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화를 위한 국가발전 모델의 모색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2007. 10. 25.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한국 노동운동과 노사관계의 변화 노 사 관 계 론 김 솔 희 김 선 미 신 현 서 정 화.
Advertisements

‘ 성과급제 ’ 에 대한 양측의 해석 차이 : 사업계획 달성에 따른 성과급 차등 지급안 도입 연간 사업계획 100% 달성 임금의 150% 지급 연간 사업계획 90% 달성 임금의 50% 지금 사측 “ 성과급 50% 삭감 ” 전격 발표.
지도교수 : 박진식 교수님 조 원 : 홍승기, 이병용, 백승준, 조근용, 조동현, 한정협, 이상하.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정세와 2005~6 년 민주노총의 투쟁 0000 노동조합 조합원 교육 0000 노동조합.
1 ‘ 우리나라의 주요공업 ’ - 정도웅, 주민혁, 안수진, 백경민, 엄다운, 박경찬 -.
수유부의 약물복용 시 주의점 발표자 조기성. 모유 수유의 장점 모유 수유의 장점은 ? 위장관 질환 발생감소 영아 돌연사 발생감소 아토피 질환 발생감소 정서적 안정.
똘기 : 채 익지 않은 과일. 똘기 소개 일명 발표동아리. 똘기는 발표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우들에게 ‘ 자신감 ’ 을 키워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평소 강의 시간보다 편안하고 자유롭게 발표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발표력 향상에 기여하는.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2013년도 2학기 학습튜터링 O.T.
게이트키핑 과 방송뉴스 3조 김유진 이후영 김주진 최현봉 박준영 이민영.
한양대 석좌교수 권오갑 (前 과학기술부 차관]
미국의 미디어교육 신문방송학과 강진구 한인수 곽모란 이명현.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미래 로봇과 국가연구개발 방향 과 학 기 술 부 기계전자기술과 과학기술부.
변 화 하 계 직 는 업 세 2 CARENAVI 공통 커리나비 CAREer NAVIgation
상품권 개발 계획서.
PRESENTATION 저온화상이란?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7.영아의 신체발달.
승진제도 승진의 개념 및 중요성 직급체계 승진제도 개선안.
공부할 내용 조상들이 살던 곳 자연과 잘 어울리는 한옥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집의 모양 섬 지방의 집
사랑, 데이트와 성적 자율성 :데이트 성폭력!!!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 여성학 전공 신 순 옥.
퇴계와 율곡의 사회사상 비교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약전(略傳)
제3장 사회 복지 발달사.
신사회적 위험과 공공부문의 역할 김태일 (고려대).
커뮤니케이션 스킬 UP -전화매너- ..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제3장 인사 환경과 정책적 이슈 학습과제 저성장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고령화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이선용.
쌓지 말고 해소하자 이 주휘 이 진영 전 민석 전 혜림.
2015년 하반기 소방교육 자 유 전 공 학 부 (금) 안녕하십니까 자유전공학부 행정실 입니다.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서울 메트로 노조파업 수강과목 : 노사 관계론 담당교수 : 정형진 교수님
국가우주개발 미래 비전 수립 김 병 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협력실
- 나는 내 마음의 주인공 – 집단상담프로그램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하 정 선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자기소개서: 단순한 글쓰기가 아닌 인생의 되돌아보기 되어야 한다.
Ⅰ. 가족복지 개관 가족복지론 최진령.
패시브하우스 신안산대학교 l 건축과 l 박효동, 박창준, 지예림.
한중일 산업협력과 추진전략 : 재계의 관점과 전략적 사고
정치개혁의 가능성 논의 권력구조 개편을 통하여 본 -개헌을 통한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론] 윤성이 교수님
서울시 R&D 연구회 2차 모임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사회복지정책론 총정리(2).
법인객실 예약 메뉴얼 하이원리조트 중부사무소.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지적 장애 대상) 과 목: 학 과: 학 번: 이 름: 제 출 일 자 담 당 교 수:
게임 엔진 : 프로젝트 PPT_2 참참참 김 현 원.
CM 및 VE제도의 효율적 활용방안 동 아 대 학 교 건 축 학 부 교 수 이 학 기.
광고 모델의 영향력.
노년기 발달 장안대 행정법률과 세류반 정 오 손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의사결정과 의사소통 발표 철학과 나지훈 요약 정치외교학과 양승명 PPT 일본어학과 왕동현 사례 패션학과 강민경
세계화와 소득 불평등 사회과학부 변형우 사회과학부 정은주 사회과학부 김진영 관광학부 문경신.
태국 문학 욜라다 왓짜니 싸란차나 팟차라와라이 끼따야펀 르앙다우 타니다.
쌍용자동차의 사례를 통해 본 바람직한 노사관계란?
김종철 (변호사, 서울공익법센터 어필) 국내 난민 판결 10년 김종철 (변호사, 서울공익법센터 어필)
평생 저축해도 강남 아파트 못산다 학 과 : 회계학과 1학년 B반 과 목 : 회계학원론 담당교수: 박성환 교수님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 초등특수교육과 나성령.
창원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정차근 중국의 대외정책의 흐름.
경영학의 상황학파에 대해서… 경제학과 3학년 최준용 회계학과 4학년 진현빈
워밍업 실뭉치 전달게임.
생산과 성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엔젤투자유치 사업계획서 회사명.
음파성명학 최종욱.
발행시장 1 발행시장의 의의와 구조 2 주식의 발행방법 3 기업공개 4 주식발행의 유형 5 채권의 발행 6
생산과 성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사업주 부정수급 Clean Up 캠페인”.
Presentation transcript:

