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와 한국어 “문화란 개인과 마찬가지로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해도 앞뒤와 옆이 잘 짜여진 생각과 행동의 패턴이다.” 대중문화와 한국어 “문화란 개인과 마찬가지로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해도 앞뒤와 옆이 잘 짜여진 생각과 행동의 패턴이다.” 강의 교수 : 최창헌
목 차 1.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2. 대중가요와 한국어 3. 인터넷 문화와 한국어
1.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대중문화란? ① popular culture: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문화 ② mass culture: 대중사회에서 대중매체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된 문화 -대중문화의 탄생과 영향 •경제 성장에 따른 삶의 질 향상 →여가 문화 형성(저녁이 있는 삶), 컴퓨터∙통신기기의 보급 1970년대: 라디오, 텔레비전 중심의 대중문화 1980년대: 텔레비전과 VTR의 보급 영상 문화 발달, 대중문화의 쾌락주의적 경향
1990년대 이후: 문화 시장 개방과 정보 통신의 혁명, 문화 산업의 등 장, 한류 열풍 등으로 한국의 대중문화는 급성장 ∙디지털 혁명→문화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가 양방향 ∙대중은 문화의 생산자이자 주체이며, 동시에 향유자이자 소비자 예)1인 방송과 크리에이터 •대중문화의 일상성 → 대중문화의 영향력이나 사회적 파급 효과大 예)대중가요, TV 오락 프로그램, 인터넷 문화 등
2. 대중가요와 한국어 -한류(韓流): 한국의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한국과 관련된 것들이 다 른 나라 사람들에게 대중적 인기를 얻은 현상 ∙1990년대에 형성된 신조어 ∙중국에서 한국문화의 인기가 많아지자, 베이징 기자들이 ‘한류(한국의 물결)’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 ∙드라마(대장금) → K-Pop -대중문화가 시대를 반영하듯, 대중가요 역시 시대를 반영
1960년대: 국가적으로 전쟁과 분단, 근대화의 발전 논리와 냉전 체제 →안보 논리에 갇힌 모순과 갈등의 시대 사회적으로 도시화∙이농(離農) →이농 현상은 대중들의 삶을 변화 ▶(트로트) 도시화와 이농으로 인한 이별이 유독 많이 드러나며, 개인 의 욕망을 꺾고 마냥 기다리기만 하는 소극적 태도가 나타난다. ▶(미국 음악의 영향을 받은 스탠더드 팝) 소극적으로 기다리며 슬퍼 하는 것이 아니라 담담하게 이별을 받아들이며 보다 긍정적인 자세로 희망을 노래한다.
1970년대: 산업화의 시대 정치적으로 억압기, 경제적으로 성장기 사회적으로 농촌 해체와 학생∙노동∙도시 빈민 운동의 확산 ▶(포크 음악) 억압된 시대적 상황으로 젊은 기질을 발산하고자 하는 젊은이들의 열망을 반영 1980년대: 민주화 운동과 산업화가 급격히 진행 ▶(발라드) 낭만적이고, 애절하며, 서정적인 가사
1990년대: 경제 성장과 문화의 탈정치화 → 소비적이고 향락적인 대중문화 등장 ▶(댄스 음악-서태지와 아이들, 신세대) 욕망에 충실하며 솔직한 태도, 윤리에 대한 무감각, 소비 중심적인 생활 방식 등을 드러내 보였다. 2000년대 이후: 외국 문화가 쉽게 흡수된 동시에 우리의 문화도 세계에 빠르게 퍼져나간 시기 ▶(다양한 음악이 공존) 영어의 사용이 많아졌고 랩 부분에서는 다양한 언어가 쓰이게 되었다. 특히 다른 시대와 달리 힙합(Hip Hop)이 유행, 힙 합에서 랩은 이전의 다른 장르의 가사와 달리 서술적이며, 비속어나 거친 표현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 인터넷 문화와 한국어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 → 언어 사용의 변화 -인터넷 언어(통신 언어)의 등장 ∙컴퓨터 통신이나 인터넷의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빨리 쓸 수 있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언어) ∙1990년대 이후, N세대(Net Generation)가 만든 언어 -통신 언어의 발생 원인 ①경제적 동기: 빨리 쓰려는 속도성과 쉽게 적으려는 편의성에 기인 줄여 쓰기(겜-게임), 띄어 쓰지 않고 붙여 쓰기(말좀해라-말 좀 해라), 초성만 쓰기(ㅎㄷㄷ-후덜덜), 소리 나는 대로 적기(조아-좋아)
②오락적 동기: 말을 통해서 시간을 보내고 재미를 추구 오타로 생긴 형식을 그대로 새말로 사용(고나리질-관리질) ③표현적 동기: 자신의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 의태어 사용(쓰담쓰담, 토닥토닥, 굽신굽신, 꾸벅), 이모티콘 사용 ④유대 강화 동기: 친목과 유대 강화를 목적 은어(씹다-무시하다), 비속어(열라-굉장히, 많이) ⑤심리적 해방 동기: 일상생활에서 일탈하려는 의도
-통신 언어의 특성 ①소리 나는 대로 적기 ②음절 줄이기 ③이어 적기 ④지식 부족에서 나온 잘못된 적기 ⑤잘못된 띄어쓰기 ⑥통신 분위기를 위한 바꾸어 적기 ⑦문자나 기호 조합하여 적기(이모티콘) **교재 271-272쪽. -통신 언어의 문법적 특징 ①문장의 완결성 약화: 빨리 쓰기 위해서 문장성분 중 중요한 성분만을 쓴 다거나 종결어미를 갖추어 적지 않는 경우
②종결어미의 변용: 종결어미를 적는 대신 명사형 어미 ‘ㅁ’ 사용 “인사 안 해서 삐쳤어. ” → “인사 안 해서 삐침 ②종결어미의 변용: 종결어미를 적는 대신 명사형 어미 ‘ㅁ’ 사용 “인사 안 해서 삐쳤어?” → “인사 안 해서 삐침?” ③조사의 생략: 구어체를 쓰고, 타자를 빨리 치려는 의도 “돈 마니 썼군”(목적격 조사 ‘을’), “사람 진짜 많다”(주격조사 ‘이’) ④잘못된 어순 “중고 3개 샀다 만원씩”(서술어와 부사어 자리) ⑤호칭 및 높임법 문제 “님! 식사신 거?”, “(‘님’을 2인칭 대명사 단독으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