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와 정치 제11강. 한국 정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김성은 김채봉 신선영 김찬영 이희은.
Advertisements

중국 정치론 1 민주주의, 반체제, 천안문 운동 Cha, Joo-seung , Li, Mingqian Yang, Hun ho.
2011 년 대학생 의식 조사 UBF 캠퍼스 사역 연구소 자료출처 : 한국 대학 신문 캠퍼스 라이프, 뉴스 미션 년 전국대학생 대상 설문.
초등수학지도를 위한 대안 알고리즘 경인교대 수학교육과 김수미 1. 알고리즘의 의미와 기원 - 알고리즘이란 … 각 단계를 정확히 이행하기만 하면 틀림없이 답으로 이끄는 단계별 절차 - 알고리즘이란 용어의 유래는 … 아랍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알콰리즈 미의 이름에서 유래.
ETHICAL ISSUES in the GLOBAL ARENA
국가발전과 청렴교육 교육연구사 강숙영 전라남도교육연수원.
사이버 감청 현 상황 분석과 해결책 6조 인권NGO 조별특별발표 무역학과 고대윤 경제학과 김민규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은 무엇인가? (1)경제학의 정의 (2)경제이론(모형)의 개요
아 동 복 지 07.
HR Strategy의 전체상 3.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기능 1)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정책 Unchangeable
재혼가정의 새로운 시작 4조 김성동, 남영호, 손보경, 원미정, 황미환, 황영아.
“선교지의 문화를 이해하라” 샅치기 게임 준비물 : 표지, 진행지, 페이스페인팅 물감 선교지의 풍습을 이해하라.
인성교육의 이해 서울대학교 교수 집필자: 정창우 영역 1. 인성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
선거론 제7강. 투표행태 1: 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노 사 정 위 원 회 Korea Tripartite Commission
담당교수: 월, 수, 금 5교시 과B132 연극의 이해(2003/2) UI 담당교수: 월, 수, 금 5교시 과B132.
전국주일학교연합회.
1장 . 영 유아 프로그램의 기초.
상품의 이해 상품이라! 상품이란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된 재화”
Test-Driven Development
행정이론세미나 7주차 : 신행정학과 공공선택이론 1차시 : 신행정학.
8. 일상생활과 법 01. 법의 의미와 역할 02. 생활 영역에 따른 법의 분류 03.재판의 종류와 절차 04.일상생활 속
노 인 복 지.
국제관계의 이해 제4강. 국제정치의 분쟁과 갈등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현대 사회와 정치 제2강. 국가와 권력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나의 꿈 생물학자 6214 최주승.
Ⅰ. 미술과 체험 1. 자연 속의 나를 보다.
경 제 학 원 론 ○ 경제학원론 제1장 경제학적 사고방식.
지휘활동과 리더십.
제 5 장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 - Case Study -
국제관계론 제4강. 국제정치의 분쟁과 갈등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경영컨설팅 개론 전략혁신본부장 김 영 철.
국제관계의 이해 제7강. 국제정치경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현대 사회와 정치 제2강. 국가와 권력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 2007 Thomson South-Western.
노인복지론 총정리(1).
MS Excel 활용 2009년 2학기 컴퓨터의 개념 및 실습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구원의 주제 29 A 회개로의 부름 요엘 성경본문 요엘 1:1~3:21.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 학습지도1.
