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외관계론 제9강. 한국의 대외관계 4: 기타 지역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김학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목) 통상교섭실장 김학도 제 128 회 세종로국정포럼.
Advertisements

1 산별노조 ! 갈까 말까 ? 2007 년 9 월 3 일 LG 화학노조 간부교육. 2 민주노조 건설 후 우리 삶의 변화  살 만 하십니까 ? 집도 있고, 아이들 공부도 시키고, 차도 중형급 이상 몰고 다니고 …. 회사도 잘 다니고 … 그런데도 어쩐지 … 좀.. 불안하시죠.
November 2, 2011 대 중남미 자원외교 추진 현황과 우리의 진출 방안. Table of Contents 1. 중남미 지역 특징 가. 역사적 측면 나. 정치 · 경제적 측면 다. 우리와의 관계 측면 2. 대 중남미 자원외교 추진 현황 가. 우리의 진출 분야 및.
한 -EU FTA 송주영 임경혜. 3. 한 -EU FTA 에 대한 시사점 · 협상전략 2. 한 ·EU 교역 및 투자 현황 1. 한 -EU FTA 추진경과 4. 경제적 기대효과 · 향후전망 한 -EU FTA.
기업경영학 김성은. IND EX Chapter. 1 FTA 요점정 리 Chapter. 2 FTA 가 미치 는 효과 Chapter. 3 한국의 FTA 현황 Chapter. 4 FTA 사례 Chapter. 5 지역무역협 정 종류 Chapter. 6 RTA 요점정 리 Chapter.
한국지엠㈜ 김양수 기본에 충실하자 연무대 공업고등학교 첫 만남 25 대한민국 48,508,972,238 / 49 북한 22,665,345 ♡ 70 억 명 : 1 ♡ 첫 인상 ♡ 처 음 ↔ 끝 ◆ 첫인상의 좋은점 나쁜점은 처음 30~40 초에 결정.
인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권 여 행 국제앰네스티 인권교육 패키지. 어떻게 할까요? ① 4-6 명이 게임에 참여합니다. ② 액션키트에 있는 주사위와 자신의 말을 준비합니다. ③ 가위바위보로 게임 순서와 말을 정하세요. ④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만큼 자신의 말을 이용해.
‘ 성과급제 ’ 에 대한 양측의 해석 차이 : 사업계획 달성에 따른 성과급 차등 지급안 도입 연간 사업계획 100% 달성 임금의 150% 지급 연간 사업계획 90% 달성 임금의 50% 지금 사측 “ 성과급 50% 삭감 ” 전격 발표.
세계로 나가야 산다 (KIEP: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 인 교 인하대 정석통상물류연구원 원장 우리나라 FTA 정책 평가와 활성화 방안 한국무역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 )
한국의 대외무역관계와 FTA 정책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 태 호 교수
외식시장경제론 3. 경제협력기구. 지역주의 (Regionalism) 범세계적인 자유무역주의는 그 실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해를 같이하 는 소수 국가간에 자유무역을 실천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이는 다자간 자유무역질서의 구축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제고되고 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홍수인. 목 차목 차 유고내전 보스니아 내전 보스니아 평화전략.
국제사회의 이란제재 동향. UN, 안보리결의 1929호 EU, 일본, 캐나다 등 독자적 이란제제 미국, 행정명령 13590호 미국, 포괄적이란제재법 한국, 안보리결의 이행 관련 정부 발표 ‘10.6.9‘10.7.1‘10.7~9 ‘ ‘ 주요경과.
부처간 협업으로 헌혈을 통한 「신원확인용 DNA 보관사업」 추진 보건복지관실. 순 서  최초 신원확인 사업 (1.0)  보강된 신원확인 사업 (2.0)  협업한 신원확인 사업 (3.0)  신원확인 사업 3.0 제도화  신원확인 사업 3.0 기대효과  신원확인.
농업교육의 발전방향 발표 내용 농업교육의 역사 농업의 환경변화 1 농업교육의 성과와 문제점.
우리나라 무역의 미래 김가은. 연도별 총 수입액 에너지 수입 액 → 원유에서부터 각종 금속, 곡물에 이르기까지 상품 가격이 지난 몇 년간 계속 오르고 있습 니다.
목 차목 차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1 해외진출 애로사항 2 해외진출지원 변천과정 년 해외진출 지원방향 4 1 해외진출기업지원단 안내 5.
FTA 대상국으로서 페루의 전략적 가치 권기수 (KIEP 미주팀 ) ( 화 ). 1.
식품 산업의 동향 2016 식품기술사 차 욱 진.
일본-동남아 관계.
Ⅰ. 국토의 이해 정보화 사회와 지리 정보 주제 주제 지도 읽기 1. 지형도 읽기
1. 6·25전쟁 바로 알기 6·25전쟁이란 ? 광복 이후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에 서로 다른 정부 수립 이후