선진화를 위한 국가발전 모델의 모색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2007. 10. 25

Outline Ⅰ. 문제의 제기 Ⅱ. 국가발전모델에 대한 다양한 논의 Ⅲ. 후기발전국가론 Ⅳ. 후기발전국가의 국가목표와 실천전략 Ⅴ. 후기발전국가를 위한 제도적 개혁 Ⅵ. 결론

Ⅰ. 문제의 제기 이른바 “잃어버린 10년” 2008년 건국 60주년을 앞둔 대한민국의 명암(明暗)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압축적 근대화’의 대표적 성공 사례   - 국가적 침체와 방황, 국민적 활력 및 사기 저하 이른바 “잃어버린 10년” - 장기·구조적 성장정체 최근 4년간 경제성장률 연평균 4.25% (세계평균 4.9%) ‘샌드위치’코리아 평등주의 시대정신

Ⅰ. 문제의 제기 참여민주주의와 ‘민주주의의 자살’ ‘포퓰리즘’(populism, 인기영합주의) 심화 공권력의 무력화  - 사회갈등의 심화와 갈등해결 능력의 약화       참여민주주의와 ‘민주주의의 자살’       ‘포퓰리즘’(populism, 인기영합주의) 심화       공권력의 무력화    - 국가경쟁력 및 정부효율성 저하       산업정책연구원 (IPS) 발표 2007년도 국가경쟁력 종합 23위 (중국 21위)          (국가 및 정치영역은 42위, 중국은 26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발표 2007년도 국가경쟁력 30위권          (경제운용 부분은 49위,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2위)       과잉복지의 국가역량 잠식 (국가채무 97년 60조원 → 06년 283조원)

Ⅰ. 문제의 제기 국가적 차원의 거시·장기·종합계획 부재 (1997년 이후) - 국가주도 ‘경제(사회)발전계획’ 시대의 종언  - 국가주도 ‘경제(사회)발전계획’ 시대의 종언 (1996년)  - IMF 경제위기 이후‘계획합리적 발전국가’ (plan-rational developmental state)의 용도폐기

