위해 RF 전력으로 변환하고, 지구에서는 다시 RF 전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것. <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상도>

결 론 신•재생에너지중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과 경제성 분석 → PVIB 방식으로 지붕에 설치 태양광발전의 추적시스템 결 론 결 론 신•재생에너지중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과 경제성 분석 → PVIB 방식으로 지붕에 설치 태양광발전의 추적시스템 → 일사량변화, 그림자영향 제어 → 냉각시스템 우주 공간에 태양광발전시스템 → 최근 대두 →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