영남대학교 여택동 교수 한국의 FTA추진정책 : 현황과 평가 영남대학교 여택동 교수
동북아 경제공동체구상의 정립과 중단기 중점과제
제주FTA활용지원센터 제주 FTA활용지원센터 사업설명 (목).
보호 무역이론 영산대 인도비즈니스학과.
한미 FTA 교육서비스 협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
1. 아동 권리 및 아동 학대의 이해.
2009 국제통상학과 수학여행 ※ 비용은 인원에 따라 변경됩니다. ※ 참가여부를 12/10(목) 오후까지 꼭 알려주세요.
사례로 본 FTA 인사 2. FTA에 대한 화제유발 3. 교육 시작
경안 초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강지민,김민서,표지민,전혜정
중남미 국제관계 신 숭 철 (申 崇 澈).
1 2 3.
체벌은 바람직한 훈육방법일까요? 체벌에 대한 동향(국내/국제) 훈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회의학연구소 의사 타무라 아키히코(田村昭彦)
젊은 일꾼 빈지태 함안군의회(대산.산인.칠서면) 의정활동보서 빈 지 태 의원
FTA 관세종합실무 ● 교육일시 : 2014년 12월 17일(수) - 12월 19(금) <3일/20시간>
지역경제통합의 현황 무역학과 유성용 신정길 박종국 손창홍.
국제무역환경.
지역경제통합기구 정치외교학과 안효민.
G20에 관한 NIE 지구촌 정상들의 모임 년 월 일 학년 반 이름
대일 무역적자 원인과 대응전략 10조 최인묵, 최정규, 황은혜, 전흥용.
제 4 장 경제적 환경.
제3주차 강의안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경동대학교 사회복지경영학부 이광근.
BLACK OUT 신개념 연합동아리 블랙아웃에서 1기를 모집합니다!
1.
우 리 나 라 의 위 치
제2부 국제경제 제2장 무역이론 제3장 무역정책 제4장 국제경제환경 제5장 국제통화제도와 국제수지 제6장 국제금융.
동아시아의 이해 제5강. 동아시아의 경제구조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outheast Asian Nations
제2편 한국경제의 분야별 제도 및 현황 제5장 무역.
성숙한 세계국가 국정지표 금년도 외교목표 목표 1 : 안보를 튼튼히 하는 외교 목표 2 : 경제를 살리는 외교 섬기는 정부 활기찬 시장경제 능동적 복지 인재대국 성숙한 세계국가 금년도 외교목표 목표 2 : 경제를 살리는 외교 목표 3 : 세계에 기여하고 신뢰받는.
일어나 새벽을 깨우리라 지금 우리는 마음을 합하여 진정으로 찬양 할 때니 un.
세계정세 및 국제체제주체분석.
무역KEYNOTE 중·고등학생을 위한.
국제통상과 FTA 이재면.
외 교 통 상 부 통상교섭본부.
새로운 국제무역질서 이 석, 김혜미, 곽혜란.
국제관계의 이해 제9강. 국제협력과 통합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자유무역협정(FTA) 추진과 석유화학산업의 대응방향
Ⅴ.국제 경영과 국제경제>3.국제 경제 환경>13/19
부패행위 신고와 보호 보상제도 이 지 문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 부대표.
부패행위 신고와 보호 보상제도 이 지 문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 부대표.
이런 직업도 있어요^^ 감성인식기술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무역KEYNOTE 중·고등학생을 위한.
한미 FTA의 영향과 대응과제 최윤경 노연정 황지선 이설희.
국제관계론 제9강. 국제협력과 통합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경제적환경 1. 세계화 (WTO) 2. 지역화 (FTA).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대외관계론 제9강. 한국의 대외관계 4: 기타 지역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한국과 유럽연합(EU)의 외교관계 변화 ○ 그 동안 한국의 대외관계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유럽 국가들에 대한 외교관계가 상대적으로 저조  - 한국전쟁 이후 냉전체제 속에서 한국의 대외관계는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통해 서유럽 국가들과 외교관계 형성 및 확장  - 한국과 유럽 국가들과의 외교관계는 주로 미국을 매개로 한 간접 동맹관계 형성 ○ 한국과 유럽연합(EU) 사이의 외교관계는 1963년 유럽통합에 적극적으로 대처 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  - 한국은 1962년 유럽공동체(EC) 6개 창설국과 수교를 추진한 이래 1963년 유럽공동체의 공식적 출범과 더불어 유럽공동체와도 외교관계 수립  - 이후 한국은 유럽공동체로부터 유럽연합으로의 진화과정에서 그 회원국들과 지속적으로 외교관계를 추진해오고 있다.