Ⅰ. 문제의 제기 새로운 국가발전 모델로서의 ‘후기발전국가’ (post-developmental state)   - 사회발전의 역사적 경로의존성(path-dependency) 중시   - 발전국가 모델의 시한부 비판적 계승   - 국가중심적 발전모델의 재구상       사회발전에 있어서 국가 단위의 적실성과 대표성       국가이념의 구현과 국가목표의 실현을 위한 국가전략으로서의 발전모델

Ⅱ. 국가발전모델에 대한 다양한 논의 중도·좌파 라인 - 참여정부의 ‘비전 2030’ 성장+복지병행론 혹은 복지주도 성장론   - 참여정부의 ‘비전 2030’       성장+복지병행론 혹은 복지주도 성장론       성장동력 확충 및 사회복지 선진화   - 사회투자국가론 (social investment state)       미국식 시장주의와 북구(北歐)식 사회정책 결합       투자의 사회화       (사후적 재분배 → 사회적 배제의 사전 제거)

Ⅱ. 국가발전모델에 대한 다양한 논의 - ‘낮은 단계의 사회민주주의’ ‘높은 단계 사민주의’ 실천의 장애       ‘높은 단계 사민주의’ 실천의 장애         (시장 및 인구규모, 타협의 전통 및 협약의 경험 일천)       경제에 대한 국가중심성 견지       평등주의 국민 심성의 충족    - 공공부문 강화론       사회양극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복지수요 급증에 대비       효율적이고 정의로운 시장구축

Ⅱ. 국가발전모델에 대한 다양한 논의 중도∙보수라인 - ‘공동체 자유주의’ 시장우선주의와 시장실패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중도∙보수라인      - ‘공동체 자유주의’ 시장우선주의와 시장실패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적극 보완 민주적 국가능력 배양 정부와 시장의 협치(協治) 선진화를 위한 ‘의도적·계획적’노력     - 시장에 의한 ‘차별화 패러다임’ 발전원리로서의 경제적 차별화 시장본연의 차별화 기능 복원 및 강화

Ⅱ. 국가발전모델에 대한 다양한 논의 - 선진화 체제 혹은 ‘작은 정부-큰 시장’ 시스템       알뜰 정부, 활기찬 시장, 성숙한 시민사회       경쟁촉진과 공정거래제도 강화       대외통상 중시 및 대기업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대       지속가능한 자기창조적 복지제도 - 새로운 ‘추격형’ (catch-up) 경제체제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추격형 시장경제체제       (정치세력 재편)       함장(艦長) 기업의 육성       교육개혁과 지식혁명

Ⅱ. 국가발전모델에 대한 다양한 논의 요약과 정리 - ‘국가 대 시장’ (state vs. market)이 아닌 ‘국가와 시장’ (state & market)   - 극단적 성장주의와 분배주의가 아닌 성장과 분배에 대한 강조의 차이   - 사회발전의 역사성 및 시대적 과제에 대한 인식 취약   - 국가이념, 국가정체성, 국가목표에 대한 관심 저조   - 이상적, 당위론적 희망사항 중심

Ⅲ. 후기발전국가론 발전국가의 등장 - 발전국가론 이론적 계보: 베버의 ‘근대국가,’ 만하임의 ‘민주적 계획’   - 발전국가론       이론적 계보: 베버의 ‘근대국가,’ 만하임의 ‘민주적 계획’                      찰머스 존슨의 동아시아 ‘발전국가’       계획합리적(plan-rational) 경제체제 : 시장합리적(market-rational) 및 계획이념적(plan-ideological) 경제체제와의 차별성       1960-70년대 한국의 국가와 경제발전   - 발전국가의 태생적 한계 혹은 성공의 역설       ‘토크빌 효과’(Tocqueville effect)         경제적 성공이 정치적 민주화의 사회적 조건 창출       ‘부메랑 효과’(boomerang effect)         산업화에 동반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책임은 시장이 아니라 국가의 몫