(goai-setting Theory)
제4장 지역사회복지의 이론.
여행 가이드의 개념, 국외 여행 인솔자 개념, 국외 여행 인솔자 업무
기술과 전향 -Martin heldergger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웨슬리 홀 (Wesley Hall) 재건축 모금 현황 보고
제 8장 상권분석과 입지 및 출점 전략 가. 목표시장 선정과 지리정보 시스템 시장 세분화
2월 테마가 있는 대화 ‘전진 승리의 해’4지침 1. 포교·우호 확대의 추진 2. 충실한 기관지 연찬 3. 지역우호 활동
제8장 지역사회복지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지역사회복지 35 / 67.
Theory & Theorem 정리와 이론 김현길 박현수.
비 표준 해석학 어떤 수 A 가 무한대라면, 그에 1 또는 또는 그보다 작은 수를 더한 B 와는 어떠한 부등호 관계를 가질까? A = ∞ 이고, B = ∞ 이면, A = B 이니 부등호는 존재할 수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B 는 분명 A 보다 크기 때문에.
제4장 리더십 이론 < 리더십 연구경향 > 1. 특성이론(자질이론)-리더는 태어난다 2. 행동이론-리더는 만들어진다 3. 상황이론-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1) 리더십 상황접근법 2) 피틀러의 상황이론 3) 경로-목표이론 4) 리더-구성원 교환이론 4. 카리스마적 리더십 5.
13 재정정책.
Part 3 객체지향 Chapter 5 : 객체지향 개념 Chapter 6 : 클래스 : 속성
현대 사회와 정치 제7강. 정치체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3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영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장 우 심.
18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4장 구성주의 학습이론.
2018-1학기 공과대학 학생-교수 상담 장려 기간 □ 장려 기간: (화)~31(목)
압력단체 Pressure Group 정당ppt-2압력단체/2014.
제 14 장 조직문화와 조직개발 조직행동론.
13 재정정책.
13 재정정책.
벤치마킹의 이해와 적용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정 치 발 전 론.
관리자의 능력과 역할.
13 재정정책.
제 11장 언어 발달 박하나.
합리적 의사결정이론(rational decision-making theory)
Three major theories of development I
창의적 신소재 공학설계 Mouse of Design 최 충 후.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 사회와 정치 제11강. 한국 정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한국의 정치발전과 정치학적 의미 ○ 한 국가의 정치과정에서 과거, 현재, 미래를 살펴본다는 것은 결국 정치발전의 과정을 고찰한다는 의미  - 한 국가의 정치발전이란 그 국가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정치과정을 체계적 으로 분석하는 것  - 여기서 정치발전이란 궁극적으로 민주주의 발전을 의미 ○ 정치발전론(political development theory)이란? ① 거시이론(macro theory): 기존의 정치학 논의들이 정치체계 내부의 개인, 집단, 정치지도자 등 주로 정치행위자 중심의 행태를 분석한 미시이론인데 반해 정치발전론은 정치체계 전반의 전개과정을 다루는 거시이론 ② 신생국 정치론: 정치발전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신생국들의 생성과 더불어 이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부터 발전한 시각으로 신생국이 정치적으로 나아갈 바에 대한 정치학의 이론적 분석틀을 제공