1) 한국-유럽연합 관계의 변천사 ○ 냉전체제 시기에 한국은 동맹국인 미국을 매개로 유럽공동체 창설국인 서유럽 국가들과 외교관계 수립  - 1962년 서유럽 6개국과 수교 이래 1963년 유럽공동체와 공식적으로 수교  - 한국과 유럽 국가들의 관계는 군사․안보적 측면보다 주로 경제적 관계 중심 ○ 1970년대 이래 한․유럽 관계는 경제협력 관계를 토대로 군사협조 관계로 성숙  - 1971년 주한 미군 철수 제안이 유엔(UN)에서 논의되자, 북한의 외교 공세에 맞서 유럽공동체의 도움으로 철수 제안 저지  - 1980년대부터 미국과 일본에 치우친 대외경제를 다변화시킬 목적으로 유럽 공동체와 경제협력 및 교역 강화  - 1980년대 전두환 정권 시기에 한국 내부의 다양한 인권 문제에 대한 서유럽 국가들의 비판이 거세지자, 잠시 동안 불편한 관계 유지 ○ 1990년대 유럽연합(EU)의 출범 이후 한․유럽 관계의 새로운 관계 변화 모색  - 1990년 한국과 유럽공동체 사이의 대표부 설치 합의  - 1993년 한․유럽 관계보고서 채택  - 1996년 한국과 유럽연합 사이 포괄적 협력관계를 규정하는 기본협력협정 체결

2) 한국의 대(對) 유럽연합 외교정책 기조 ① 안보 문제와 관련하여 대북 화해와 협력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외교적 역할을 기대  - 대북 문제에 대해 6자회담 이외에도 국제사회에서 포괄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유럽 국가들의 지지를 호소  - 탈냉전 등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북한의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외교관계 및 국제사회 진출 협력 ②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제․통상 외교를 위해 유럽연합과 협력  - 유럽연합의 주요 국가들과 통상마찰을 예방하고 해소하여 한국 기업의 안정적 유럽 진출을 도모  - 한․유럽 간 FTA 체결을 위한 통상협상 추진 ③ 지역적 연대 차원에서 동아시아와 유럽연합 사이의 지역협력 활동을 강화  - ‘아세안+3’의 지역협력을 통해 유럽연합(EU)과의 지역 대 지역 차원의 경제협력 강화  - 아시아․유럽경제회의(ASEM)를 통한 경제협력 및 문화교류 강화