Ⅲ. 후기발전국가론 발전국가 이후의 두 가지 길 - 영미식 질서자유주의 ‘규제국가’ (the regulatory state)       자유시장과 최소국가 지향       국가개입을 통한 시장의 투명성, 효율성, 합리성 제고         예) 전두환 정부의 경제자유화 및 안정화정책             김영삼 정부의 ‘작은 정부론’             김대중 정부의 금융감독 제도 및 공정거래 제도 강화   - ‘사회협의주의’ (social concertation) 혹은      ‘경쟁력 조합주의’ (competitive corporatism)       국가경쟁력 제고 및 사회안전망 견지 동시 실현       노동부문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의 확보         예) 김영삼 정부의 노사관계개혁위원회             김대중 정부의 노사정위원회 및 사회협약

Ⅲ. 후기발전국가론 후기발전국가론 (post-developmental statism) - 후기발전국가의 보편적 배경   - 후기발전국가의 보편적 배경       글로벌 경제       디지털 문명       네트워크 사회   - 후기발전국가 논의의 한국적 특수성       성장잠재력의 인구학적 잠식 추세 (저출산, 고령화사회)       통일대비 경제역량 확충 및 비축       신성장 혹은 제2차 고도성장의 시대적 당위   - 후기발전국가의 원칙과 기조       분배보다는 성장우선       경제성장의 견인차로서의 국가       세계화의 동반자로서의 국가       국가지상주의와 시장만능주의의 동시 배격

Ⅲ. 후기발전국가론 후기발전국가의 제도적 특징과 차별성 - ‘국가주도’ 경제발전에서 ‘국가중심’ 경제발전으로    - ‘국가주도’ 경제발전에서 ‘국가중심’ 경제발전으로 시장에 대한 민주적, 수평적 리더십 조정 기제로서의 소프트파워 (지식, 정보, 도덕성 등)    - 개입방식의 변화       통제(policing)나 선도(initiative), 감독(control), 진흥(promotion)으로부터 격려(encouragement), 유인(incentive), 자율성(autonomy)으로       ‘관리인 국가’ (custodian state), ‘조물주 국가’ (demiurge state)에서 ‘산파 국가’ (midwifery state), ‘살림꾼 국가’ (husbandry state)로    

Ⅲ. 후기발전국가론 -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상생과 조화 생산적이고 능력 있는 민주주의 지향       생산적이고 능력 있는 민주주의 지향         참여를 위한 참여, 민주주의를 위한 민주주의 지양       거버넌스보다는 정당정치의 원칙 강조         책임의 제도적 분산이 아닌 국가의 사회적, 역사적 책임 강화       경제주체, 사회권력, 일반국민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권리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무 강조

Ⅳ. 후기발전국가의 국가목표와 실천전략 발전국가 시대의 국가목표와 실천전략    - 국가목표: 국가안보, 경제성장, 국토개발, 사회질서    - 실천전략: 안보국가, 토건국가, 영토국가, 동원국가 후기발전국가의 새로운 국가목표    - 지식강국       지식기반사회, 정보통신시대에 부응       지식생산의 제도적 기반 혹은 기획 주체로서의 국가       정책지식(policy knowledge)의 개발과 육성    - 통상대국       세계화의 심화와 FTA 시대의 본격화       발전국가의 통상국가(trading state) 성공 경험       배타적 민족주의에서 적극적 세계주의로

Ⅳ. 후기발전국가의 국가목표와 실천전략 연성권력(soft power) 및 매력국가(attraction state)의 중요성 - 문화부국       연성권력(soft power) 및 매력국가(attraction state)의 중요성       문화의 산업화 및 상품화       사회통합과 사회적 고급문명화 (high-level social civilizing)       다문화∙다인종사회 대비 ‘인바운드(inbound) 세계화’ 역점    - 안민낙국(安民樂國)       ‘위험사회’ (risk society) 요소 청산       ‘삶의 질’ (quality of life) 업그레이드       살기 편하고 즐거운 나라