[신생국 정치론의 주요 구분] ① 근대화론(발전론)적 시각  - 단선적 정치발전 논리에 입각하여 퇴보의 가정을 배제하고 서구 민주주의체제의 발전을 모델로 하여 도시화, 전문화, 산업화 추구 (경제성장)  - 여기서 발전(development)은 서구 중심적 사고로서 경제적 근대화를 의미 하는데, 경제성장이 정치발전을 촉진시킨다는 주장 ② 종속론적 시각  - 과거 식민제국주의의 경제구조에 입각하여 신생국들은 독립 이후에도 과거의 구조적 모순을 벗어나지 못하고 권위주의체제를 형성한다는 주장  - 신생국의 권위주의적 정치구조는 과거 제국주의 국가의 경제적 식민지 종속의 연속이라는 비판적 시각  (해답은 혁명뿐…?) ③ 국가론적 시각  - 과대성장국가론, 관료적 권위주의국가론 등 국가-시민사회 관계에서 국가 중심적 경제성장에 따른 정치구조의 문제 점 비판 ※ ①번이 정치 중심적인 논의인데 반하여 ②, ③번의 경우 정치발전을 정치적 측면 뿐만 아닌 정치경제적인 입장으로 고려하는 것

○ 립셋(Seymour Martin Lipset)의 민주주의 ④ 정치발전론의 모델 ○ 립셋(Seymour Martin Lipset)의 민주주의  - 민주주의의 특징은 정통성과 효율성이 활성화되는 것으로서 정치발전의 전제 조건은 근대화, 즉 경제성장을 의미  - 여기서 경제성장의 지표는 도시화, 중산층의 증대, 교육 수준, 역할 분화 및 전문화 등으로 측정 가능  - 사회구조가 피라미드에서 다이아몬드 구조로 변화 (▲ ⇒ ◇) ○ 달(Robert Dahl)의 민주주의: 다두제(polyarchy) 개념 ① 경쟁(competitiveness), ② 정치참여(political participation), ③ 자유 (freedom)       정치참여 배 제 포 용 자 유 화 개 방 2) 3) 억 압 1) 4)   정치참여 배 제 포 용 자 유 화 개 방 2) 3) 억 압 1) 4)   정치참여 배 제 포 용 자 유 화 개 방 2) 3) 억 압 1) 4) 1) 배제적 패권주의 2) 경쟁적 과두사회: 정치참여는 한정 3) 다두사회(polyarchy): 정치참여 확산 4) 포용적 패권주의 ※ 한국의 경우 1) → 2) → 3) 의 방향으로 전개

2. 한국 정치발전의 과제 1) 대내적 과제: 민주주의의 공고화 ○ 달(Dahl)은 정치발전의 단계에서 폐쇄사회로부터 다두제사회로 가는 과정을 통해 자유화가 심화된 사회를 시민사회로 규정하고, 시민의 권리와 연관되어 정치참여가 활성화되고 제도화된 사회를 민주사회로 규정 ○ 자유화: 국가권력이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국민의 정치참여를 보장하는 것  - 결국 자유화된 사회가 민주화된 사회이며, 여기에 정치참여가 제도화된 사회가 다두제  - 민주주의는 자유화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시민들의 정치참여를 요구 ○ 2000년대 한국정치의 특징 ① 과거 권위주의적 억압구조의 점진적 약화  - 과거 심화되었던 군과 경찰, 안기부 등에 의한 감시체계가 느슨해지고,  - 시민사회의 자율성이 크게 신장된 상태 (지나치게 신장된 것은 아닌지?)

② 전문관료에 의한 민간통제 형성  - 사회적 전문성이 강조됨으로써 소수집단의 이익이 침해를 받고 있다.  - 중산층 중심의 정책수행이라고 하나 아직도 중상층 이상 상류층을 위한 정책   ③ 중산층 및 기저계층(민중)의 탈정치화  - 중산층은 조금씩 발전하는 자신들의 생활영역을 보존키 위해 급진적 변혁을 원치 않게 되며, 자유화 이후 정치적 억압이 줄게 되자 부분적인 만족에 의해 현실에 안주하여 보수적인 성향 표출  - 기저계층과 노동계층의 경우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그들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급진세력의 정치화 난망 ○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법은 결국 정치적 전환과 개혁 필요    ① 혁신적 민중정당의 태동: 대체정당으로서의 역할 필요    ② 지역감정에서 지방정치로의 전환: 지방자치제도의 안정과 제도화    ③ 사회갈등의 해결: 정부의 권위와 신뢰성 회복

2) 대외적 과제: 민족통일의 문제 ○ 남북한 통일문제는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는 문제인 동시에 민족적 자주성을 발휘하는 일 ○ 이를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① 이념적 분단 극복    ② 체제 유지적, 정권 수호적 반공이념 및 통일문제의 정치적 이용 탈피    ③ 남북한 사이의 불신감을 떨쳐 줄 행사 추진 (정상회담의 지속 추진 등)    ④ 단계적 통일정책 수립 (제도화)    ⑤ 민족주체성 확립: 분단의 외부적 압력 제거   - 현 단계에서는 강대국 어느 누구도 남북한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현상 유지)   - 강대국을 배제한 남북한 당사자 사이의 통일 논의 심화 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