④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의 외교력 강화와 인권과 환경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신장시키기 위한 협력외교 추진  -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하여 가장 큰 관심과 영향력을 갖고 있는 유럽연합과의 관계 진전  - 환경 문제에 있어 가장 활발한 국제활동을 펼치고 있는 유럽연합과의 관계 확충 ⑤ 재외동포의 권익 보호와 신장을 위해 유럽연합 국가들과 지속적으로 협력 확대  - 유럽 국가들 내의 거주동포 단체들에 대한 활동 지원 및 활성화  - 한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 및 문화사업 확충 3) 한국과 유럽연합 간 외교관계의 문제점 ①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럽 국가들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과 외교 협력 부족  - 그 동안 유럽 국가들은 한국의 대북 문제나 기타 대내외 관계에 있어서 한국 정부를 지지해 준 주요한 국가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무관심  - 북한과 관련된 핵 문제와 인권 문제 등 다양한 차원에서 유럽 국가들과의 협력 및 연대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 증대

2. 한국과 중동의 외교관계 변화 ② 한국과 유럽연합 사이의 경제․통상 문제 대두  - 한국과 유럽연합 사이의 품목별 교역에 있어서 조선과 자동차산업 등의 무역 불균형이 발생함으로써 통상마찰 대두  - 유럽 국가들이 환경관련 무역규제를 강화함으로써 제반 관련 산업의 수출액 감소 및 환경 개선의 필요성 증대 2. 한국과 중동의 외교관계 변화 1) 한․중동 관계의 변천사 ○ 한국과 중동의 외교관계는 군사혁명과 국가건설이라는 특수한 환경으로부터 출발  - 한국과 중동의 외교시대 출발은 혁명국가로서 군부에 의해 통치가 이루어졌던 이집트와 1962년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시작  - 이후 한국은 1962년 이스라엘, 요르단, 모로코, 1976년 이란, 1969년 튀니지 등과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수립

○ 1973년 석유파동(oil shock)에 의해 중동외교의 필요성 증대  - 석유파동은 에너지 자원을 무기로 한 중동 산유국들의 영향력을 실감하였으며, 석유 확보를 위한 중동외교 강화  - 1970년대 중동 국가들의 건축 경기 활성화는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 및 외화 획득의 주요한 교두보 역할 담당  - 한국은 1972년 쿠웨이트에 통상대표부 설치를 비롯하여 1974년 카타르, 오만 등과 수교하였으며, 1976년 수단과 바레인과 수교  - 1973년 사우디아라비아, 1975년 요르단과 양국 대사관 설치 합의, 1981년 이라크와 영사관 설치 합의 ○ 1990년대 이후 중동 지역에 대한 한국의 영향력 확대 및 실용주의 외교정책 강화  - 1991년 한국과 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함으로써 북한과의 수교국들에 대한 외교력 강화  - 2001년 9․11 테러 발생 이후 미국이 주도하는 테러와의 전쟁에서 한국은 아랍 민족의 반감을 우려한 실용주의 외교정책의 필요성 증대

2) 한국과 중동 간 외교관계의 문제점 ① 한국은 1970년대 석유파동과 건설경기 활성화 등 경제관계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았던 중동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빈약  - 중동 국가들에 대한 부정적 선입관과 상대적 경시 태도는 한국과 중동 국가들 사이의 외교적 협력관계를 가로막는 주요한 요인으로 대두  - 한국의 이슬람 문화에 대한 무지는 외교관계에 있어서도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 ② 국제사회의 일부 중동국가들에 대한 무역 제재와 내부적 제약  - 이란 등 일부 국가들이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에 의해 무역제재 국가로 규정 됨으로써 한국의 운신이 어려운 실정  - 중동 국가들은 대부분 수입승인 절차나 조건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편 ③ 단기적 차원의 외교관계가 장기적 차원의 협력관계를 저해  - 그 동안 한국의 대(對) 중동외교는 단기적 목적이나 이익만을 바라보고 외교 관계를 추진함으로써 장기적 협력관계 미약  - 한․미 관계의 영향으로 한국과 이스라엘 사이 외교관계는 중동외교에 있어서도 위험요소로 등장

