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설요양보호 - 배뇨.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7 대 자연 경관으로 선정된 성산일출봉.  제주도의 지질  한라산의 지질및 생태환경  백록담.
우린 서로 이렇게 달라 08 남자의 성 생명 탄생의 신비. 학습 목표 남자의 생식 기관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 다. 임신이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No.1 No.2.
1.
요루장애인를 위한 운동프로그램 정현수.
Assessment of Urinary System I Hanjong Park, PhD, RN.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장루장애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엄재민.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직장 내 성차별에 관한 조사 -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일차의료에서 요로 감염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권 혁 중.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퇴행성 신경질환.
9장. 비뇨생식기계 가천의대 산부인과 김 광준.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보조저장장치 구조(Secondary Storage Structure)
급성복통.
구강악안면영역의 신경질환 동통.
요실금 및 비뇨기질환.
전립선 질환 (prostate gland disease)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신,요로 질환 환아 간호.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자가 호기말 양압(auto PEEP) 측정.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전기진단검사 I.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내분비.
PULMONARY FUNCTION2 한방의료공학과 김희주.
제품퀴즈.
노인의 설사.
비뇨기과 병원의 개원 과 경영 유 로 병 원 최 웅 기.
Loading 생명의 시작.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배설요양보호 - 배뇨.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장애인의 배변 및 배뇨관리.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뚜렛 증후군 증후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강박적 행동 적대적 반한
노인간호학 배설 오유진 오지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요실금 및 비뇨기질환.
1장 이상심리는 어떤 학문인가? 이상심리.
스트레스와 건강.
돼지 콩팥 해부 월봉 중학교 1학년 5반 28번 임 현 준.
PCA 개선 서울대학교 박노열.
작도 작도 작도: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
Automatic nerve system
IX. 호흡과 배설 1. 신장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오줌의 생성 과정과 배설 경로를 말할 수 있다.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Fentanyl 사용시 보이는 이상 호흡 양상 (abnormal respiratory pattern)
급, 만성 신부전 환자 관리 김현정.
신경인성 방광 (neurogenic bladder)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요실금.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얼마나 많은가? Lezhin.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Presentation transcript:

배설요양보호 - 배뇨

1. 배뇨의 정의 배뇨란? 방광에 모인 소변을 비워내는 과정 신장에서 생성된 오줌이 수뇨관을 거쳐 방광에 모여 요도를 통해 배설되는 일 방광에 모인 소변을 비워내는 과정

2.비뇨기계 해부학적구조

3.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신장 (Kidney) 요관 (Ureter) 구 조 기 능 ▪ 소변을 신우에서 방광으로 이동시킴 ▪ 1쌍의 암적색의 강낭콩 모양 ▪ 성인 기준 평균 길이 11cm, ▪ 폭 5.0~7.5cm, 두께 2.5cm ▪ 피질(cortex), 수질(medulla), ▪ 신우(pelvis)로 나뉨 ▪ 소변의 형성 ▪ 수분과 전해질의 조절 ▪ 산 - 염기 균형 ▪ 대사상 노폐물, 독소, 약물의 배설 ▪ 혈압의 조절 ▪ 기타 대사성, 내분비 기능 요관 (Ureter) ▪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까지 운반하는 섬유근육 조직관 ▪ 소변을 신우에서 방광으로 이동시킴

방광 (Bladder) 요도 (Urethra) 구 조 기 능 ▪골반강의 앞쪽에 위치, 뒷면은 복막으로 덮여있음 ▪ 요관에서 운반되어 온 소변을 배출할 때까지 저장하는 근육성 주머니 요도 (Urethra) ▪ 남성의 요도 : 약 16 ~18cm ▪ 여성의 요도: : 약 2.5~4cm ▪ 방광에서 소변을 밖으로 인도하는 길

4. 배뇨의 기전 – ①배뇨의 작용 아동 100~200ml ,성인 200~300ml 모이면 방광 벽의 신장수용기가 자극이 되어 요의를 느낌 배뇨근수축→내부괄약근 이완→소변후 요도로이동→회음부근육, 외괄약근이완→후벽근수축→횡경막하강→배뇨

4. 배뇨의 기전 – ②소변의 특성 맑은 밀짚 색 (볏짚 색) or 연한 노란색 ☞ 소변의 빌리루빈 성분 때문 색깔(color) 맑은 밀짚 색 (볏짚 색) or 연한 노란색 ☞ 소변의 빌리루빈 성분 때문 소변이 혼탁할 경우 비뇨기계 감염 의심. 음식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함 냄새 배설직후의 소변→무균상태,거의냄새X ☞방치해두면 요소가 박테리아로 분해되어 암모니아 냄새가 남 pH (산도) 6.0pH의 약산성, 인체 내 대사에 따라 4.5pH~8pH 의 범주에 있음 비뇨기계 감염이 있는 경우 PH가 올라감

4. 배뇨의 기전 - ③소변의 빈도 배뇨의 빈도는 소변량에 의존한다. ☞소변량 多 → 배뇨횟수 증가 대부분 건강한 사람은 정상 취침시간에는 배뇨하지 않는다. 배뇨의 빈도가 증가하고, 양이 감소하면 질병의 징후가 될 수 있다.