Ⅳ. 후기발전국가의 국가목표와 실천전략 후기발전국가의 실천기조 - 국가적 장기∙종합 기획∙조정 역량의 복원 혹은 증강     - 국가적 장기∙종합 기획∙조정 역량의 복원 혹은 증강       국가이념 및 국가정체성 견지       미래지향적 국가전략 수립     - 강소(强小)정부 (small but strong state) 구현       지방정부에 대한 실질적 권력 이양       공기업 민영화를 포함한 중앙정부 기능의 대폭 아웃소싱

Ⅳ. 후기발전국가의 국가목표와 실천전략 - 두뇌형 정부(brain state) 수립 국가권력의 질적 변화 연구개발 및 정책지식 배양 기능 강화 - 국가개입 대상과 방식에 있어서의 ‘선택과 집중’ 정부개입의 전략적 기동성 확보 지식, 통상, 문화 등 소프트파워 영역에서의 국가역량 증대 - 정부 혹은 정권의 책임정치 구현

Ⅴ. 후기발전국가를 위한 제도적 개혁 - 5년 단임 대통령 중심제의 폐해 포퓰리즘과 정치적 무책임 권력구조 개편 - 5년 단임 대통령 중심제의 폐해 포퓰리즘과 정치적 무책임 유능한 정권과 무능한 정권에게 똑같은 임기 보장 장기적, 미래지향적 정책 마인드 부재 - 내각책임제 도입 논의의 필요성 유능한 정권의 민주적 혹은 합법적 장기집권 가능 국가기구의 전반적인 축소 및 유기적 통합성 향상 - 대통령 임기 4년 중임제(重任制) 회귀 고려

Ⅴ. 후기발전국가를 위한 제도적 개혁 - 정부조직의 축소 및 경량화 공무원 법정 총량제 도입 정부구조 개혁 - 정부조직의 축소 및 경량화 공무원 법정 총량제 도입 국가목표, 국가전략과 관련하여 부처간 공무원 정원 전면 재조정 통상, 문화, 세계화, 통계, 정보 관련 부서 강화 공기업의 대폭 민영화 지방정부에 대한 실질적 권한 이양 - 가칭 ‘국가미래전략기획원’ 신설 상급부처(super-ministry)급 국가 장기∙종합 기획전담 국무총리실을 ‘국가미래전략기획원’으로 대체하는 방법 신성장시대 주도

Ⅴ. 후기발전국가를 위한 제도적 개혁 - 정책지식의 확충 국가 자체의 R&D 기능 확대 정책지식의 확충과 정책엘리트의 육성 - 정책지식의 확충 국가 자체의 R&D 기능 확대 정부 싱크탱크 조직의 내실화 및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 학계, 산업계, 관계를 망라하는 지식생태계 육성 - 정책엘리트의 육성 가칭 ‘국가정책대학원’ 설치 국가공무원 집단 특유의 자긍심과 사명감 제고 지식인의 정치활동 → 정책참여

Ⅴ. 후기발전국가를 위한 제도적 개혁 사회∙문화 분야의 개혁과 혁신 - 교육부문의 국가경쟁력 강화 ‘창조적 소수’의 전략적 육성 교육영역의 자유화, 자율화 - 사회구성원 및 시민사회의 질적 성숙 사회간접자본의 소프트파워 집중 투자 시민사회의 정치화, 권력화 → 지역화, 생활화, 문화화

Ⅵ. 결 론 岐路에 선 대한민국 신성장시대 주도를 위한 후기발전국가 - 향후 10여년 정도 한국경제의 제2의 도약 - 향후 10여년 정도 한국경제의 제2의 도약 - 내실 있는 복지와 생산적 이념논쟁의 물질적 기반 비상한 시대의 비장한 각오 - ‘피와 노고와 눈물과 땀’을 국민에게 요구할 수 있는 용기 있는 지도자 - 공짜 심리 대신 ‘피와 노고와 눈물과 땀’을 감내하고 희생할 수 있는 국민

Thank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