3. 한국과 동남아의 외교관계 변화 ○ 한국은 1953년 한국전쟁의 종결 이후 미국과 우호관계에 있는 동남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외교관계 수립  - 1950~53년 동남아의 태국, 필리핀 등이 한국전쟁에 참여  - 1949년 필리핀, 1958년 태국, 1960년 말레이시아 등과 국교 수립  - 아울러 1960년대 중반 이후 국제적으로 동남아 국가들을 포함하여 제3세계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비동맹회의가 경성되어 제3세력으로 등장  - 1967년 8월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등 이른바 동남아 조약기구(SEATO) 국가들은 방콕선언을 통해 아세안(ASEAN: 동남아국가 연합) 창설  -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동남아 국가들은 한국보다 경제적으로 우월하여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이 차관외교 전개 ○ 1970~80년대 들어 한국은 동남아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경제협력 동반자로 서의 잠재력을 고려하여 아세안 국가들과 지속적인 교류협력 확대  - 1975년 베트남 전쟁의 종결 이후 동남아는 공산권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으로 양분

 - 한국은 인도네시아와 1975년 싱가포르 등과 국교 형성  - 1980년대 제5공화국의 전두환 대통령은 아세안 5개국을 비롯하여 동남아 순회 방문을 통해 동남아 국가들과 외교력 확대 ○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는 동북아와 동남아 국가들 사이의 경제협력과 연대를 강화하여 아세안+3 결성  - 1997년 발생한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위기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 (APEC)가 결국 서구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로 대변되는 시장개방 압력을 대변하는 하위조직에 불과하다는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비난을 초래  - 아세안은 1997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2차 비공식 정상회의에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개국 지도자들을 초청하여 동남아와 동북아의 연계 및 경제협력을 추진하는 아세안+3의 기본 구상 협의  -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은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중․장기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동아시아 비전그룹(EAVG: East Asian Vision Group)과 동아시아 연구그룹 (EASG: East Asian Study Group)의 설치를 제안하여 한국의 이니셔티브 창출  - 1999년 아세안은 아세안 10을 완성하여 확고한 동남아 협력기구로 새롭게 자리매김

2) 아세안의 운영과 대외정책 ○ 동남아의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5개국은 1967년 8월 8일 방콕선언을 통해 아세안(ASEAN) 출범    ① 빈번히 발생하는 안보위협에 대해 상호협력을 통한 공동 대처    ② 강대국의 동남아시아 패권 쟁탈전에 대한 중립 보장    ③ 역내 국가들 사이의 경제적 고충 해결    ④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 해양 국가들과 폭넓은 협력 강화 ○ 아세안은 방콕선언 전문(前文)에서 어떠한 외부적 간섭으로부터도 동남아의 안전을 수호하고, 외국의 역내 군사기지는 일시적인 것이고, 아세안의 목적과 원칙에 동의하는 모든 국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할 것을 천명  - 아세안은 그 모체라고 할 수 있는 동남아연합(ASA)의 반공기구 성격을 바탕에 깔면서도 마필린도(Maphilindo) 공동체의 반식민주의․중립주의․비동맹주의 성격을 반영  - 지역적 민족주의를 기본으로 하여 지역의 안전을 보장하려는 반외세적 자위(自衛) 의식을 강조

○ 아세안은 초기 지역경제 협력체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탈냉전 이전까지 군사․안보적 협력체 역할 강조  - 1975년 인도차이나의 공산화와 아시아로부터 미국의 후퇴: 동남아의 새로운 안보위협 대두  - 1976년 2월 인도네시아 발리의 제1차 정상회담에서 안보협력 강화 ○ 초기 회원국 상호 간의 경제협력을 바탕으로 안보협력의 성격을 강화하였다가, 탈냉전 이후 다시금 경제협력체 성격 강조  - 아세안은 내부적으로 지속적인 경제협력을 강화  - 약소국 외교정책 및 지역공동체의 전형적인 특성 ○ 아세안의 운영방식: 아세안 방식(ASEAN Way) ① 협의제(만장일치제): 협의(musyawarah)와 합의(mufakat)를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  - 비공식적 협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한 만장일치 의사결정 방식 채택  - 의사결정과정이 지나치게 더디고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이 있으나, 아세안 국가 들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최적의 방식