5. 배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장발달 2. 음식과 수분 3. 심리적 요인 4. 활동과 근긴장도 5. 질병 6. 약물

6. 배뇨의 변화 및 장애 정 의 원 인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것 ▪ 저장기능의 장애 - 신경장애 - 방광의 만성 염증 - 방광에 수축성 경련 - 방광의 용적이 작아져 생김 ▪ 배출기능의 장애 -신경장애 -요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7. 배뇨의 변화 및 장애 배뇨장애를 일으키는 흔한 질병들 ① 전립선 비대증 ② 요도증후군 ③ 신경인성 방광 ④ 만성 전립선염 및 전립선통

8. 배뇨의 변화 및 장애 질 병 정 의 원 인 증 상 빈뇨 (freguency) 핍뇨 (oliguria) 무뇨 배뇨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증상 - 수분섭취 증가 - 방광염, 스트레스, 임신 등 하루 10회 이상의 배뇨 매번 배설량이 50- 100mmL의 소량이면 총 소변배설량은 정상 일 수 있음 핍뇨 (oliguria) 소변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상태 - 신장기능장애 -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 - 심한 구토 와 설사, 외상성 쇼크 등 보통 500mL이하 경우를 핍뇨라고 함 무뇨 (anuria) 방광 내에 소변이 없어서 전혀 누지 못하는 상태 진성: 신장에서 소변이 생성되지 않음 가성: 소변 생성은 되어도 요관에 결석이나 종 양 등이 생겨서 폐색 되어 방광까지 내려 오지 못함 방광에 소변이 없으므로 배뇨의 고통은 없음 무뇨가 계속되면 요독증 이 됨

8. 배뇨의 변화 및 장애 질 병 정 의 원 인 증 상 야뇨 (nocturia) 요의긴박 (urgency) 배뇨곤란 야간의 잦은 빈뇨 상태 요로감염, 급성 방광염, 급성 요도염, 급성 전립선염 등 야간 수면 중에 부적절한 요의 배출이 있는 것 요의긴박 (urgency) 요의를 강하게 느끼는 것 영.유아에서는 외괄약근 조절의 미숙으로 나타남 방광에 차 있는 소변의 양과 관계없이 즉시 배뇨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 배뇨곤란 (dysuria) 배뇨 시 통증이 있거나 배뇨하기가 어려운 상태 지연뇨와도 관계가 있음 전립선비대, 요도압박, 요로출구의 폐색 등 요도협착, 요로감염, 방광이나 요도손상이 동반함 배뇨 시 작열감 유뇨증 (enuresis) 4-5세가 지나서도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현상이 반복되는 경우 신경계 이상, 너무 깊이 잠들었을 때, 심리적인 원인 등 개인에 따라 다양함 질병이 아닌 증상 나이가 듦에 따라 없어지며 남아에게 많음.

8. 배뇨의 변화 및 장애 질 병 정 의 원 인 증 상 요정체 =요폐 (urinay retention) 요실금 (urinary  요정체  =요폐  (urinay  retention) 소변이 생성됨에도 불구하고 요를 방광에서 배출할 수 없는 상태 방광질환, 전립선질환, 요도질환중추신경질환 수술 후, 출산 후 요정체 장기간의 정체는 소변의 잔류현상 일으켜 요로감염 초래, 심한 통증, 방광 긴장도 상실 요실금 (urinary incontinence)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소변이 요도 밖으로 흘러나오는 증상 병리적, 해부적, 신경적, 정신심리적, 환경적 원인 방광 내 압력이 요도저항보다 높아질 때 발생하며 소변을 적절히 통제하는 능력이 소실된 것. 여성에게 더 많고 노인이 될수록 증가함.

9. 배뇨의 변화 및 장애 - 요실금 방광을 비우는 조절이 완전히 상실된 경우 긴장성 방광의 비정상적인 수축이나 과다한 팽창 없이 기침, 재채기, 웃거나 뛰거나 혹은 걸을 때 복압의 증가로 소변이 배출되는 현상 긴박성 (요의절박) 하부요로에 염증으로 인한 통증 또는 소변누출에 대한 공포로 인해 강한 요의를 느끼는 것을 말함 기능성 불수의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배뇨 반사성 배뇨하고 싶다는 감각의 느낌이 없이 저절로 배뇨하는 현상 축뇨성 방광이 소변으로 팽만되어 소변방울이 흘러내리는 요실금

수고하셨습니다.