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BOK 9개 지식 영역 프로세스 요약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인적자원 의사소통 위험 조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T 프로젝트. 경쟁의 심화, IT 환경의 복잡성 IT 프로젝트 실패의 지름길 (1/2) 출처 : How Projects Really Work (version 2.0)
Advertisements

SW Testing Foundation 교육 1 일 기술 2G 배경호. Test in Life Cycle Request STATIC DYNAMIC Design Code Compo nent Integra tion System Accept ance.
Certified Management Accountant [ 국제공인 관리회계사 ] ( 토 ) ~ ( 토 ) 년 제 6 기.
전국 통합대중교통체계 구축 중간연구 발표 행정부문: 대중교통 통합행정 및 관리 방안 모 창 환 실장 교통행정법제연구실.
PMglobal 1 PM 의 기본 개념. PMglobal 2 PMI 및 PMBOK u PMI è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미국 소재 ) è 프로젝트 관리분야 범 세계적 산, 학, 연 협동추진 è u.
2004 재무•경영 사례대전 - Experience Sharing 사례요약 및 참가신청 안내 가이드 신청서 작성법
Bring efficiency and empowerment to your business
프로젝트 관리의 개념과 적용 교육명 교육진행 발표내용 주관: 산업정책연구원(IPS) 교육특성:
목 차 ○ 변화의 필요성 – 기업생존 ○ 설비 보수 기술 선진화의 필요성 ○ 설비 보수 기술 선진화 추진방법.
PMP교육개최 안내 주간반 Time Schedule
의료서비스 마케팅 - 3차 진료기관의 마케팅 전략 사례
Cisco Systems의 리더십과 조직문화
프로젝트 관리.
Section II The Standard for Project Management of a Project
Chapter 5. 프로젝트 범위관리 (Project Scope Management)
Benefits of Microsoft’s Responsible Disclosure method
건설생산시스템과 CM 건 설 교 통 부 건 설 관 리 과.
기술연구원 Network연구팀 PM 중급 역량 교육 (part I) 기술연구원 Network연구팀
Benefits of Microsoft’s Responsible Disclosure method
Chapter 6. 프로젝트 시간관리 (Project Time Management)
공동주택 사업 자금 계획 (안) 공동주택 PROJECT.
정보화 사업관리 2010년 8월 31일 건 국 대 학 교 정 보 통 신 대 학 원 겸 임 교 수 서 경 석.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EXAMINATION
원가관리(Cost Management)
M/S공정표 등록 및 UPDATE PROCESS
EARNED VALUE MANAGEMENT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6장. 원가관리.
ISO 9001: 2015 개정전.후 차이점 비교 표 ■ ISO 9001 개정표준의 조항 구조
ISO 9001:2000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이해와 적용 베스트경영컨설팅(BMC).
Program Management - Program and Project Definition -
태양금속공업㈜ BIQS 인증 KICK-OFF 회의
품질경영(ISO/FDIS 9001:2008) 개정규격 핵심내용 설명
In a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need to constantly enhance the workforce skills and establish continuous learning programs, it is essential that companies.
TPM 과 Six Sigma 연계를 위한 활성화 방안
Chapter 12. 프로젝트 조달관리 (Project Procurement Management)
프로젝트 관리 Project Management
Operation & Maintenance
성과관리 세미나 - 경영의 피그말리온 효과와 실패 신드롬 -
경영혁신 방법론 6시그마 활동이란 무엇인가 ?.
제11장 정보전략계획과 정보시스템계획.
ERP 시스템의 구축 ERP 시스템의 구축 기업이 ERP 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는 단계에서부터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사후관리에 들어가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활동.
자원관리 (Resource management)
고품질 소프트웨어를 위한 군인력 자원관리 개발 프로세스 가시화 구축 사례
BISCO International® 본 자료는 비서 및 사무 전문가들의 국제적인 협회인
컨설팅 프로젝트관리.
신입사원육성체계 및 Mentoring System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 - Software Engineering -.
연구 개발형 프로젝트의 관리 Microsoft Project를 활용한
Project Leader [DMAIC] : O O O.
건설 사업 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삼안 인트라넷 메뉴얼.
Chatpter 10 프로젝트 관리 01 프로젝트의 이해 02 프로젝트 관리의 이해 03 형상 관리 04 유지보수 요약
Outsourcing도입전략방식의 연구
제 5 장 ISO 9000 개요 및 QMS의 확립 및 활용 ISO 9000 개요 및 QMS 확립 및 활용방법.
< 참고자료 > 변화시대의 리더십.
CM 및 VE제도의 효율적 활용방안 동 아 대 학 교 건 축 학 부 교 수 이 학 기.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소프트웨어 중심에 존재하는 복잡성 에 도전장을 내밀다
제19장 호텔의 안전관리 제 3부 호텔 업무지원부문의 경영관리 1절 호텔 안전관리의 의의 2절 안전사고의 관리과정
회계감사 박 한 순.
제4장 계획의 수립 제5장 전략적 계획수립 : 전략적 경영 제6장 조직화 제7장 지휘 제8장 경영통제
(Source: G.T.Milkovich and J.M.Newman, Compensation 7th ed, 2002.)
해외건설 프로젝트기획 Introduction
시사점 도출 사업환경 특성 분석 활동방향 시사점 L.T 단축 ▷선택.집중의 과제활동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목표들을 이루기 위해 계획, 설계/엔지니어링, 조달 그리고 현장 운영 등의 경험들과 건설지식을 최적으로
6시그마및품질관리 과제 – Define의 적용.
목 표 관 리.
물류(Logistics)의 개념 한국생산성본부.
제5장 계획의 수립.
Presentation transcript:

PMBOK 9개 지식 영역 프로세스 요약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인적자원 의사소통 위험 조달 4.1 Develop Project Charter (프로젝트차터) 5.1 Scope Planning (범위 계획) 6.1 Activity Definition (액티비티 정의) 7.1 Cost Estimating (비용 추정) 8.1 Quality Planning (품질관리 계획수립) 9.1 Human Resource Planning (인적자원 계획수립) 10.1 의사소통 계획수립 (Communication Planning) 11.1 Risk Management Planning (위험관리 계획 수립) 12.1 Plan Purchases & Acquisitions (구매 및 획득 계획 수립) 4.2 Develop Preliminary Project Scope Statement (예비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5.2 Scope Definition (범위 정의) 6.2 Activity Sequencing (액티비티 연관관계 정의) 7.2 Cost Budgeting (예산 확정) 8.2 Perform 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활동수행) 9.2 Acquire Project Team (프로젝트 팀원 확보) 10.2 Information Distribution (정보 배포) 11.2 Risk Identification (위험식별) 12.2 Plan Contracting (업체 선정 계획 수립) 4.3 Develop PJT Management Plan (프로젝트 관리 계획 개발) 5.3 Create WBS (WBS 작성) 6.3 Activity Resource Estimating (액티비티 자원추정) 7.3 Cost Control (비용 통제) 8.3 Perform Quality Control (품질통제 활동 수행) 9.3 Develop Project Team (프로젝트 팀 개발) 10.3 Performance Report (성과보고) 11.3 Qualitative Risk Analysis (정성적 위험 분석) 12.3 Request Seller Responses (제안서 제출 요청) 4.4 Direct & Manage PJT Execution (프로젝트 실행) 5.4 Scope Verification (범위 검증) 6.4 Activity Duration Estimating (액티비티 기간추정) 9.4 Manage Project Team (프로젝트 팀원 관리) 10.4 Develop Project Team (이해당사자 관리) 11.4 Qualitative Risk Analysis (정량적 위험 분석) 12.4 Select Sellers (공급자 선정) 4.5 Monitor & Control PJT Work (프로젝트 모니터링 통제) 5.5 Scope Control (범위 통제) 6.5 Schedule Development (일정계획 수립) 11.5 Risk Response Planning (위험 대응계획 수립) 12.5 Contract Administration (계약관리) 4.6 Integrated Change Control (통합 변경통제) 6.6 Schedule Control (일정 통제) 11.6 Risk Monitoring and Control (위험 모니터링 및 통제) 12.6 Contract Closure (계약종료) 4.7 Close Project (프로젝트 종료)

프로세스그룹 착수 계획 실행 감시 및 통제 프로세스 종료 인적 자원 통합 4.1 Develop Project Charter (프로젝트 차터) 4.2 Develop Preliminary Project Scope Statement (예비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4.3 Develop PJT Management Plan (프로젝트 관리 계획 개발) 4.4 Direct & Manage PJT Execution (프로젝트 실행) 4.5 Monitor & Control PJT Work (프로젝트 모니터링 통제) 4.6 Integrated Change Control (통합 변경통제) 4.7 Close Project (프로젝트 종료) 범위 5.1 Scope Planning (범위 계획) 5.2 Scope Definition (범위 정의) 5.3 Create WBS (WBS 작성) 5.4 Scope Verification (범위 검증) 5.5 Scope Control (범위 통제) 일정 6.1 Activity Definition (액티비티 정의) 6.2 Activity Sequencing (액티비티 연관관계정의) 6.3 Activity Resource Estimating (액티비티 자원추정) 6.4 Activity Duration Estimating (액티비티 기간추정) 6.5 Schedule Development (일정계획 수립) 6.6 Schedule Control (일정 통제) 원가 7.1 Cost Estimating (비용 추정) 7.2 Cost Budgeting (예산 확정) 7.3 Cost Control (비용 통제) 품질 8.1 Quality Planning (품질관리 계획수립) 8.2 Perform Quality Assurance (품질보증 활동수행) 8.3 Perform Quality Control (품질통제 활동 수행) 인적 자원 9.1 Human Resource Planning (인적자원 계획수립) 9.2 Acquire Project Team (프로젝트 팀원 확보) 9.3 Develop Project Team (프로젝트팀 개발) 9.4 Manage Project Team (프로젝트 팀 관리) 의사 소통 10.1 Communication Planning (의사소통 계획수립) 10.2 Information Distribution (정보 배포) 10.3 Performance Report (성과보고) 10.4 Develop Project Team (이해당사자 관리) 위험 11.1 Risk Management Planning (위험관리 계획 수립) 11.2 Risk Identification (위험식별) 11.3 Qualitative Risk Analysis (정성적 위험 분석) 11.4 Qualitative Risk Analysis (정량적 위험 분석) 11.5 Risk Response Planning (위험 대응계획 수립) 11.6 Risk Monitoring and Control (위험 모니터링 및 통제) 조달 12.1 Plan Purchases & Acquisitions (구매 및 획득 계획 수립) 12.2 Plan Contracting (업체 선정 계획 수립) 12.3 Request Seller Responses (제안서 제출 요청) 12.4 Select Sellers (공급자 선정) 12.5 Contract Administration (계약관리) 12.6 Contract Closure (계약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