② 내정불간섭 원칙:  - 오랜 식민지 지배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세안 개별 회원국의 주권을 철저하게 보장: 캄보디아, 미얀마 문제에 소극적으로 개입  - 최근 건설적 개입(constructive intervention)과 유연한 관여(flexible engagement)로 전환: 동티모르, 아쩨 문제 등에 개입 ③ 조용한 외교와 무력 사용의 배제  - 회원국 상호 간의 무력 충돌을 배제한 외교적 협상을 강조  - 회원국 상호 간의 물리적 재제가 충분치 못하다는 비판 ※ 아세안은 아직 지역공동체 성격보다 협력체 성격이 강하며, 그것은 아세안의 조직구성과 규범, 공동체 추진을 위한 실무적 능력과 역할이 미약하기 때문 3) 한․아세안 관계의 문제점 ①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기본 인식과 태도의 문제  - 사회적․문화적 인식의 부족으로 동남아 국가들을 경제적 후진국이라 하여 멸시 하거나 비하하는 국민적 태도의 문제(예] 불법체류, 결혼이주자 문제 등)

 - 국민적 인식의 오류는 단순히 민간 차원이 아닌 정부 차원의 관료나 공무원들 에게도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 ② 아세안의 제도화 수준이 낮은 단계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제협력의 문제점  - 아세안이 지니는 아세안 방식의 한계는 단순히 아세안 자체의 문제점일 뿐만 아니라 교류국가와도 협상 창구가 단일화되지 않는 문제점 유발  - 동아시아 차원의 지역적 경제협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그 속도가 느린 이유는 아세안의 제도적 한계점도 일정 정도 원인을 제공 ③ 한국적 차원에서 잦은 외교정책 노선의 변동은 아세안 회원국들의 불신을 초래  - 초기 아세안+3의 이니셔티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당시 둥북아 중심의 외교정책 노선 변경을 통해 동남아 국가들의 비난 초래  - 아세안을 단기적 차원이 아닌 장기적 차원의 협력국으로 이해하려는 태도 필요  - 한․아세안 FTA 체결을 통한 조기 협력관계 유도의 필요성 증대  - 경제적 이익이 아닌 협력의 파트너로 인정하려는 태도 요망 ④ 동북아와 동남아의 교량적 역할 수행  - 중국과 일본 사이의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진정한 아세안+3의 동아시아 경제 협력을 위해 한국의 정치․경제적 역할 필요  - 남북한 문제와 동북아 중심이 되기 위한 동남아 지렛대론 등장

4. 한국과 중남미의 외교관계 변화 1) 한국과 중남미의 외교관계 개관 ○ 중남미 국가들은 지난 2004년 남미판 유럽연합이라 할 수 있는 남미국가공동체 (Union of Americana) 결성  -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르과이 등 메르꼬수르(Mercosur) 4개 국가 들과 더불어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베네수엘라 등 안데스공동체 (Comunidad Andina) 5개 국가, 그리고 칠레, 구야나, 수리남 등이 결성  - 중남미는 그들의 현재 경제 사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천연자원을 고려할 때 반드시 외교적 협력관계를 증진시켜 나가야 할 대상 ○ 한국과 중남미 국가들의 관계는 일상적인 외교관계 이외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 어지지 못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 사이 보다 적극적 외교관계 형성  - 한국은 1980년대 후반부터 남미 국가들이 수입시장이자 수출시장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본격적으로 외교관계 유지  - 1990년대부터 한국과 남미 국가들의 교역량은 꾸준히 증가되는 추세이며, 특히 중남미 지역의 경제협력체가 결성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시장 개척

2) 한국과 중남미 관계의 문제점 ① 한국 외교관계가 중남미 일부 국가들로 편중되어 있는 문제점  - 한국의 중남미 외교관계는 주로 경제교류를 중심으로 일부 국가들로 편중되어 있어 투자 및 수출, 수입의 다변화가 요망되는 실정  - 아직까지 중남미 국가들 중 FTA가 체결되어 있는 국가는 칠레뿐이며, 보다 다변화된 경제협력 관계의 모색이 필요 ② 중남미 시장의 불안정성과 한국 홍보의 문제점  - 중남미 국가들은 대부분 아직도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어서 투자의 위험부담이 높은 편  - 한국의 입장에서 중남미 국가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듯이 중남미 국가들 또한 한국에 대한 정보가 어두워 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 요망

5. 한국과 아프리카의 외교관계 변화 ○ 아프리카에 대한 기본적 인식의 전환  - 아프리카는 지리적으로 아프리카 전체를 의미하나, 사회․문화적으로 이집트, 수단, 알제리아, 리비아, 튜니지아, 모로코, 모리타니아 등 북아프리카 7개국을 제외한 사하라 사막 이남의 흑아프리카(Black Africa) 44개국을 지칭  - 한국과 아프리카는 지리적 격차와 역사, 경제, 정치적 특성이 달라 전통적 유대 관계가 형성되지 못했으나, 최근 들어 꾸준히 외교관계가 늘어나는 추세 1) 한국과 아프리카 관계의 변화 ○ 1960년대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신생국들을 중심으로 비동맹 운동이 결성 되어 영향력을 발휘하자, 유엔 외교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  - 1960년대 북한이 아프리카 등 비동맹 국가들을 중심으로 유엔외교를 전개하자, 한국 또한 이에 맞서 아프리카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확충시키기 위해 노력  - 북한과의 경쟁에서 한국의 유일한 합법성을 수호하기 위한 유엔외교의 일환  - 1961년 코르디브아르와 수교를 시작으로 1970년대까지 아프리카 46개국과 수교관계 수립

○ 1973년 6․23 평화통일외교정책 선언에 따라 외교의 다변화를 꾀하는 과정에서 아프리카에 대한 수교관계 집중  - 과거 할슈타인 원칙에 따라 공산권 국가들과 수교관계를 맺지 않던 외교전략을 전환하여 아프리카 국가들과 본격적인 외교관계 확충  - 1970년대 후반부터 북한과의 아프리카 외교 경쟁에서 한국 측의 승리가 나타남. ○ 1990년대부터 아프리카의 내전 지역이나 유엔에 의한 원조지역에 대한 평화 유지군 활동 및 구호활동 전개  - 1993년 소말리아, 1995년에 앙골라에 공병부대를 중심으로 한 평화유지군이 파병되었으며, 1994년에는 서부 사하라 지역에 의무부대 파견  - 이후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는 경제적 목적 이외에도 인도적 차원의 봉사활동이 가미되어 국위 선양에 이바지 ※ 결과적으로 한국의 대(對) 아프리카 외교는 북한과 외교경쟁의 일환으로 시작 되었으나, 이후 점차 경제적 관계나 인도적 차원의 평화외교 전략으로 전환되는 추세

2) 한국의 대(對) 아프리카 외교정책의 문제점 ① 한국의 아프리카 정책은 과거 선(先) 군사안보 후(後) 경제협력으로 시작되어 일정한 궤도 수정의 필요성 증대  - 과거 북한과의 대결구도에서 외교경쟁으로 이루어졌던 아프리카 외교는 현재적 시점에서 그 의미가 상실됨.  - 아프리카가 지니고 있는 막대한 천연자원과 잠재적 가능성을 고려하여 장기적 차원의 실리적 외교관계 수립 요망 ② 아프리카 외교는 지금 현재의 경제적 실익보다 장기적 투자와 협력이 바람직  - 현재 아프리카의 경제 상황은 장기적 내전과 전쟁으로 일부 국가들을 제외하고 열악한 수준을 면치 못하는 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와 경제협력 요망  - 지금 현재 한국 정부가 수행하고 있는 인도적 차원의 외교적 접근은 매우 바람직 하나, 보다 실질적인 구호와 원조활동의 필요성 증대 ③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와 정보 교환의 필요성  - 일반적으로 한국인들이 갖는 아프리카에 대한 선입관을 배제하고 실질적 차원에 서 아프리카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적 교류가 증진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